• 제목/요약/키워드: 관악산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6초

관악산의 산림군락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Communities on Mt. Kwanak, Seoul)

  • 이병굉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5권1호
    • /
    • pp.1-12
    • /
    • 1972
  • As part of the study of the structure and the successional trends of our temperate forests, a quantitative survey was made of the relatively well conserved forest stands on Mt. Kwanak, Seoul. Three community types were observed; the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Evidence suggests that the dominanc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ill continue in the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however, in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dominant species, Pinus densiflora, is now being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The trend toward an increased in Acer pseudo-sieboldianum var. koreanum, 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cordita, and Acer mono is observed in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 analysis of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forest reveals that the upper story is mostly occupied by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the shrub layer b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Lespedeza maximowiczii, and the herb layer by Spodiopogon cotulifer and Artemisia keiskeana. Quercus mongolica may cover most part of the forest, gradually excluding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var. koreanum, Fraxinus rhynchophylla, Carpinus coradata, and Acer mono are increasing in importance with the potentiality of developing into major canopy component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physical habitat Cephalotaxus koreana and Magnolia sieboldii, the species which had almost completely been eliminated form the forest through the severe interferences, have reappeared.

  • PDF

미기록종을 포함한 관악산의 선태류 (THE FLORA OF BRYOPHYTES ON MT. KWANAK, WITH SOME NEW ADDITIONS TO THE KOREAN FLORA)

  • Hong, Won-Shic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권2호
    • /
    • pp.19-25
    • /
    • 1960
  • 1. This study was made on the flora of bryophytes on Mt. Kwanak, which is situated ($37^{\circ}$30' N. Lat. $127^{\circ}$O'E. Long) to the south of Seoul area. 2. The bryophytic flora of this mountain consists of the following elements. 1) Holarctic elem, Musci………16 species (25.0%), Hepaticae………4 species (28.6%). 2) North Pacific elem. M.………1 species (1.56%), H………O. 3) Cosmopolitan elem. M………10 species (15.65%), H………1 species (7.1%). 4) East-Asiatic elem. M………16 species (25%), H.………4 species (28.6%). 5) Tropical elem. M.………3 species (4.68%), H.………3 species (21.4%). 6) Japane-Korean elem. M.………17 species (26.56%), H.………2 species (14.3%). 7) Endemic elem. M.………1 species (1.56%), H.………O. 3. In the list of bryophytes of Mt. Kwanak, 62 species, 1 variety and 1 subspecies belonging to 47 genera for Musci and 12 species 2 subspecies belonging to 10 genera for Hepaticae were enumerated. Of these the following 5 species are new to Korean flora. 1) Macromitrium japonicum D.M. 2) Entodon arenosus Okam. 3) E. okamurae Broth. 4) Gollania ruginosa (Mitt.) Broth. 5) Temnona birmensis (St.) Hatt.

  • PDF

관악산의 잔디와 억새 생태계에 있어서 에너지의 흐름과 무기물의 순환 4.인의 순환 (The Energy Flow and Mineral Cycles In a Zoysia japonica and a Miscanthus sinensis Ecosystem on Mt. Kwanak 4. The Cycles of Phosphorus)

  • 장남기;김정석;강경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5-284
    • /
    • 1995
  • In this investigation, the accumulation mineralization and annual cycle of organic P has been studied in grassland ecosysterns of a Z japonica grassland and a M sinensis grassland on Mt. Kwanak. The basic models of the accumulation and mineralization for ash components of a grass-litter have been presented as the equations (1), (2), and (3). The equations (7)~(10) for organic P are derived from these basic concepts. There was a hight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matter and organic P. The estimates between organic matter and organic P correlated very high significance. The parameter factors k or k' of mineralization of organic P for the Z. japonica and M sinensis asslands were k=0.412 or k'=0.292 and k=0.224 or k'=0.183, respectively. The time required for a cycle to be completed from organic P to inorganic P of 50, 95 and 99 % are 3.9, 16.7 and 27.8 years in the Z. japonica grassland and 4.1, 17.7 and 29.4 years in the M sinensis grassland. The annual P cycle formulae for mineralization were based on the equations (5), (11) and (12). Annual yields of mineralization for organic P in the steady state grasslands of Z. japonica and M sinensis were 0.407 and 0.504g /$m^2$, respectively.

  • PDF

관악산과 그 인근 주거지역에 서식하는 양치류의 진드기류 분포 (Distribution of Mites on Rodents in Mt. Kwan-ak and its near Residential Area)

  • Lee, Byoung Un;Nam-Kee Chang;Meung-Hai Kim;Hai Poong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1호
    • /
    • pp.17-28
    • /
    • 1988
  • Five hundrad and eight rats were caught in Shiheung-dong and Mt. Kwan-ak from 1986 to 1987 in this survey. Ectoparasites were got from these rats and class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9,191 mites (16 genera, 30 species), 408 fleas (4 genera, 4 species), and 521 lice (3 genera, 5 species) were observed in this survey. In the residential area, Rattus norvesicus(71.74%) was dominant species and in Mt. Kwan-ak Apodemus agrarius(93.62%). In these areas, the mites belonging to suborder Mesostigmata were dominant (Laelaps nuttli, 52.61%; Ornithonyssus bacoti, 36.05%). In Mt. Kwan-ak, family Frombiculidae belonging to suborder Prostigmata were dominant (Leptotromibidium orientalis, 31.04%; Leptotrombidium palpalis, 30.00%). In this way, it was discover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egions in dominant species was noticeable. As for the hosts parasitized by mites, L. nuttalli in R. norvegicus (54.85%), L. nuttalli in R. rattus (32.90%), and L. orientalis in A. agrarius (31.27%) were dominant species, respectively. In the mites parasitizing on A. agrarius in each altitude, the species were more varied as the region was lower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more concentrated as it was higher.

  • PDF

관악산의 잔디와 억새 생태계에 있어서 에너지 흐름과 무기물의 순환 8.황의 순환 (The Energy Flow and Mineral Cycles in a Zoysia japonica and a Miscanthus sinensis Ecosystem on Mt. Kwanak 8. The Cycles of Sulphur)

  • 강경미;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81-288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mineral cycles of sulphur in dynamic grassland ecosystems in a steady state condition at the northwest side on Mt. Kwanak. The experimental results may be summarized on the communities of a Zoysia japonica and a Miscanthus sinensis as follows. As compared with some properties of the surface soils among two semi-natural grasslands, sulphur war greater quantity in a Miscanthus sinensis than in a Zoysia japonica on Mt. Kwanak . For the case of steady production and release, the raion of annual mineral production to the amount accumulated on the top of mineral soil in a steady state provides the estimates of release constant k. The release constants on sulphur of the litter were 0.54 in a Zoysia japonica and 0.36 in a Miscanthus sinensis grassland. The half times of S required for the release or accumulation of the litter on the grassland were 1.28 years in a Zoysia japonica and 1.93 years in a Miscauthus sinensis The amounts of annual cycles for sulphur in the grassland ecosystem under the steady-state conditions were 20.65g /$m^2$ in a Zoysia japonica and 26.28g /$m^2$ in a Miacanthus sinensis grassland. Key words: Zoysia japonica Miscanthus sinensis Mt. Kwanak, Sulphur, Mineral cycles.

  • PDF

관악산의 잔디와 억새 생태계에 있어서 에너지 흐름과 무기물의 순환 11.알루미늄의 순환 (The Energy Flow and Mineral Cycles in a Zoysia japonica and a Miscanthus sinensis Ecosystem on Mt. Kwanak 11. The Cycles of Al)

  • 심규철;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3-309
    • /
    • 1997
  • The investigation was cycle of aluminum of surface soil elements in dynamic grassland ecosystems at a steady state in a Zoysia japonica and a Miscanthus sinensis ecosystem in Mt. Kwanak, Korea. Average amounts of total storage for aluminum in Z japonica and M. sinensis grasslands were 8,426mg /$m^2$ and 7,849mg /$m^2$ respectively. Decay constants estimated on the base of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model, were 0.04 in Z japonica grassland, and 0.08 in M. sinensis grassland. Half time to decay aluminum of litter soils were 17.33 years in Z japonica grass-land, and 8.66 years in Al. sinensis grassland. 95% decay times in Z japonica, and in M. sinensis grassland were 75.0 years and 35.0 years respectively. Needed times to lose almost all of elements in Z japonica and M. sinensis grassland were 125.0 years, and 62.50 years respectively. The metals were losed more rapidly in M. sinensis than in Z japonica grassland. The cycle of aluminum was investigated to be related with soil acidity. Key words: Cycle of aluminum, Zoysia japonica. Miscanthus sinensis, Mt. Kwanak, Decay constants, Soil acidity.

  • PDF

유역 면적강수량 산정을 위한 레이더 강수량 활용성 평가 (Assessment of Radar Precipitation Applicability for Watershed Area Precipitation Estimation)

  • 김태정;송재현;이성호;이충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1-441
    • /
    • 2022
  • 국내외적으로 정확한 수문기상 현상의 관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재래식 관측장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첨단장비가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악산 기상레이더를 시작으로 하천 및 도심지의 돌발홍수 정보를 제공하고자 강우레이더 신설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조사 사업에서 티센다각형법을 이용하여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을 산정하는 경우 영동권역과 같이 지상관측소 밀집도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수량의 공간적 편차를 정량적으로 검토하고자 전국 하천유역에 대하여 1.5km Constant Altitude PPI(CAPPI) 합성장의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한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을 산정하고 지상 강수량과 통계적 적합도(goodness of fit)를 평가하였다. 지상 강수량을 활용한 유역단위 면적평균강수량과 레이더 강수량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관측기법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정량적 편의(bias) 보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의 레이더 강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활용 목적에 적합한 레이더 강수량 보정기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용량 레이더 자료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 및 레이더 강수량 품질관리 체계 구축을 통하여 수문조사 및 수문해석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I) -수종 미기록 고약버섯류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I) -on some unrecorded corticioid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65-273
    • /
    • 1996
  • 1994년 10월부터 1995년 6월까지 8개월 동안 우리나라의 중부와 남부의 전역을 통하여 도합 28차례에 걸쳐 12개 국립공원, 2개 도립공원, 및 6개 일반 산악지역을 위시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고등균류 탐색을 실시하여 도합 634점의 목재부후균류를 채집하고 그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당자균류 민주름버섯류에 대한 체계적인 동정과 분류를 시도하여 국내 민주름버섯류의 미기록종과 고유종의 발굴을 수행하고 도합 9과 49속 92종의 민주름버섯목 균류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정된 균류중 1속 6종은 국내 미기록으로 확인되었고 해당 미기록속은 Phlebiopsis (좀아교고약버섯속, 신칭)이며,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Athelia bombacina (막부후고약버섯, 신칭), Ceraceomyces sublaevis (참밀고약버섯, 신칭), Hyphoderma sibiricum (틈목재고약버섯, 신칭), Hyphodontia arguta (침돌기고약버섯, 신청), Phlebiopsis gigantea (좀아교고약버섯, 신칭), 및 Radulomyces confluens (이빨버섯)이다. 1994년 정학성은 한국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98속 217종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1995년도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발표한 2속 7종 미기록과 1996년도에 게재한 제 2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과 함께 본 연구의 1속 6종 미기록을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2속 236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중 막부후고약버섯은 상수리나무, 참밀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틈목재고약버섯은 오리나무, 침돌기고약버섯과 이빨버섯은 벚나무, 좀아교고약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은 서울 근교의 북한산과 관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과거 서울근교에서 조사된 균류의 분포기록이 미비한 점과 대도시의 공해와 등산객의 행락에 의한 오염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특이한 균류의 분포상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서울 근교와 서울 주변의 경기도 일대는 도시오염과 관련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조사에 매우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 PDF

한반도 미기록 층층지네고사리와 윤쇠고비(관중과) (First record of Cyrtomium laetevirens and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 (Dryopteridaceae) from Korea)

  • 이창숙;이강협;황영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1-180
    • /
    • 2013
  • 관중과의 미기록 분류군 윤쇠고비(Cyrtomium laetevirens)와 층층지네고사리 (Dryopteris simasakii var. paleacea)가 전남, 경남, 제주지역에서 두 종 모두 발견되었다. 또한 층층지네고사리는 서울 관악산에서도 발견되었다. 윤쇠고비는 쇠고비속의 다른 분류군들에 비해서 윤기가 있는 잎몸, 좁은 피침형이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끝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우편, 단색의 회백색 포막이 있는 점이 뚜렷이 구별된다. 층층지네고사리는 다른 분류군들과 비교해 윤기가 나며, 우편은 마주나 배열되고, 소우편은 낫모양이 아니며, 불규칙하고 흑갈색인 비늘조각이 잎자루와 중축에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밀집되어 있다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주요형질에 대한 두 분류군의 기재 및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 및 한국산 쇠고비속과 관중속의 홍지네고사리절 (sect. Hirpedes)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 엄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9-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관한 국 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적합하면서 도시 및 환경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례지역인 서울시의 열환경 상태를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폭염, 도시 열섬, 도시 미기후 등 국내 외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활용된 지표들을 고찰하여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위한 15개 지표를 선정하였는데, 기후노출 분야의 건물체적, 민감도 분야의 열환경 취약 건축물, 적응능력 분야의 녹지면적 등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포함하였다. 선정된 지표 중 사례지역인 서울지역에 대해 활용가능한 12개 지표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퍼지이론을 활용한 GIS 공간분석을 통해 서울의 열환경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강남 지역이 강북 지역보다 열환경에 더 취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강남 지역에서는 서초구, 강남구, 동작구, 영등포구, 강서구 일대의 열환경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강북 지역에서는 동대문구, 강북구, 광진구, 중랑구 일대가 다른 구에 비해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 및 서울시 외곽지역에 위치한 관악구, 도봉구, 은평구, 노원구 등은 관악산, 북한산 등 산림의 영향으로 인해 '기후노출'과 '민감도' 분야의 취약성이 낮았다. 하지만, 자료수집의 한계로 활용하지 않았던 '적응능력' 분야의 에어컨 보유 현황 지표가 분석에 반영된다면, 서초구, 강남구 등 취약성이 높게 평가된 지역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서 활용하지 않았던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도시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여하고, 열환경 위험성을 저감하기 위한 공간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