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세청통관시스템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XML/EDl 수출통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현수;박남규;손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5-394
    • /
    • 2000
  • 기업간 및 기업 대 정부간 문서교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원으로 기업들은 산업 표준에 따른 전자문서교환(EDI)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국내에서는 한국 EDIFACT위원회를 중심으로 전자문서 표준화가 이루어졌다. 국내 수출업자들이 관세청에 수출신고를 위한 통관 EDI 교환은 주로 부가가치통신망(VAN) 사업자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EDI 중계 서비스는 특정 VAN사업자들을 통해 EDI서비스가 독점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에 있어 값비싼 전송료 및 통신망 임차비, 잦은 통신 지연, 기업 내부 시스템과의 연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을 낳았다. 현재 이러한 전통적 방식의 EDI를 인터넷 기반으로 전환할 때 인터넷의 개방성과 저렴한 사용비용등의 장점으로 인해 비용절감과 사용자 편이성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과 웹을 이용하여 통관 EDI 중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현재 수출을 하고자 하는 주체는 관세청에서 반드시 EDI로 수출에 관한 신고를 하여야 하는바, 본 시스템은 이러한 EDI신고를 인터넷상에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HTML에서 진일보한 차세대 마크업 언어인 XML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XML/EDI 통관시스템은 수출신고에 필요한 11개의 전자문서에 대한 XML Schema를 디자인하고, 사용자 관리, SchemaStyleTemplate 관리, XML/EDI 문서관리 XML/EDI변환, EDI 송수신 관리, 인증관리, 로그관리 등의 모듈을 지니고 있으며 개방형 EDI와 인터넷 EDI의 장점을 취합하여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UN/EDIFACT표준을 사용하고 있는 EDI환경과 기존 VAN 방식의 EDI 중계 시스템과 연동되며, 향후 관세청의 XML/EDI 표준 시행을 미리 대비하는 선도연구로서 자리매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XML/EDI 통관시스템은 향후, 서비스의 최대 걸림돌이 되어왔던 값비싼 EDI 사용료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이며, 저렴한 EDI구축/운영 비용으로 전자문서교환의 활성화와 XML이 인터넷 기반의 문서유통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항만 물류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안

  • 최형림;박영재;박남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95-102
    • /
    • 1998
  • 항만에는 다양한 조직이 물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화물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독 자적으로 보유·운영하고 있다. 선사는 화물선적예약 및 선적 데이터, 컨테이너터미널은 컨 테이너 반 출입 및 q관 데이터, 관세청의 통관시스템(CAMIS)은 통관 및 적하 목록 데이터, 해앙 수산청의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ST-MIS)은 선박 및 입출항 데이터 등을 가지고 있 다. 이들 데이터는 개별 조직 내에 각 조직의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화 및 코드화 되어 있지만 조직간 연계가 되어 있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한 항만 물류 유관 조직들이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나아가 항만 물류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역할을 정의하 였으며 새로운 항만물류시스템과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Multi-modal Representation Learning for Classification of Imported Goods (수입물품의 품목 분류를 위한 멀티모달 표현 학습)

  • Apgil Lee;Keunho Choi;Gunwoo Kim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1
    • /
    • pp.203-214
    • /
    • 2023
  • The Korea Customs Service is efficiently handling business with an electronic customs system that can effectively handle one-stop business. This is the case and a more effective method is needed. Import and export require HS Code (Harmonized System Code) for classification and tax rate application for all goods, and item classification that classifies the HS Code is a highly difficult task that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is an important part of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Therefore, this study uses various types of data information such as product name, product description, and product image in the item classification request form to learn and develop a deep learning model to reflect information well based on Multimodal representation learning.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burden of customs duties by classifying and recommending HS Codes and help with customs procedures by promptly classifying items.

항만 물류용 능동형 RFID기술

  • 이은주;성낙선;최길영;표철식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6 no.3 s.55
    • /
    • pp.26-32
    • /
    • 2005
  • RFID 기술은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하여 무선으로 사물의 ID를 인식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주변상황 정 보를 감지하고 수집 된 정보를 저 장, 가공, 추적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측위, 원격처리, 관리 및 사물간 정보 교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특히,.미 관세청에서 2005년 미국에 수출되는 컨테이너에 RFID 태그를 부착하는 정책을 발표하여 2006년부터는 능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한 컨테이너 통관을 시행할 예정이며, 현재 태그 부착은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선별적으로 컨테이너 전수 검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어서 반강제적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산업의 변화의 대세에 따라 제조업체의 생산품이 유통 과정을 거쳐 항만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나아가서 외국 항만과의 연계를 통하여 수출입 전 과정의 추적성을 파악하고 거기에 다른 시스템의 효율적인 통합을 이루어 언제 어디서나 화물의 추적과 관리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선진화된 항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항만 물류용 능동형 RFID 기술과 관련하여 시스템 구성 요소 및 관련 기술 동향, 항만 물류 시스템의 응용에 대해 알아본다.

B2G XML/EDI 기반 해상통관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개발

  • 김현수;김성훈;박남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6-11
    • /
    • 2000
  • 수출입 관련 항만물류업무 처리의 효율화를 위해 1996년부터 도입된 EDI는 서류없이 각종 항만물류 및 통관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VAN EDI 로써 폐쇄적인 VAN 망을 통하여 EDI VAN사업자가 사용자의 EDI문서를 관련 정부기관에 중계만을 하여 EDI문서에 나타난 각종 데이터의 누적을 통한 물류정보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한편, EDI를 수신한 각 정부기관에서는 필요한 물류요약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EDI 문서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필요한 요약 정보를 리포트 형태로 프로그램하여 생성하고 있어 정보제공의 시간지연과 프로그램 업무의 과중 및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에서 수출입 항만물류와 관련한 다차원 정보를 실시간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는 운영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차원 구조의 데이터웨어하우스로 데이터를 추출, 전환, 복사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본 연구에서는 EDI 수신 기관의 운영데이터베이스보다 더 원천 데이터인EDI 문서로부터 데이터웨어하우스로 데이터 변환을 함으로써 항만물류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데이터 추출 단계를 한 단계 줄였다. 현재 VAN EDI 방식은 그 폐쇄성과 비용 때문에 향후 인터넷을 이용한 XML/EDI로 기술 이전될 것이 예상되며 이러한 상황에서VAN EDI 포맷이 아닌 XML/EDI 문서로 부터 데이터웨어하우스로의 전환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세청의 수출통관 EDI에 대해 이를 XML/EDI 로 XML 스키마를 정의하고 이로 생성된 XML 문서를 SQL 서버로 구현된 OLAP 용 데이터웨어하우스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XML을 이용한 EDI체제에서 전자문서전송기능과 정보제공기능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연동을 동해 EDI시스템을 다차원 의사결정정보 시스템과 통합하게 하여, 향후 인터넷 기반 XML/EDI 중계서비스에 있어 물류정보서비스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C/O under FTA (FTA 체결에 따른 전자원산지증명서 활성화 방안)

  • Lee, Chang-Sook;Kim, Jong-Chill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5 no.3
    • /
    • pp.475-498
    • /
    • 2013
  • The most fundamental reason why FTA Agreement must be concluded is based on the preferential tariff treatment among country parties. In order to get applied by the preferential tariff treatment under an FTA, the parties need to meet the rules of origin and the criteria stipulated under the FTA simultaneously. In addition, Certificate of Origin(C/O) document is required to claim for the preferential treatment under the FTA Agreement. In South Korea, the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can be issued by the UNI-PASS and FTA-PASS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The Web Certification System of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also is established. But the majority cases of requesting the preferential Certificate of Origin are generally performed by the business partners. The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are urgently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FTA,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 situation of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throughly. Second, the current circumstances related to electronic Certificate Origin are analyzed in the practical and systematic perspectives. Finally, the improvements for activating electronic Certificate of Origin is suggested.

  • PDF

물류부문에서의 블록체인 플랫폼 구현현황과 미래 전망

  • Han, Hak-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2-116
    • /
    • 2019
  • 블록체인으로 물류부문에서의 플랫폼을 구죽하고 이를 통해 국내외 유관기관 사용자들을 연동하여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물류부문에서의 생산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노력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관세청의 통관물류 블록체인 플랫폼구축, 삼성 SDS의 젤로에서 딜리버로 이어지는 물류플랫폼 구축, 케이엘넷의 블록체인형 물류입줄항관리 이외에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있다. 해외에서는 머스크와 아이비엠의 블록체인형 글로벌 물류플랫폼인 TRADELENS 프로젝트, 전세계 항만네트워크사업자들의 모임인 IPCSA 에서 추진하는 블록체인형 전자선하증권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물류라는 것이 관련 기관들이 워낙 다양하고 이용되고 있는 서류들이 많아서 쉽게 블록체인으로 플랫폼이 구현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물류부분의 플랫폼은 기술의 문제라기 보다는 업무 처리 및 이해당사자들의 문서호환 및 정보 공유 또는 보호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로 거론되고 있는 블록체인을 효과적으로 잘 이해하고 우리의 물류부문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위해서는 블록체인 플랫폼구축에 대해 보다 바른 방법으로의 접근과 시스템구현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이에 국내외 블록체인 플랫폼 구현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대 응방안을 모색하며 미래의 바람직한 플랫폼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Method of Classification of Overseas Direct Purchase Product Groups Based on Transfer Learning (언어모델 전이학습 기반 해외 직접 구매 상품군 분류)

  • Kyo-Joong Oh;Ho-Jin Choi;Wonseok Cha;Ilgu Kim;Chankyun W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71-57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되는 온라인쇼핑동향조사를 위해, 언어모델 전이학습 기반 분류모델 학습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세청 제공 전자상거래 수입 목록통관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서 해외 직접 구매 상품군 분류 모델을 구축한다. 최근에 텍스트 분류 태스크에서 많이 이용되는 BERT 기반의 언어모델을 이용하며 기존의 색인어 정보 분석 과정이나 사례사전 구축 등의 중간 단계 없이 해외 직접 판매 및 구매 상품군을 94%라는 높은 예측 정확도로 분류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EDI Model in the Port and Logistics Industries (항만물류산업에서 업체별 EDI 활성화 모형개발)

  • Shin, Chang-Hoon;Kim, Yul-Sung;Song,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9 no.1
    • /
    • pp.369-375
    • /
    • 2005
  • The rapid growth of economy in china leads to concentrate throughput volume of World to North East Asia. Ports in North East Asia have to cope with rapid changes in environments. In order for a port to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it must provide proper productivity and promptly services of port. The system of information hold a key in port-logistic industries. Most ports make every effort to set up and operate the system of Information. Busan port already set up the system of port-logistic information such as Port-Mis, KROIS. But it is not activate yet because of problems of security and certification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Model which can activate the system of port-logistic information. In addition to, We suggest definite and feasible model by group and types of port-logistic industry.

  • PDF

A study on the exportation of the e-clearance system of Korea Customs Service to overseas aiming to lead the global trend of Customs informatization (정보화시대 글로벌 리더로의 도약을 위한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해외수출 전략에 대한 연구)

  • Seo, Jae-Yong;Jo, Jeong-Hu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45-53
    • /
    • 2006
  • Ever since the computer came into being in early 20th century,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d to the opening of the ubiquitous age where daily works can be done anywhere, anytime, and with any devices. The information technology has drawn attention from Customs around the world as a key means to fulfill multi-faced responsibilities of strengthening regional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trade, simplifying clearance procedures, expediting logistics flow, and ensuring security in the global supply chain. Korea Customs Service, which began the informatization effort by establishing the electronic export declaration system in 1992, completed the 100% electronic clearance system in 2000, with a number of countries now conducting benchmarking studies on the successful use of IT by KCS.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changes brought to the Customs administration in the information age, the progress and achievement of the Customs informatization as a proactive strategy to deal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exportation to overseas administration of the e-clearance system of KCS which strives to become the global leader of Customs informatization. The exportation. in particular, will not only lead to increased foreign currency earnings and shared know how, but also create an opportunity to reflect Korea's system in the standardization of Customs procedures around the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