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세인하

Search Result 7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에너지 관세율표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1 s.11
    • /
    • pp.41-42
    • /
    • 1982
  • 이 관세율표는 지난 해 12월 31일 법률 제3,478호로 개정 공포된 관세법중 개정법률에서 광물성 연료, 광물류등 에너지부문을 발췌한 것이다.

  • PDF

진흥회 활동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15 no.9
    • /
    • pp.65-67
    • /
    • 1995
  • PDF

Comparison of Tariff Structures of Forest Products Between Korea and China (한-중 임산물관세구조 비교분석)

  • Chang, Cheol-Su;Lee, Sa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1
    • /
    • pp.102-112
    • /
    • 200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ariff structures for the upcoming FTA negoti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China is the biggest trade partner of Korea, sharing 33% of total trade value of forest products. However, import takes majority of trade value and it grows constantly. The results of FTA negotiation may have large impacts on Korean forest industry. The conclusions indicate that China subdivides items more complicatedly, and impose lower tariffs on forest products except stone than Korea. Besides, China has tariff escalation system that imposes lower duties on raw material than the manufactured, and also charges different rates of tariff on items of the same heading number according to the degrees of manufacturing. Furthermore, Korea imposes adjustment duties and didn't grant concessions on plywood and board items for protection of domestic industries, however, China already made concessions on all items. As a result of this, it will be unavoidable for Korea to increase import value from China, and tariff removal will have more negative impacts on Korea than China.

An Empirical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of the Korea Customs Service (관세행정 위험관리에 관한 실증 연구)

  • Kim, Yeong-Chun;Sin, Seung-Ho;Ryu, Geon-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8-63
    • /
    • 2007
  • 본 연구는 관세행정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관세행정 기능의 사명별 중요도가 변화되고 행정방향도 주변분야까지 확대되었다. 이에 위험관리의 패러다임도 업무별 개인 차원의 적발과 단기성과 위주에서 지능적이고 정부 차원의 장기성과 위주로의 변화가 요청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관세행정의 위험관리에서의 변수간의 통계적 상관관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로 계획, 점검, 개선 단계의 변수만이 위험관리 성과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집행단계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각 단계에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계획단계는 안정성과 민주성 및 투명성이, 점검단계에서는 신속성과 정확성 및 합법성이, 개선단계에서는 혁신성과 교육성 및 홍보성이 위험관리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관세행정에서 통합전략적 위험관리를 위해 첫째로 취약성은 최소화하고 강점을 강화키는 사전예방적 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둘째로 위협사건 최소화와 적출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로 발생손실의 복구와 교정기능이 확보되어 고객을 감동시켜야 한다. 넷째, 변화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How to Harmonize Our Tax Policy on E-Commerce with Global Standards (전자상거래의 조세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노준화;왕현선;송연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v.10 no.4
    • /
    • pp.85-102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제적으로 논의된 전자상거래 과세제도 및 조세지원제도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세목별로 제시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조세문제를 세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가가치세의 경우 소비지과세원칙의 수립, 재화와 서비스의 구분 문제, 과세방법의 문제 등이 있다. 둘째, 관세의 경우 디지털 재화에 관세를 부과할 것 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셋째, 소득세의 경우 고정사업장의 정의, 소득의 분류, 사업장간 소득의 배분, 거주지의 판정문제 등에 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러한 조세문제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부가가치세의 경우 우리나라는 소비지국과세원칙을 주장할 필요가 있다. 관세의 경우 우리나라는 현재 무형재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지만 세수를 증대시키기 위해 무형재에 대한 관세부과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소득세의 경우 고정사업장의 정의나 원천지 과세원칙에 대해서는 OECD가 정의한 방안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