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상동맥 중재술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관상동맥 CT 조영술을 활용한 스텐트 재협착 평가: 과거와 현재 최신 동향으로의 여정 (Coronary CT Angiography-Based Assessment of Coronary in-Stent Restenosis: A Journey through Past and Present Trends)

  • 이윤성;박은아;이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58-269
    • /
    • 2024
  • 관상동맥병 환자의 치료에 풍선팽창스텐트 치료는 현재 가장 흔히 시행되는 관상동맥재개통 치료법이다. 그러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이후 재협착은 여전히 주요 합병증으로 남아 있다. 스텐트 재협착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관상동맥 CT 조영술(coronary CT angiography; 이하 CCTA)는 과거에는 주로 번짐허상과 움직임허상으로 인해 내강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워 그 역할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 침습적인 고식적 관상동맥 조영술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근래 CT 기술의 발달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개선되면서 그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특히 일관되게 음성예측도가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진단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최신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관상동맥 조영술 및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에 대한 진단참고준위에 관한 연구; 경상도지역중심 (A Study of Diagnostic Reference Levels for Coronary Angiography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Gyeongsang Area)

  • 임시왕;김정수;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2호
    • /
    • pp.123-129
    • /
    • 2023
  •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can involve relatively high radiation doses compared to conventional radiography. During CAG, CAG + PCI and PCI the same area is exposed to radiation for a long period. In this study, radiation exposure data of 421 examinations in Gyeongsang area were collected, and the DRLs and ADs in actual medical practice for three types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in Korea were established. In CAG 286 case, 75th percentile DRLs and ADs of the total DAP were 55.89 Gy·cm2 and 37.47 Gy·cm2 , respectively. In CAG + PCI 92 case, those values were 222.84 Gy·cm2 and 117.51 Gy·cm2 respectively. In PCI 43 case, those values were 198.73 Gy·cm2 and 120.13 Gy·cm2 respectively.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in Gyeongsang area were established. Using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procedures derived from this study, it will help to identify and improve the level of exposure dose in the region and country.

관상동맥조영술에 사용된 요골동맥의 우회도관으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Suitability of Radial Artery Graft as Bypass Conduit after Transradial Catheterization)

  • 신윤철;이동석;지현근;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897-902
    • /
    • 2004
  • 배경: 관상동맥조영술 또는 중재술에 사용된 요골동맥을 관상동맥우회술시 우회도관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이로 인한 요골동맥도관의 개존성 및 환자의 임상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는 보고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저자들은 관상동맥조영술에 사용된 요골동맥을 우회도 관으로 사용한 환자들의 임상성적과 술 후 개존도를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 부터 2004년 2월까지 관상동맥조영술에 사용된 요골동맥을 동맥도관으로 사용한 49예를 I군으로, 관상동맥조영술에 산이지 않은 요골동맥을 동맥도관으로 사용한 44예를 II군으로 정하여 두 군간에 성비, 나이, 술 전 위험인자, 과거력, 임상진단, 수술방법, 수술성적, 우회도관의 개존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 남녀비, 연령, 진단명, 수술 위험인자, 심박출률 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술 전 관상동맥조영술은 I군에서는 전예에서 좌측 요골동맥을 이용하였고 II군에서는 대퇴동맥 혹은 우측 요골동맥을 이용하였다. 수술은 전예에서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사망은 양군에서 모두 없었고 주요합병증은 I군은 5예(10%), II군은 3예(7%) 있었다. 수술에 이용된 우회도관으로는 양군에서 내흉동맥, 요골동맥, 대복재 정맥을 주로 이용하였고 I군은 환자당 평균 3.7$\pm$1.1원위부문합, II군은 3.7$\pm$0.9원위부문합을 시행하였고 요골동맥절편은 I군에서 환자당 평균 1.2$\pm$0.4원위부문합, II군에서 1.3$\pm$0.5원위부문합을 시행하였다. 요골동맥의 원위부문합은 양 군에서 회선지 부위가 가장 많았고 근위부문합은 두군에서 모두 상행대동맥, 내흉동맥, 대복재정맥 후드 순이었다. 수술 후 관상동맥조영술상 양군에서 내흉동맥과 요골동맥은 모두 100%의 개존도를 보였으며 대복재정맥은 I군 85%, II군 86%의 개존도를 보였다. 요골동맥절편에서 완전개존이 I군에서 93%로 II군의 81%보다 오히려 높게 나왔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술 후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양군에 개존율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술에 사용된 요골동맥도 비교적 안전하게 관상동맥우회술의 우회도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관상동맥 우회술후 관상동맥 조영검사 소견 (Coronary Angiograph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최진호;박계현;전태국;이영탁;박표원;채헌;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82-187
    • /
    • 2002
  • 배경: 그간 관상동맥 우회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는 주로 우회도관의 개존률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수술후의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의 폭은 훨씬 넓으며, 이는 수술 전략 설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고 퇴원한 환자 448명중 1개월 이상 경과후 관상동맥 조영술 추적이 이루어진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후 평균 10.6개월 경과시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가 시행되었고 검사 이유는 협심증의 잔존이나 재발이 54명, 심근관류검사나 초음파검사상의 이상이 13명, 단순한 추적목적이 6명이었다. 결과: 우회도관 개존률은 단순추적검사 환자들에서는 80.9%(내흉동맥 100%, 복재정맥 75.0%), 심근 허혈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환자들에서는 61.6%(내흉동맥 81.1%, 복재정맥 55.3%)였다. 50명(68.5%)의 환자에서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내경협착이 20% 이상 진행한 곳이 한 군데 이상 나타났다. 수술 전 완전 폐쇄되지 않았던 201개의 관상동맥 분지중 95개(47.3%)에서 협착 정도가 20%이상 진행하였고 이중 64개(31.8%)는 완전 폐쇄로 진행하였다.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는 수술후 경과한 시간이나 수술전의 협착정도와는 연관이 없었고 우회도관이 폐쇄된 경우(36.3%)보다 개통되어 있는 상태(56.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5). 내흉동맥과 복재정맥의 비교시 개존률(83.3% vs 56.6%) 뿐만 아니라 경피적 중재술이 필요한 경우 성공적으로 시행될 확률도 큰 차이를 보였다(100% vs 62%, p<0.05). 결론: 관상동맥 우회술 후 비교적 조기에 우회도관 조성 근위부의 관상동맥 협착이 진행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복재정맥의 불량한 장기 개존률을 고려할 때 중등도 이하의 협착을 가진 관상동맥 분지의 우회로 조성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 관상동맥 우회수술시 좌전하행지 우회로의 중요성과 함께 내흉동맥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골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의 손마사지 효과 (The Effects of Hand Massage in Patients Who Underwent Transradi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신은실;김명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5-474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nd massage in patients who underwent transradi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included 3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Hand massage was performed 2 times for 5 minute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ly received usual nursing interventions. Pain, level of discomfort, and vital signs were defined as key outcome measu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Friedman tes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2 groups in the pain score (F=7.91, p=.003), discomfort score (F=18.15, p<.001), pulse (F=12.92, p<.001), and respiration rate (${\times}^2=19.35$, p<.001). Conclusion: Hand massage can be a helpful nursing intervention for transradi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by reducing pain and discomfort to a considerable degree.

요골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압박밴드의 공기제거 방법에 따른 통증 강도, 통증 감각, 출혈 및 혈종 비교 (Comparison of Pain, Sense, Bleeding and Hematoma Depending on the Process of Air Elimination of Pressure Band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rough Radial Artery)

  • 김미석;오지선;조혜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5-28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ain, sense, bleeding, and hematoma that patients feel depending on the process of eliminating air of pressure band that was applied to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through radial artery. Methods: It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compare pain, sense, bleeding, and hematoma by amount and time of eliminating air of pressure band after PCI through radial artery. Results: On arrival at Coronary Care Unit, meaningful difference didn't exist between pain and sense, however, after two hours of starting eliminating air, the points of pain and sense were meaningfully low (p<.001). Also,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reciprocal 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p<.001). Conclusion: After PCI, the conclusion showed there is positive effect in decreasing wrist pain and sense without any influence of bleeding by eliminating air from patients' pressure bands.

관상동맥중재술 환자의 재원일수 중증도 보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everity-Adjustment Model for Length of Stay in Hospital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 남문희;강성홍;임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72-38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중재술 입원 환자의 재원일수의 변이를 규명하기 위해 중증도 보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2004~2006년 퇴원손상환자 조사자료 중 관상동맥중재술 입원 환자 1,011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재원일수의 변이분석은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은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 재원일수를 산출하고 이를 실제 재원일수와 비교한 결과 병상규모별, 보험유형과 지역별로 재원일수의 변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특성과 중증도를 통제하고 나타난 재원일수의 변이는 공급자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진료행태나 의료자원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행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증도 모형을 개발하고 변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활용의 효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중재 연구 고찰 (Literature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for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백경화;손연정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82-9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from controlled trials regarding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discussion of the methodological problems that limit current research, and suggestions regarding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Methods: Using a predefined protocol, 27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studies selected, relevant data extracted,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ies assessed. Results: Twenty-seven studies were found reporting complex, generally heterogeneous interventions. The studies reported positive results, including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care. There were 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9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2 only research group studies. In addition to support components, the interventions included elements of teaching, counseling, and education. Nursing interventions are still in the developmental and testing phase. Conclusion: The review demonstrated that a great deal is known about nursing intervention, the impact on a range of outcomes, and methodology. Although some useful evidence was reported for all intervention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