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상동맥질환자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심박동변이도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김원식;배장호;최형민;이상태
    • 감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95-101
    • /
    • 2005
  • 본 연구는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 CAD) 환자의 심장 부교감신경 활성화가 감소하고, 만성 심부전(chronic heart failure : CHF) 환자의 심박동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 HRV)에서 정상적 RR 간격의 분산(SDNN :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과 저주파수 대역의 전력스펙트럼(low-frequency power : LF),그리고 복잡성이 감소하며, CAD환자의 우측으로 누운 자세에서 HRV의 규격화된 고주파수대역의 전력스펙트럼(normalized high-frequency power : nHF)가 3가지 누운 자세 중에서 가장 높다는 사전 정보에 근거하였다. 세 가지 누운 자세에 대한 HRV의 비선형 특징은 알려진 바가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누운 자세에서 HRV의 선형과 비선형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관상동맥질환군 29명과 통제군 23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누운 자세에서 심전도의 Lead II 채널을 측정한 뒤, 심전도로부터 심박동변이도의 선형특성(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과 비선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똑바로 누운 자세 또는 좌측으로 누운 자세에서 심박동변이도의 nHF가 더 작을수록, 이 자세들로부터 우측으로 누운 자세로 전환할 때 nHF가 더욱 증가하였다. 중증의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세 가지 누운 자세 중에서, 우측으로 누운 자세는 심장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가장 높게, 심장교감신경계의 활성도는 가장 낮게, 그리고 생체시스템의 복잡성은 가장 높게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 PDF

Tl-201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디피리다몰 부하로 유도된 일시적 좌심실 기능이상 (Dipyridamole Induced Transient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in the Tl-201 Gated Myocardial SPECT)

  • 원경숙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3-161
    • /
    • 2003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Tl-201 게이트 심근 SPECT시 나타나는 부하 후 일시적 좌심실 기능이상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디피리다몰 부하 게이트 심근 SPECT를 시행한 환자 중 관상동맥조영술을 두 달 이내에 시행한 환자로 이 중 심근경색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게이트 SPECT는 부하기와 재분포기 모두 실시하였으며 부하시 좌심실 구혈률이 재 분포기에 비하여 11%이상 감소한 경우에 부하 후 심근 기절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총 93명의 대상환자를 관상동맥조영술 결과에 따라 정상(1군)과 관상동맥 질환(2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부하 후 좌심실 기능이상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정상 대조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은 4시간 재분포기에 비하여 부하기에 평균 3.1% 증가하였으나, 관상동맥질환군에서는 평균 4.1% 감소하였다(p<0.01).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은 두 군 모두 부하기에 증가를 보였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은 정상 대조군에서는 부하기에 0.7% 감소하였으나, 관상동맥질환군에서는 7.2% 증가하였다(p<0.01). 부하 후 좌심실 기능 이상은 1군 62명 중 0명, 2군 44명 중 8명(18.2%)으로 2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1). 정상 대조군에서 부하 후 일시적 좌심실 기능이상은 한 예도 관찰되지 않았다. 44명의 관상동맥질환 환자 중 8명에서 일시적 좌심실 기능이상이 관찰되었는데 단일혈관 협착에서 1 예(9.1%), 2 혈관 협착에서 0(0%), 3혈관 협착에서 2 예(14.3%), 좌주간동맥협착에서 5 예(62.5%)였다.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을 다시 단일과 두 혈관 협착군과 세 혈관협착과 좌주간동맥 협착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일시적 좌심실기능이상의 빈도를 비교하였을 때 4.5%와 31.8%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디피리다몰과 Tl-201을 이용한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심근경색을 제외한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 약 20%에서 부하 후 심근기절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하나 또는 두 혈관질환보다는 세 혈관 질환 또는 좌주간지 협착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 계층화와 예후추정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관상동맥 혈관 조영상의 화질 측정 방법 고안 (Development of Image Quality Measurement Method of Coronary Angiography Using Image Analysis Program)

  • 서영현;송종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1-120
    • /
    • 2020
  • 병원에서 사용하는 X선 장비는 X선 장비의 능력 연구와 더불어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까지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영상의학과 장비의 X-Ray기계나 CT, MRI와 같은 장비의 후향적 이미지 분석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혈관조영실의 혈관조영장비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의 화질 측정은 팬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대부분이고 실제 환자에게 촬영된 후의 영상에 관한 화질 측정은 미비한 실정이며 정확한 화질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 조영술 후 획득된 영상의 화질측정 방법을 고안한 연구를 진행해 시술자에게 질 높은 영상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사용된 장비 및 프로그램은 혈관 조영 검사 장비(Axiom Artis Zee Ceiling)와 Image J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으로는 관상동맥 조영술 후 PACS프로그램에 자동 저장된 영상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화질 측정 방법으로는 Image J프로그램을 이용했을 때 관상동맥 조영술 중 좌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들이 가장 잘 펼쳐져 보이는 각도의 영상인 AP Caudal 30°영상과 우 관상동맥의 혈관이 가장 잘 펼쳐져 보이는 LAO 30° 영상을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의 배경영역(Background)과 관심영역(ROI)을 측정하기 위해 혈관과 간, 폐 등의 음영 중복이 가장 최소화 되는 구간을 찾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혈관 조영 영상의 화질측정 분석 방법은 정확히 제시되어 있는 기준이 없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질 좋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선 그 장비의 기술자들뿐 아니라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연구자가 되어 다양한 방법으로 화질측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야만 환자에게도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상동맥중재술을 받고 재입원한 환자의 불확실성, 환자역할행위 및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Sick Rol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Rehospitalized Patients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김혜란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3호
    • /
    • pp.279-28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in illness and the future, sick role behavior with what diet, weight control, no smoking, abstinence, doctor visits, medications, etc, and quality of life of rehospitalized patients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a cardiology ward. Methods: A total of 120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grav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 mean score for uncertainty was $3.45{\pm}1.08$. Sick role behavior of the patients showed a moderate value with a mean of $3.68{\pm}0.79$.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was $3.52{\pm}0.64$. Uncertainty in illness and the fut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ick role behavior with that diet, weight control, no smoking, abstinence, doctor visits, medications, etc (r=-.27, p=.002), and quality of life (r=-.35, p<.001), and sick rol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quality of life (r=.62,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crease the levels of uncertainty and reinforce positive behaviors by patients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ucation and Counselling-based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Risk,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원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03-313
    • /
    • 2015
  • 본 연구는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와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사 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이용하였다. 2010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부산광역시 D병원에 입원한 노인 관상동맥질환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 총 44명을 편의표집하고,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심혈관 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혈관 위험도(U=118.5, p=.002), 건강행위(t=6.776, p=.001)와 삶의 질(t=2.431, p=.0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 위험도를 감소시키고 건강행위와 삶의 질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관상동맥질환자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인지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 진혜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6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This secondary analys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tudy participants included 466 patients over 20 years of age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easures included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design,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2 statistic,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Subjective health influenced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partially mediated it. Conclusion: To prevent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종합병원의 경피적 관상동맥조영술 후 환자의 수면의 질과 수면방해요인 (Sleep Quality and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 among Percutaneous Coronary Angiography Patients in a General Hospital)

  • 신선자;박경연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69-7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nce of sleep quality and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 among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angiography in a general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mprised of 101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angiography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3.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levels of the participants' sleep quality and sleep disturbance were 4.35 and 5.91 in order of each out of the total score, 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slee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and internal medicine unit.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were 'uncomfortable bed, gown and pillow'(${\beta}=-.279$, p=.003), 'living alone'(${\beta}=-.273$, p=.003), and 'toilet problem' (${\beta}=-.222$, p=.016), which explained 21.5% of the variance (F=10.03,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the sleep quality of patients with percutaneous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 우회술 후 12개월 환자와 일반인의 삶의 질 비교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Patients with 12 Month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nd General Population)

  • 송영숙;이정선
    • 임상간호연구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quality of life with patients in 12 month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ompared with general population. Method: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 was designed. Study participants were 90 adults who had undergone CABG surgery (n=45) in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population (n=45) in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asked the questionnaire (SF-36, Short Form-36)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3.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x^2$ tes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wo groups including physical functioning (t=-.938, p=.351), role-physical limitation (t=-.322, p=.748), bodily pain (t=-.938, p=.351), general health (t=-.1418, p=.888), vitality (t=-.816, p=.417), social functioning (t=.720, p=.474), role-emotional limitation (t=-.710, p=.479), mental health (t=-.431, p=.667). Conclusion: Even though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operation experience, the quality of life examined on the time of 1 year after bypass surgery is similar in that of general population. We suggest the study change the design as examination of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 PDF

관상동맥질환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Patient with Coronary Heart Disease)

  • 김은경;김매자;송미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5-36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quit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80 male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at three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 reporting in a structured questionnair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Included variables were attitudes toward smoking cessation,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usefulness of smoking cessation, and previous attempts to quit. Result: 1. The mean score for intention to quit was 11.1($\pm$6.1) which was lower than median score of the scale.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ll predictive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quit(r=.24-.48, p<.05). 3. usefulness of smoking cessa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revious attempts to quit explained 34.6% of the variance for intention to quit. Conclusion: usefulness of smoking cessa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revious attempts to qui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us, it is necessary to try to enhance this factors for increasing intention to quit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