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리기준

Search Result 7,97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Selec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ystem for Preservation Formats of Video-Type Digital Records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Ji-Hye Kim;Dongmin Y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4 no.1
    • /
    • pp.163-186
    • /
    • 2024
  • With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establishment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Preservation Format of Digital Records (v1.0) in 2022, criteria have been formed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reservation formats for various types of digital records.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diverse electronic file types are produced. However, no specific criteria exist for records other than document types, such as PDF/A-1b.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intrinsic criteria for selecting preservation formats for audiovisual records, particularly focusing on video-type digital records, to expand the scope of th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criteria. Initially, significant properties of video-type digital records were determined, forming the basis for the intrinsic criteria. According to these properties, the video types were categorized into container type and codec type, and three and six evaluation criteria items were derived, respectively. By structuring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attribute, this paper proposes intrinsic criteria for selecting preservation formats for video-type electronic records.

Research on a Valuation Standard and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curity Management in PACS (PACS에서 보안관리 평가기준 연구와 실태조사)

  • Jeong, Jae-Ho;Dong, Kyung-Rae;Kweon, Dae-Cheol;Son, Gi-Gyeong;Kim, Hyun-Soo;Kang, Hee-Doo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4
    • /
    • pp.347-353
    • /
    • 2008
  • This study is to prepare an evaluation standard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security management of a medical institution and to build up a grade standard of evaluation in PACS environment. We built up evaluation index based on 10 detailed items in four big categories (political security, technical security, data management security and physical security) by referring to ISO17799 (BS 7799), HIPPA (Health Insurance and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of 1996) and domestic medical law. We have investigated at the thirty places where medical facility with the extracted security criteria and security evaluation index. Average score of physical security list, one of the big categories, was 18.5/20 (93%) at all medical institutions. Political security score was 18.5/30 (62%), data management security score was 12/20 (60%) and technical security score was 17.5/30 (58%). Therefore, security evaluation score was average 67 in 30 general hospitals, which was 4th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valuation and management standard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security consciousness which are weak in PACS environment.

  • PDF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통합고시 중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40
    • /
    • pp.29-36
    • /
    • 2002
  • 도시가스안전관리기준통합고시 중 일부가 산업자원부고시 제2002-31호가 지난 3월 9일 개정되었다. 이 고시에는 그 동안 우리 협회 가스시공위원회(위원장 이영일)가 PE관 버트 융착 시공기준에 따른 문제점을 건의한 것이 받아들여져 2002년 3월 1일부터 착공되는 공사부터 PE관은 동일한 호수의 관종류를 사용토록 개정되었다.

  • PDF

SPECIAL Edition - [HACCP 기준원 기획연재] 선행요건프로그램의 작성

  • Lee, Gyeong-Sun
    • Monthly Duck's Village
    • /
    • s.83
    • /
    • pp.45-46
    • /
    • 2010
  • 농장에서 효과적인 HACCP시스템의 적용을 위해서는 HACCP을 적용함에 있어서 토대가 되는 "선행요건프로그램(Pre-requisite program, PP)" 즉, 자체위생관리기준(Sanita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SOP)과 우수 농장관리기준(Good Agricuiture / Production Practice, GAP/GPP)이 적절히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난호에서 기술한 바 있다. 이번호부터 선행요건프로그램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자.

  • PDF

Comparative Assessment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andards in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Control Act with respect to Produce Safety Rule in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식품안전현대화법의 농산물안전규칙과 농산물품질관리법의 농산물우수관리기준 비교평가)

  • Yoon, Deok-Ho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3 no.1
    • /
    • pp.12-22
    • /
    • 2018
  • The US government has enacted the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in 2011, which is being phased in and planned. The final Rules of Produce Safety focus on biological hazards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harvesting, packaging and storage, which are being phased in since 2017 depending on farm scale.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Korean-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andards,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two standards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1:1. However, many of the Korean-GAP standards are similar to FSMA Produce Safety rules. However, the Korean-GAP standards can be jud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valuator as a comprehensive standard, so the details of the standards need to be reinforced. In terms of the provisions, the Korean-GAP standards ar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afety of workers (FSMA Subpart D), followed by livestock and wild animals (FSMA Subpart I), buildings, equipment and tools (FSMA Subpart L) and harvesting activities (FSMA Sub-part K). However,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FSMA Subpart E) and farm manager's qualifications and training (FSMA Subpart C), and the response to the biological soil amendments of animal origin and human waste (FSMA Subpart F) is weak. The FSMA regulation is not a certification standard, but it is expected that the marbling effect, which is the standard laid down by the United States leading the world food safety standards,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e. Therefore, we hope that the review of the Korean-GAP standards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xpand our exports, since the standard for responding to microbiological safety emphasized in the FSMA regulations is the Korean-GAP standard.

중요목조문화재 소방시설 관리기준의 필요성 연구

  • Sin, Ho-Jun;Gu, Won-Hoe;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34-135
    • /
    • 2013
  • 2008년 숭례문 화재 이후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에 소화전, 방수총, 감지기, CCTV, 자동화 재탐지설비 등 수많은 방재시설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설치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이 없어 안전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문화재의 특수성을 고려한 별도의 법률이 아닌 소방시설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되어 소방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위치한 159개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현장조사를 통하여 방재시설 실태를 알아보고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건축물 석면관리 가이드라인 제정.시행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53-57
    • /
    • 2009
  •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던 석면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아기에게 바르는 파우더를 비롯하여 화장품 등에까지 석면공포가 확산됨에 따라 환경부는 석면이 주로 건축자재(80% 이상)에 사용된 만큼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 건축물에 사용된 석면의 안전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 가이드라인을 제정, 시행에 들어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은 $\Delta$건축물에 사용된 석면함유 설비 또는 자재를 조사하여 석면지도 작성 및 6개월마다 훼손 여부 평가 관리 $\Delta$석면 해체 제거작업 과정에서 석면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변 대기 중 석면농도 0.01개/cc(실내공기질 권고기준) 기준 설정 $\Delta$석면 해체 제거 작업 및 폐석면 처리 시 안전한 석면관리를 위한 준수사항 등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건축물 사용단계부터 철거 폐기까지 전 생에에 걸친 석면 관리 방법 및 기준 등을 포함하고 있어 건축물 이용자, 철거지역 인근 주민의 석면 노출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가이드라인을 자치단체, 다중이용시설 관리자, 건축물 철거업체 등을 통해 널리 알리는 한편, 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관련제도 보완 등 건축물 석면관리 개선방안을 오는 6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 PDF

Function and Use Evaluation of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in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기준관리' 기능 및 이용 평가)

  • Chung, Sang-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7
    • /
    • pp.189-237
    • /
    • 2013
  • Since central governments began to establish and use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RMS) in 2007, more and more local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organizations have constructed RMS. RMS is the essential tool for records management in electronic environments, but it is not known how well the functions of RMS reflect standards and practice related records management or how many records managers use RMS in performing their works. This paper deals with analyzing the evaluation of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in RMS.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has 4 subfunctions of review of classification & preservation period, management of the schedule items, assign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and re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and disposal schedule is at the heart of intellectual control of records and core area of records management. So it is important to analyze whether this function plays well a role in RMS or not. This research carried out evaluation of function and use about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in RMS. Functional evaluation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well RMS meet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which home and foreign standards give. Use evaluation is to investigate how records managers use RMS in accomplishing their task of managing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and to look into what is the problem with the use. This paper could get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survey of records managers who are working at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basic local governments. And these implications are considered in institutional, functional, use and administrative aspect.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stakeholders so that 'classification & disposal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further, all functions of the RMS in practice of records management could be used smoothly. Users of RMS have to raise demands or call for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oblems which come up in use, while RMS developers and administrators must make more of an effort to satisfy their demands, reflect them on the RMS and enhance the system.

Calculation of Total Amount of Pollutant Load by Sub-Watersheds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소유역별 오염총량 산정)

  • Lee, Kil-Seong;Kim, Kyung-Tae;Kim, Sang-Ug;Chung, E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81-1984
    • /
    • 2008
  • 기존 하천에 실시되고 있던 농도 규제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고자 우리나라 4대강에 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약 8년 동안 실시된 오염총량관리제도에 기술적 제도적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총량관리제도의 많은 문제점들 중에 기준유량에 대한 문제점과 오염부하량의 할당에 대한 문제점에 중점을 두었다. 총량관리단위유역은 대표적인 도시하천 중 하나이며 한강의 지류인 안양천 유역이며, 목표수질은 1991년 환경부 하천환경수 질기준인 5등급으로 결정하였으며, 관리물질은 1차관리물질인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이다. 기준유량은 평균저수량과 평균갈수량을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발생부하량을 계산하였으며, 발생부하량에 의한 배출부하량을 계산하고,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사용하여 배출부하량으로 인한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여 허용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삭감부하량을 계산하였고, 삭감부하량을 안양천 유역의 각 소유역별로 할당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Drought Forecasting and Warning Criteria for Water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이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보 기준 개선)

  • Mun, Young-Sik;Nam, Won-Ho;Lee, Hee-Jin;Woo, Seu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8-508
    • /
    • 2022
  • 1973년 기상관측 이후 5년에서 7년 주기로 전국적 및 국지적 가뭄이 반복되고 있으며, 2010년을 기점으로 매년 가뭄이 발생하는 등 지역적 가뭄의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은 특히 농작물 생육 및 수확과 같은 농업 부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뭄의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진행 상황이나 강도를 객관적인 기준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가뭄의 경우 2016년 범부처 가뭄예·경보제를 시범 운영하여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매월 시군별 지역에 대한 농업용수의 가뭄 상황을 4단계 (관심, 주의, 경계, 심각)로 구분하여 발표하고 있다. 농업가뭄의 경우 저수지, 양수장과 같은 농업수리시설의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가뭄이 발생했을 경우, 용수공급시설에서 용수공급이 가능한 물의 양을 파악하여 가용용수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농업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현행 농업용 저수지 물 관리 운영의 경우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용수관리 및 물 관리자의 개인 역량에 따른 편차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국 모든 농업용 저수지에 평년 저수율을 적용하여 가뭄단계를 산정하기 때문에 개별저수지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예·경보를 위한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의 가뭄단계별 기준을 개선하고자 한국농어촌공사 관할 농업용 저수지 3,400개를 대상으로 백분위수 (Percentile)를 적용한 저수지 이수관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빈도분석 및 연속이론 (Run theory)을 적용하여 과거 및 현행 가뭄 판단 및 이수관리 기준들의 가뭄에 대한 선제적 대비능력 및 민감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