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능

검색결과 5,483건 처리시간 0.027초

광경화형 Dipentaerythritol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합성과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hotocurable Dipentaerythritol Modified Polymethacrylates)

  • 김동국;임진규;김우근;허정림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01-106
    • /
    • 2005
  •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와 acrylic acid를 반응하여 6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PA-1)를 제조하였으며, dipentaerythritol 유도체(DPET)에 trimellitic anhydride와 glycidyl methacrylate를 반응시켜 12관능 광경화형 변성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A-2)를 제조하고 경화된 물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기 수가 증가할수록 중량 평균 분자량은 증가하였으며, 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로 측정한 UV 경화필름의 열안정성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경도, 내마모성, 인장강도가 우수하였으며, 내후성 테스트에서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가 많을수록 황변 지수 값인 yellow index 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Electronic Sensing System(ESS)을 이용한 저작 패턴의 분석과 관능검사 패널 선발에 관한 연구 (Chewing Pattern Analysis and Panel Selection for Sensory Evaluation using Electronic Sensing System(ESS))

  • Hur, Nam-You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9-181
    • /
    • 2003
  • 안면 특정 근육의 움직임으로부터 기록되는 Electronic Sensing System(ESS)신호는 인간의 관능검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ESS를 이용하여 저작패턴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들을 분석,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같은 식품에 대한 관능 감지도의 차이를 검사하기 위하여 각 그룹별 씹는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따라 패널요원들을 선발하였다. 패널들을 젊은 남$.$여 및 노년 남$.$여 총 4그룹으로 구분하여 껌 및 당근의 저작과정에 대한 패턴 즉 속도, 시간 및 총 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젊은 남$.$여 그룹(n=47, 18∼42세, 남성 27명, 여성 20명) 및 노년 남$.$여 그룹((n=44, 65세 이상, 남성 33명, 여성 31명)은 저작 특성들이 서로 달라 같은 식품에 대하여 서로 관능감지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ESS에 의한 각 패널들의 검사치를 분석한 결과 껌을 씹을 때의 에너지에 대한 표준편차는 2.0 이하(n=71)그리고 씹는 속도의 경우는 0.1 이하로 반복실험의 재현성이 있었다. 91명의 패널들을 저작 에너지 및 씹는 속도에 따라 4그룹(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천천히 씹는 그룹, 낮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빨리 씹는 그룹,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천천히 씸는 그룹, 그리고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빨리 씹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 평균값에 가장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6명씩 총 24명의 관능검사 요원들을 선발하였다.

  • PDF

나트륨 저감화 소재의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 of Sodium Reduction Material)

  • 조용준;정용진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20권2호
    • /
    • pp.8-12
    • /
    • 2015
  • 나트륨(소금)의 경우 식품에 관능적 특성 부여 및 가공과정에 필수적인 물질이나 과다 섭취의 경우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을 발생을 증가시키는 등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경우 장류, 젓갈 및 김치 등의 식품문화가 발달되어 WHO의 권장섭취량의 2배 이상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트륨 저감화의 경우 국민복지 향상, 의료비용 절감 및 사회적 편익비용 발생 등의 이유로 국가적 차원에서 나트륨 절감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보건복지부 등에서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무기염류 대체소금, 염미증진제 및 향미개선제 등의 개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낮은 관능적 특성 및 무기염류의 과량 사용에 관한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급증하는 소금대체 및 보완제 시장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염화 및 관능적으로 우수한 소금 대체소재 및 염미 증강물질 개발이 요구된다. 염미 및 지미상승 식물성 발효 조성물(SAP)의 경우 분리대두단백 등의 식물성 원료와 전통 장류의 제조원리를 응용한 염미증진제 또는 향미개선제이다.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기존 사용되는 저염 소재에 비하여 염미 등의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여 염미 및 관능적 특성 증진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으며 무기염류의 단점인 낮은 관능적 특성 및 무기염류에 의한 부작용 등의 우려가 없는 소재이다. 향후 염미 및 지미 상승 식물성 발효 조성물(SAP) 등의 활용방안 개발 및 적용분야 확대 등으로 국내 저염 식품 산업의 전반적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리빙 음이온 중합에 의한 Dipyridine 말단 관능화 폴리스티렌 및 폴리부타디엔의 합성 (Anionic Synthesis of Dipyridine Chain End-Functionalized Polystyrene and Polybutadiene)

  • 지상철;이종섭;김두환;강철한;박종혁;이범재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리빙 음이온 중합에 의해 sec-BuLi으로 개시된 polystyryllithium (PSLi)과 polybutadienyllithium (PBDLi)의 연쇄 말단에 di(2-pyridyl)ketone(DPK)을 반응시켜 dipyridine이 말단 관능화된 폴리스티렌과 폴리부타디엔을 각각 합성하였다. 분자량이 1000~2000 g/mol인 PSLi과 PBDLi을 사용하여 TMEDA 존재하에서 말단 DPK-관능화 반응 후 GPC에 의한 분자량 특성분석과 $^1H$-NMR, $^{13}C$-NMR 분석에 의한 고분자 말단 구조 분석을 통하여 말단 관능화 수율과 함께 유기리튬의 피리딘 링 친핵성 부가 반응으로 인한 커플링 현상을 확인하였다. PBDLi에 DPK를 부가하는 일반적인 말단 관능화 방법에 비하여 역으로 부가하는 방법에서 최대 9% 정도의 커플링 정도와 86% 이상의 관능화 수율을 보였다. 이 반응에서 LiCl 첨가효과는 없었으며, 반응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관능화 수율을 나타내었다.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에 미치는 산소/질소 함유 관능기들의 영향 (Influence of Oxygen-/Nitro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on the Performance of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

  • 김지은;권용갑;이중기;최호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43-10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의 전극소재로 쓰이는 활성탄소의 안정화를 위해 산소함유관능기를 최소화하고 질소함유관능기의 도입을 통해 유기용액계의 전해질을 가지는 EDLC의 축전용량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후리에 변환 적외선분광기(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자동원소분석기(EA, Elemental Analysis), 보엠(Boehm) 적정법, 충 방전 테스트 등의 분석법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산 처리를 통하여 산소함유관능기가 도입되고 요소처리를 통하여 질소함유관능기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질소함유관능기 도입을 통하여 EDLC의 g 당 방전용량을 2 mA 상승시켰으며 빠른 속도로 최대 충 방전 성능을 달성하였다. 반면 산소함유관능기는 전해질 속의 전하가 탄소표면에 흡 탈착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낮은 방전용량을 보였고, 충 방전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방전용량의 큰 감소를 보여주었다.

마늘과 향신료 첨가가 난황과 감람유 유화의 관능적 특성 (Effective of Extract Garlic, Spices of Emulsified with Egg-Yolk & Olive Oil)

  • 장혁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관광식음료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112-122
    • /
    • 2002
  • 본 연구는 Egg yolk을 저온 세균(62.5$^{\circ}C$에서 4분)과 고온 세균(95$^{\circ}C$에서 30초) 하여 7$0^{\circ}C$-75$^{\circ}C$ Double bath pen에서 Hot sabayon cream으로 하여 Hot Clarified Olive oil을 서서히 첨가하며 Emulsify하여 유화한 다음 Extract spices 첨가하여 유화제품의 색도 차이를 분석하여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유화난황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Extract spices는 A군과 B.군으로 하였으며, A.군은 Garlic을 제외한 Extract였고 B.군은 Garlic을 첨가하였다. 결과는 Figure 1-5.과 같이 나타났다. \circled1 Sabayon Cream 관능검사 결과는 노랑자위 향이 감소 되었다. \circled2 Clarified Olive 관능검사 결과는 olive oily 향이 감소되고 고소한 맛이 났다. \circled3 Sabayon과 Clarified olive oil과의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부드러워 졌다. \circled4 Extract Spices A.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oily 하였다. \circled5 Extract Spices B.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의 향이 전체적 향을 부드럽게 하였으며, 전체적인 맛은 결정적으로 우수하였다. 즉 마늘 향이 첨가된 B시료가 효과와 특성이 있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호박벌꿀고추장의 담금조건 설정 (Establishment on the Preparation Condition of Pumpkin Honey Kochujang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이명회;이기동;서지형;김옥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02-1107
    • /
    • 2001
  • 호박추출물, 고춧가루 및 메주를 이용하여 호박고추장을 제조할 때 가장 우수한 관능적 품질의 배합조건을 설정하고자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였다. 호박고추장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의 최대 배합비율은 호박추출물 함량 433.63 g, 고춧가루 함량 81.76 g 및 메주 함량 17.03 g 에서 그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다 향에 대한 최적 관능조건은 호박추출물 함량 437.07 g, 고춧가루 함량 83.65 g, 메주 함량 11.90 g에서, 맛에 대한 관능평점은 호박추출물 함량 382.94 g, 고춧가루 함량 63.44 g, 메주 함량 13.10 g에서,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점은 호박추출물 함량 442.04g, 고춧가루 함량 62.58 g, 메주 함량 16.30 g에서 그 관능점수가 가장 높았다. 호박고추장의 최적 배합비율은 호박추출물 442.04 g, 고춧가루 62.58 g 메주가루 16.30 g이었다.

  • PDF

품종 및 조리조건을 달리하여 취반한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밥맛의 비교(II) -더운밥과 찬밥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에 관하여 - (A study of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for Cooked Rices Made by Several Cooking Methods (II) -Especially for warm and cool cooked Rices-)

  • 장인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56
    • /
    • 1988
  • 다수확계 품종인 삼강, 서광과 일반계 품종인 추정을 재료로 하여 압력솥과 전기솥으로 취반한 더운밥과 찬밥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쌀 품종과 취반기구를 달리한 더운밥과 찬밥의 관능검사 결과 맛 또는 냄새에 대한 특성치들보다는 대부분 외모나 텍스쳐에 대한 특성치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쌀 품종중 취반기구에의한 관능적 특성차이가 큰것은 서광이었고, 더운밥과 찬밥에 의한 관능적 특성차이가 큰 것도 서광이었다. Instron을 이용한 쌀밥과 기계적 검사 결과 각 기계적 특성 치들은 일반적으로 더운밥보다는 찬밥에서 쌀 품종과 취반기구의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내었으며, 특히 견고성 이 고도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쌀밥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치들의 상관관계에서는 견고성이 텍스쳐에대한 관능적 특성치들과 비교적 유의하게 높은 상관정도를 보였으나 나머지 특성 치들은 상당히 낮은 상관정도를 보였고 그 유의도도 낮았다.

  • PDF

단체급식소에 적용하기 위한 cook/chill 및 sous-vide 시금치국의 재가열 방법에 따른 관능적 품질평가 (Sensory Quality Assessment of Reheated Cook/Chill and Sous-Vide Spinach Soup for Foodservice Operations)

  • 류은순;이동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5-332
    • /
    • 2002
  • Cook/chill 및 sous-vide 시금치국을 국내 단체급식소에 적용시키기 위해 cook-chill 및 sous-vide 처리한 시금치국을 1일, 3일, 5일간 3$^{\circ}C$에서 냉장저장 시켰다. 이 제품을 중탕, 직화, steam/convection oven,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재가열한 후 관능평가를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열 방법에 따른 결과에서 1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과 외관은 steam/convection oven에서, 냄새와 질감은 전자렌지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3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과 외관은 중탕에서, 냄새와 색상, 전체적인 수응도는 직화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일 냉장 저장 후 재가열한 시금치국은 맛, 냄새와 전체적인 수응도는 전자렌지에서, 색상, 질감과 외관은 직화에서 관능평가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재가열 방법에 따른 차이에서는 중탕방법이 전반적으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통조리법을 이용한 시금치국(대조군)과 재가열 한 시금치국(처리군)을 비교한 결과, 색상에서 처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맛에서는 3일 저장한 처리군과 5일 저장한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모두 유의적(p<0.05)으로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관능평가 점수 결과에서, 중탕을 이용한 경우 색상, 질감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관능평가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직화를 이용한 경우 냄새와 질감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높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전자렌지를 이용한 경우, 맛, 냄새, 전체적인 수응도는 저장기간이 증감함에 따라 관능평가 점수가 증가하였고, Steam/convection oven을 이용한 경우,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맛, 냄새, 외관의 관능평가 점수는 높아졌으나 모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1일 저장한 시금치국이 전반적으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을 살펴볼 때, cook/chill 과 sous-vide를 활용한 시금치국은 녹색채소의 특성을 고려한 색상에 대한 개선 연구가 필요하고, steam/convection oven 이외에 다양한 재가열 방법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국내 단체급식소에서도 주방시설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고 기존의 시설로도 이러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cook/chill과 sous-vide의 가공방법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의 개발을 통해 식자재의 새로운 공급방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발전한다면 앞으로 국내 단체급식업체는 생산과정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계적 측정에 의한 호상요구르트의 관능특성 예측 (Prediction of Sensory Properties for the Stirred-type Fruit Yogurts by Instrumental Measurements)

  • 오세종;심재헌;허재관;신정걸;김상교;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20-625
    • /
    • 1993
  • 본 연구는 요구르트의 관능 특성과 기계적 측정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기계적 측정으로 관능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피시계수를 추정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딸기, 복숭아, 열대 혼합과일 요구르트에 대한 관능특성은 점성, 조직감, 맛, 종합적 품질의 4항목으로하여 각각 평가하였으며, 기계적 parameter들은 Refractive index, Viscosity, Consistency, 경도, 부착성, 응집성, 탄력성, 껌성으로 특성을 산출하였다. 관능적 점성은 복숭아 요구르트가 발기와 열대 혼합과일 요구르트보다 다소 높았으며(p<.05), Refractive index와 Consistency의 경우에도 복숭아 요구르트가 가장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경도, 부착성, 껌성에서 요구르트간 차이가 나타났다(p<.05). 관능적 점성과 기계적 측정과의 상관관제는 모든 요구르트에서 Viscosity, Consistency, 경도, 부착성과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5), 관능적 점성과 명성과의 상관관계는 복숭아와 열대 혼합과일 요구르트에서 나타났다(p<.05). 조직감, 맛, 품질과 기계적 측정과의 상간관계는 열대 혼합과일 요구르트에서 맛과 부착성에서만 유의적 관계(p<.05)가 나타났을 뿐 비교적 남은 관계를 보였다. 관능특성에 대한 기계적 요소의 다중회귀모형을 구한 결과, 관능적 점성$(Y_{1})$$Consistency(X_{1}),\;Viscosity(X_{2})$, 응집성($X_{3}$)으로, 조직감은 Consistency로 각각 표현될 수 있었으며, 추정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