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지IT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7초

관광지 정보이용과 주유행태의 인과관계 분석 (Casu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age and Excursion Behavior toward Planning Sightseeing ITS)

  • 김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66-76
    • /
    • 2011
  • 관광지ITS는 해당 관광지역에 관련한 관광과 교통(명승지, 도로망, 주차, 소요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관광주유행동의 관점에서 관광지 정보제공 시스템이 아직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관광주유행동의 의사결정에 있어 다양한 정보 니즈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이용과 주유행동의 관련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관광지ITS구축을 향한 기본적인 정보니즈 분석과 기존 주유행동 모형 재구축의 기초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후지5호 관광지의 정보이용과 주유행동의 관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관련성 분석결과, 주유행동의 단계에 따른 정보이용이 지역인지도와 주유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관광주유행동분야에서도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관광지ITS에 관한 기초적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의 관광지 주민의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 Attitudes of Tourism Region in Kwang-Ju and Chonnam Area)

  • 문영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5-117
    • /
    • 1998
  • 관광지 주민들이 갖는 태도는 관광지의 전체적인 이미지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관광객의 견인에 있어서도 관광지의 자연 환경이나 기후, 그리고 관광지 시설과 함께 매우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 전남 지역의 4 사례 지역 관광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관광 개발 이후 나타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및 환경적 영향 등에 관한 관광지 주민들의 태도를 구명해 보고 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 반응을 보이지만 사회적 영향에 대한 결과는 청소년 관련 교육 문제와 범죄율 증가에 영향을 끼친다는 부정적 입장을, 그리고 문화적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 측면과 미래 지향적 바램을 동시에 나타내었고,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는 환경 보호에 큰 관심을 보였다. 둘째, 관광 개발과 관련한 우선 순위로는 관광 개발로 인한 수입 증대를 가장 중시하였고, 다음으로 긍정적인 이미지 부여를 위한 역사적 문화적 전시(람)회 필요, 스레기 투기자에 대한 처벌 강화, 지역 발전을 위한 관광 개발과 투지 필요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ourism Contents applied Story telling)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7-780
    • /
    • 2007
  • 오늘날 관광콘텐츠개발은 온라인 콘텐츠 세대의 등장과 문화콘텐츠산업의 발달, 여가생활의 대중화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앞으로 관광상품의 다양성과 차별성을 위하여 다각도로 검토되어야할 대상이다. 특히 관광대상을 관광객에게 보여주는 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은 관광자원에 대한 안내자의 설명이나 해설을 의미하며 관광객의 유인역할을 하여 관광객의 기대감을 충족시켜 관광객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관광지는 관광객이 추구하는 관광지만의 특별한 내용으로 방문하는 대중에게 색다른 의미를 부여하여 관광지의 정체성을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활용사례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관광콘텐츠에서의 스토리텔링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한류관여도와 국가 및 관광지 이미지 그리고 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 (Effect Relationship among Korean Wave Involvement, National and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Visit Intention)

  • 이종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454-466
    • /
    • 2016
  • 한국의 대중문화가 아시아를 시작으로 하여 세계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한류라 한다. 한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프트 파워로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며 한류의 확산은 국가 경쟁력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한류는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접한 특정장소를 방문하고자 하는 행동을 증가시키며 새로운 관광형태를 만들기도 한다. 한국대중문화의 관심의 정도에 따라 일반적으로 관광객의 한국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행동양상이 매우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한류관여도라 한다. 본 연구는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한류를 단순히 한류가 아닌 한류관여도의 측면에서, 첫째, 한류관여도가 국가 이미지와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둘째, 국가 이미지가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해 본다. 셋째, 한류관여도가 한국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다. 양적분석을 활용한 가설검증 결과 한류관여도는 국가 이미지, 관광지 이미지 그리고 한국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고, 국가 이미지는 관광지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와 교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on the Historical Sites -In case of Kyungju and Kyoto-)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3-101
    • /
    • 2006
  • 경주와 교토는 역사적인 고도(古都)로서 문화유산 관광에 관심을 가진 관광객에게 문화유적지로서의 관광매력을 제공한다.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는 관광자원의 고유성과 역사성 주변 환경의 진정성 및 종교성과 예술성으로 구성된 관광자원의 특성과 관광인프라의 구축, 관광마케팅 전략이 조화를 이루어 관광자원화한 것이 특징이다. 경주와 교토는 8C를 중심으로 한 시대적 배경과 불교관련 예술품들이 관광자원으로 작용하며 두 도시가 가진 독특한 이미지와 경관, 분위기가 어울려 관광상품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의 보존정책과 관광자원 유적지의 원형보존을 통한 전통숙박공간과 전통음식, 쇼핑자원의 개발이 어울려 문화유적지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탈분화의 공간적 반영 - 제주관광을 사례로 - (Issues on Spatial Reflection of De-differentiation in Jeju Island)

  • 오정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91-408
    • /
    • 2004
  • 자기정당화를 통한 사회 각 부문의 분화가 현대성의 특징이었다면, 탈현대성 혹은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사회 각 부문의 경계가 소멸되는 탈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탈분화는 작금의 관광현상을 통해 가장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의 각 부문과 관광과의 경계가 소멸됨으로써 관광은 단순히 ‘보는 행위’ 행위에서 벗어나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교육적 활동들을 수반하게 되고, 즐거움의 추구보다는 교육적이고 자기 계발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관광에서의 이러한 탈분화는 다시 공간적으로 반영됨으로써 지역주민의 일상공간과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공간과의 중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연구지역으로 하여 관광과 사회 각 부문과의 탈분화를 통해 나타나는 탈현대적 관광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이 공간적으로 반영되는 양상을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지역의 경우 현대적 관광의 시기에서는 자연관광자원 위주의 색다른 장소를 중심으로 관광지가 형성됨으로써 해안지역에 관광지가 집중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탈현대적 관광의 시기에서는 관광객들의 특정한 기호를 중심으로 관광지가 형성됨으로써 제주도민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장소가 관광지로 형성되고 있다. 그 결과 기존의 해안중심에서 중산간 지역으로의 수직적 확산과 서부 및 동부중산간 지역으로의 수평적 확산이 나타나고 있다.

고지도를 활용한 도시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 (Contents Development of Urban Tourism Using Old Maps)

  • 최지연;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74-282
    • /
    • 2007
  • 현대에 있어서 도시의 역할과 기능은 점증하고 있으며 관광현상에서도 도시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관광학 분야에서 도시관광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으며, 특히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관광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도시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차원의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동북아관광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가 요구된다. 특히 도시의 다양한 콘텐츠들을 좀 더 쾌적하고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개발시키고, 기존의 역사성과 지역성 등을 활용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지도는 역사시대의 공간현상을 전해주는 귀중한 시각자료이며 제작 당시의 사회적 인식을 가늠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차원에서 고지도는 우리 국토의 옛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으며, 각 지역의 지역성과 역사성 등을 이해하는 학문적 접근의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고지도상에 나타난 사상(事象)을 현실화하여 차별화된 도시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고지도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지속가능한 크루즈여행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Cruise Tourism and Its Impacts)

  • 이재달;유정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7-268
    • /
    • 2010
  • 관광은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성장하는 가장 큰 산업 중의 하나이며, 수많은 개도국과 선진국들에서도 중추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 있어서 자국의 소득수입, 일자리창출, 국가재정 수입의 중요한 원천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관광산업의 급격한 확대로 인하여, 여러 관광지역에서 환경파괴적인 측면과 사회문화적인 측면의 영향을 야기해 왔다. 관광과 마찬가지로, 크루즈관광의 급속한 성장 또한 크루즈선 기항지지역의 환경적 문화적 자원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지속가능한 관광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크루즈관광으로 인해 발생되는 국내외적인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하였다.

관광.BIS 융합정보가 관광.레저 교통수단으로서 버스선택선호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Analysis of the Impacts of converged information with tourism and Bus Information Systems on Recreational Bus Travel)

  • 빈미영;정의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5-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관광통행에서 관광 BIS 융합정보가 제공될 때 버스선택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버스선택 선호도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행하고 순차형 로짓 모형으로 영향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BIS를 모바일로 이용하는 경우, 최근 1년 이내 관광지 경험이 있는 경우, 버스정보이용료 지불의사액을 높게 평가한 경우, 월평균소득이 많은 경우, 연령층이 20대미만인 경우에 관광 레저 통행시 버스를 선택할 의사가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소 승용차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와 승용차를 소유한 경우에는 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의사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행업 종사자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과 인식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The Impact of Tourism Professionals' Selection Attributes and Perception on Recommodation -focused on Slow City-)

  • 정소영;박희정;장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7-327
    • /
    • 2019
  • 최근 새로운 체험과 매력을 갈망하는 오늘날의 관광객들에게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컨셉의 관광목적지는 주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슬로시티는 그 자체가 색다른 관광목적지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그 효과 또한 검증되고 있다. 여행상품을 기획하고 정보제공 및 추천을 담당하는 여행업 관련 종사자들의 역할이 여행수요자들에게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슬로시티가 관광목적지로서 충분히 그 가치와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많은 여행업체 종사자들 대상의 슬로시티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행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로서의 슬로시티 선택속성과 인식, 추천의도간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향후 슬로시티가 관광목적지로서 가지는 가능성과 적극적인 관광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차별화된 상품개발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욕구를 추구하는 현대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콘텐츠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