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광자원화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Device to Activated Suanbo Hot Spring Followed by Tourism Destination Area Life Cycle (관광지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수안보온천의 활성화 방안)

  • 이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3
    • /
    • pp.473-488
    • /
    • 2000
  • 본 연구는 관광경기 침제현상으로 지역 전체가 몸살을 앍고 있는 수안보온천의 현재의 단계를 관광지 라이프사이클 모델에 근거하여 진단하고 이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안보온천은 관광지 라이프사이클에 따르면 1998년 이래로 관광시장의 축소, 편의시설의 소명, 주말 및 당일 체류관광객의 증가 등의 관광지 쇠퇴단계의 지표가 나타나고 있다. 쇠퇴단계에 이른 수안보온천의 가장 큰 문제점은 관광 편의시설물의 노후화와 자본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는 다음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기존 시설물을 일부만 변경하며 노년층의 영구 거주지로 분양하는 것이다. 둘째는 방치괸 야외무대장을 주말 상설놀이마당으로 활용하고, 섯째는 수안보온천 관광호텔 자리에 있는 냉천을 약수로 개발하여 관광자원화하는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to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y - Focused on Oegosan Onggi Village - (지방자치단체가 무형유산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 외고산 옹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Chae W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4
    • /
    • pp.4-17
    • /
    • 2011
  • Oegosan Onggi Village can be characterized by having industrial significance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Onggi. However Onggijang(Onggi maker) worked in poor conditions because the village was in the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Throughout the new millenium phenomenon of Well-being, the awareness of cultural values has been increased while local government designated Onggi as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In this condition, Ulsan metro city and Ulju county paid attention to Onggi Village as tourist attractions. First, they worked improving condition of village through Cultural Tourist Attraction Plan. Second, they extended their participation in Onggi Festival so the festival growed. Third, they designated Onggijang in Village as Local ICH. These activities were the effort in order to revitalize the village, however the cultural tourist attraction plan was solely centralized into tourist attractions. Thus, the work condition of Onggijang was not considered sufficiently so the work condition had become more inconvenient than the previous situation. In the case of Onggi festival, the outward development has been accomp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festival scale and visitors, while the identity of festival had been weaken so the Onggijang barely attended the Onggi festival. The designation of ICH was also the unilateral decision, Onggijang had been in th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Onggijang concerning the craftsmanship and maintenance of the ICH. Local Government had power on thei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Therefore we need to seek for role and functions as community on ICH.

A Study on Planning Sustainable Tourist Resource of TV Drama Location Sets -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Plan of Juk-Byun Drama Location Set - (드라마세트장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죽변 드라마 세트장의 개발안을 중심으로 -)

  • Jang, Mi-Hyun;Yi, June Seong;Nam, SooHyoun;Jang, HyounS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9 no.2
    • /
    • pp.1-12
    • /
    • 2007
  • TV-Drama Location sets as a potential magnet for tourism have been a popular subject during the past years. A large number of provincial governments have been trying to attract location sets to their region for this cause. But so far the drama sets, once they lost the heat of the initial exposure, have not been used continuously and thus result in waste of province budget. Systematic approach to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 application is needed.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issues and problems of existing TV drama sets, this study explores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 the case of "Into the storm" drama set, locationed at Jukbyun, Uljin-gun. Through SWOT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the study proposes sustainable scheme that accommodates potential for future drama, tourist attraction and functions for local residents.

  • PD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on Surrounding Open Caves (관광동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 분포 특성)

  • Hong, Choong-Real;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7
    • /
    • pp.53-63
    • /
    • 2005
  •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to present the activation of cave tourism. So first of all for establishing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caves and monument ca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nument caves concentrate upon Gangwon-do and Jeju-do. Second, open caves concentrate upon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Third, typical linkage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surrounding open caves are very high in natural tourism resourc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ourism route though the linkage with other tourism resources. But this study have been partial and fragmentary.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we should make them curious about the specific region by presen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for example its cultural, social, recreational etc. in other words, in order to attract the tourists open caves should differentiate from other open caves.

A Study on the Attractions Evaluative Systems of Gyeongju Historic Heritage Sites (경주역사유적지구의 흡인력 평가지표 선정 연구)

  • Yu, Wen-Dong;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 /
    • pp.103-113
    • /
    • 2015
  • This study is an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Gyeongju Historic Heritage Sites to identify the attractive Properties of Gyeongju, which decided to competitiveness of the historical city. We got the export Indicator candidate groups by the literature reviews and UNESCO, ICOMOS, and 49 Indicator candidate groups had been selected. In the end, we chose 42 attraction indexes in charm of the cultural heritage side, Cultural heritage tourism resources Side, Restraining force Heritage tourism Side three aspects based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M), Standard deviation(SD), Content Validity Ratio(CVR), Agreement, convergence by using Delphi Technique. We can determine these indicators will be useful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city's historic attractions. In the future, used these indicators as a basis for Attractions effectiveness evaluation of Gyeongju, Through which the attractions of Gyeongju can be re-recognized.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A study on the use of lighthouse as marine tourism resources (등대의 해양관광자원으로서 활용방안 연구)

  • Lee, Han-Seok;Shim, Mi-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498-501
    • /
    • 2009
  • With increase of people's leisure time for marine facilities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emand for marine tourism. It is necessary for lighthouse to meet the demand for marine tourism. Now, the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s to navigation for vessel, but also it becomes the new facility and space for all civilians who might visit and experience the marine culture. This research suggests how to use the facilities of the lighthouse as marine tourism resources by reviewing the cases of domestic lighthouses.

  • PDF

우리나라 최초 근대식 등대 발견의 역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 Han,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70-371
    • /
    • 2014
  •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바다의 관문이다. 인천 팔미도가 현존하는 최초의 등대임을 부인할만한 역사적 자료는 거의 없으나. 우리나라의 고지도를 살펴보면 그 이전 등대의 흔적들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이전 대한제국의 역사는 팔미도 등대 빠른 시기에 부산항에 설치된 등대 존재를 강력히 나타내고 있다.

  • PDF

The Rice Paddy Wetland Ecotourism Resources and Suggestions: A Case Study of Sangju Gonggeumji (논습지 생태관광 자원화 방안 연구 - 상주 공검지 사례를 중심으로 -)

  • Lim, Chung-Gyu;Kim, Yean-Hee;Roh, Y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3
    • /
    • pp.313-3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suggesting plans for the Gonggeumji rice paddy wetland ecotourism with ec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Compare to previous other ecotourism resources including insects, birds and other ecological resources, this study used rice paddy wetland as ecotourism resources. The wetland ecotourism could be more promoted with networking of resources, historical experiences of Goryung Gaya Kingdom, leisure sports tourism with bicycling, the residents'cultural resources including traditional folk song village experi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