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개지구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ctual Uses and Water Qualities of Irrigation Water from Agricultural Reservoir and Pumping Station (관개용 저수지 및 양수장의 농업용수 공급량 및 수질)

  • Choi, Jin-Kyu;Han, Kang-Wan;Koo, Ja-Woong;Son, Jae-Gwo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4 no.3
    • /
    • pp.205-212
    • /
    • 2001
  • Joongpyong reservoir and Guiseok pumping station were selected as the hydrologic monitoring sites for the water level gauging and amount of irrigation water use, and water samples were taken and analysed periodically. Rating curves were derived from the relations water level and discharge data, and water supply through culvert of the Joongpyong reservoir was $593,200m^3$ and irrigation water $2,913,000m^3$ from the Guiseok pumping station. Changes of stream water qualities such as water temperature, pH, EC,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were examined, pH was 6.98.1 lower than the criteria of agricultural water 6.0~8.5, total nitrogen $0.9{\sim}4.5mg\;L^{-1}$, total phosphorus $0.008{\sim}0.036mg\;L^{-1}$.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offered as a basic data for the irrigation plan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 PDF

A Study on Return Flow Ratio of Irrigation for a Paddy Field in Pumping Station by Water Balance Method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양수장 몽리구역내 농업용수 회귀율 연구)

  • Choo, Tai-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3
    • /
    • pp.249-255
    • /
    • 2004
  • To investigate the return flow ratio of irrigation water, lots of observations were made during the irrigation periods in 2003 crop year. This Area is a portion of Dae-Am pumping station basin which is located in Changryung-gun, Gyeongnam province. A water balance analysis was performed for a paddy field in Dae-Am pumping sta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is constructed for irrigation water supply. Daily rainfall data in the this area were collected and irrigation water flow rate, drainage water flow rate, infiltration and evaportranspiration were measured in field area. Irrigation water flow rate and drainage water flow rate were continuously observed by water level logger(GTDL-L10) during the growing season. The infiltration and evaportranspiration were measured by cylindrical 300mm depletion meter and cylindrical 200mm infiltrometer, respectively. Total irrigation and drainage flows were 654.7mm and 281.2mm in 2003. Total infiltration and evaportranspiration were 36.0mm and 160.0mm respectively. The mean of the daily evaportranspiration rate was 4.3mmm/d. The prompt return flow and retard return flow ratio were 43.0% and 5.5%, respectively. Total return flow ratio was 48.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was much higher than design standard or reference in this study. It means that this was caused by the inadequate water management practice in the area where water was oversupplied on farmers' request rather than following sound water management principles, and design standard should be chang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Operating Rule Curve for Multipurpose Water Supply in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의 다중 용수공급을 위한 이수운영기준곡선 개발)

  • Park, Jong-Yoon;Jung, In-Kyun;Lee, Kwang-Ya;Kim, Seong-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389-1400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an operating rule curve (ORC) for multipurpose water supply (irrigation and environmental water) in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Among the 20 reservoirs in improvement project of agricultural reservoir dam heightening, the 4 representative reservoirs (Ungyang, Gungchon, Yongam and Una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vailable environmental water supply amounts during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s, which is the range from release restricted water level to high water level were estimated by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reservoir operation model.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system performance were used to assess the multiple water supply capacity. The ORC was presented as the percentile rank for the daily reservoir water level from the results of reservoir operation using the past couple of decades weather data. The water levels for each percentile were divided into 3 buffer sections representing drought (5~25%), normal (25~75%), and flood (75~95%) year to operate the heightened agricultural reservoir with ORC.

Analysis of Irrigation Efficiency and Pattern in Galshin Pumping District (갈신양수장 관개지구의 관개효율과 관개패턴분석)

  • Ryu, Bumhee;Park, Seung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6 no.3
    • /
    • pp.91-102
    • /
    • 2020
  • The purpose of study was analyze the pumping characteristics, Irrigation Efficiency(IE), and irrigation pattern by period of rice growing stage with based on the performance of desig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and operational Galshin Pumping(GP) station in GP irrigation district constructed under r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master plan. GP station was located in Yedang reservoir, Yesan-gun, Chungcheongnam-do and has been supplying irrigation water since 2006. The research data are the Irrigation Water Requirement(IWR) and the Pumping Water Amount(PWA) from 2006 to 2015 at the GP station, which is the supplied amount. The IWR were calculated using the Blaney-Criddle formula of the HOMWRS program, Hydrological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 System, developed b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The Blaney-Criddle formula was used to calculate desig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of Galshin rural water development project master plan. During 2006-2015, the study period, the annual average IWR is 763.2(±149.1)mm, the annual PWA of the GP station is 397.4mm to 1,056.9mm, and those average annual PWA is 643.4(±208.4)mm. The annual IE of GP station 96.5% to 169.0%, and the average annual IE is 124.3%, which is higher than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in other pumping stations. Analyzing the irrigation patterns of the GP irrigation district, the IWR Ratio per 10days(IWRR) and the PWA Ratio per 10days(PWAR) of the G P station were obtained. The IWRR is the percentage of IWR for each 10 days of a month to total IWR per year, and the PWAR is the percentage of PWA for each 10 days of a month to total PWA per year. The Kolmogorov- Smirnov(K-S) test results of IWRR and PWAR showed th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by rice growing stage and stable norm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verage IWRR(AIWRR) and Average PWAR(APWAR) are presented as irrigation patterns. Irrigation pattern analysis will be able to standardize comparison, analysis and probability calculation of the pumping sta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umping stations and apply to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umping station district.

Study on the Reduction of NPS Pollution and GHG Emission from Paddies with SRI Methods (SRI 방법을 적용한 논에서의 비점오염원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

  • Park, Woon-Ji;Lee, Su-In;Yun, Dong-Koun;Kim, Gun-Yeob;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0-4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질관리 및 기후변화(온실가스 저감) 등에 부응할 수 있는 SRI 벼재배 방법을 국내 논에 적용하여 농업비점오염원과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SRI의 환경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포는 대조구인 상시담수처리구(관행, 재식거리 $30{\times}15cm$)와 SRI 물관리 처리구로 조성하였다. 각 시험포에는 관개배수시설 및 관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 유출량 측정을 위한 플륨 및 수위계 그리고 온실가스(메탄 및 이산화질소)를 측정하기 위한 아크릴재질의 Chamber를 설치하였다. 관행 및 SRI 시험포에 이앙할 모의 재배품종으로 오대벼를 공시하고 모든 시험포의 경우 1주당 3-5본씩 기계이앙을 실시하였으며, 물관리를 제외한 시비와 제초 등의 영농관리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메탄($CH_4$)과 아산화질소($N_2O$)는 주 2회, 오전 9시 12시에 60 mL 주사기로 주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GC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개기간동안 관개량, 강우량 그리고 강우 유출량을 측정하고 수질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SRI 시험포의 SS, $COD_{Cr}$, $COD_{Mn}$, BOD, TN, TP의 총 오염부하량은 각각 583 kg/ha, 210.8 kg/ha, 70.1 kg/ha, 30.7 kg/ha, 56.1 kg/ha, 3.55 kg/ha로서 관행 시험포의 오염부하량에 비해 27.1~46.0%의 오염물질 저감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각 시험포별 온실가스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총 배출량을 지구온난화잠재력(GWP)으로 환산하여 이산화탄소($CO_2$) 기준으로 산정한 결과, 관행은 14.2 톤/ha 그리고 SRI 물관리 처리구 4.0 톤/ha로 관행 대비 SRI 처리구에서 71.8%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SRI 벼재배기술은 논 비점오염부하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최적영농관리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on Yi-dong Agricultural Water District (이동 농업용수지구 관개특성)

  • 김진택;이용직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62-65
    • /
    • 2003
  •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the agricultural water use is important for the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because the agricultural water use occupied above 60% of the total water use in korea. For the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use the Yi-dong experimental site was selected. For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experimental site, four rainfall gauging stations and twenty-six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Analyses of the measured data are processed for the irrigation efficiency of agricultural water on the eight irrigation areas.

  • PDF

Selection of Irrigation Structures which Effected by Wastewater by GIS (하수처리수에 영향을 받는 관개용 수리시설 선정과 GIS 자료구축)

  • Kim, Hae-Do;Lee, Kwang-Ya;Chung, Kw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3-277
    • /
    • 2007
  • 하수처리장 현황은 2005년을 기준으로 271개소이며 2006년에는 23개소(526.1천톤/일)가 완공되어 총 294개소(22백만톤/일)의 하수처리장이 운영중에 있다. 또한 2006년내에 완공예정인 처리장은 68개소(693.5천톤/일)로서 2007년도에는 총 362개소(23,087천톤/일)로 예상하고 있다. 하수처리수를 년간으로 환산하면 약 84억톤 정도이며 이는 전체 수자원이용량 331억톤의 25%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농업용수이용량인 158억톤의 53%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이처럼 매년 $5{\sim}7%$씩 하수처리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더욱이 대부분 기존의 관개용 수리시설에 인접하여 방류되어 직 간접적으로 재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농업기반시설에 인접한 하수처리수가 얼마큼 농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GIS 기법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인접하거나 방류지점 하류에 위치한 관개용 수리시설을 찾아내어 재이용 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재이용정보를 DB로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271개소 하수처리장중 관개용 수리시설보다 상류측에 있으면서 반경 1.5km 이내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은 127개소로 나타났으며 현장조사결과 많은 지역에서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주변상황으로 인해 하수처리수를 농촌용수로 이용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도 하수처리장이 계속 증설되고 있는 한 기존의 농업수리시설물은 하수처리수의 영향이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되므로 하수처리장 주변의 농업기반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의(2005년 10월 19일)에서는 농업용수 10% 절약 대책과 유역단위의 통합적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

  • PDF

Developing a system of reservoir operation for drought adaptation (가뭄대응 저수지 운영 시스템 개발)

  • Noh, Jaekyoung;Oh, Soohun;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32
    • /
    • 2018
  • 최근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가뭄이 빈발하고 있으며, 가뭄을 대비한 과학적 저수지 운영이 절실하다. 유입량, 관개용수량, 저수량, 하천유지유량 등 저수지 물수지를 반영하여 실제 가뭄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 여기서, 하류 하천의 수량을 양수하여 저수량을 확보하는 양수저류를 고려하였고, 시기별 관개용수량을 간단관개, 절수관개 등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량의 장기간 변화를 관찰하여 저수지 운영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하류 하천의 유량 변화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 수차례 가뭄을 겪은 충남 홍성에 위치한 대사저수지에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대사 저수지는 유역면적 $2.9km^2$, 유효저수량 137만$m^3$, 수혜면적 163ha에 이르며, 유역면적 $72.2km^2$인 하류하천의 와룡천으로부터 $0.057m^3/s$씩 양수하여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다. 일별 저수율 자료가 있는 1991년부터 2016년까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수는 1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일 저수위를 모의하여 검증한 결과 일평균하여 관측 저수위는 EL.84.58m, 모의 저수위는 EL.85.87m이었다. 이 때 강우량은 연평균 1,275.2mm, 유입량은 718.0mm, 유출률 56.3%, 수면증발량 11.5만$m^3$, 관개용수 공급량 117.5만$m^3$, 월류량 148.9만$m^3$이었다. 둘째, 양수로 인한 유입량의 변화는 양수 전에는 연평균 209만$m^3$(유출률 56.3%)에서 양수 후 276만$m^3$(74.7%)로 증가하였고, 양수량은 67.5만$m^3$(연유입량의 32.3%)이었다. 셋째, 하류 와룡천의 유량은 양수 전에는 연평균 연유출량 5,200만$m^3$(유출률 56.5%)에서 양수 후 5,120만$m^3$(55.6%)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수 전에는 일평균 저수량이 47만$m^3$에서 양수 후 76만㎥으로 증가하였고, 양수저류로 인해 이수안전도는 15.4%에서 92.3%로 개선되었다. 또한 양수로 인해 저수지 유입량은 연평균 32.3% 증가하였고, 하류하천의 유량은 1.55% 감소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 양수저류는 가뭄대응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 가이드라인의 합리적 설정으로 보다 적극적인 가뭄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물관리 현황은 지구별, 저수지별로 다양하다. 향후 현장 상황에 적합한 물관리 방법을 적극 모색해야 하며, 자연과 인간의 평등한 물 이용 환경조성에, 여기 개발한 도구가 일정 부분 유용할 것이라 판단한다.

  • PDF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planning rural water rescources systems (농어촌지역의 수자원시스템 계획을 위한 지리정보 시스템의 활용)

  • 정하우;이정재;이남호;김성준;최진용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3 no.1
    • /
    • pp.39-46
    • /
    • 1995
  • Rural water resources systems may be largely constituted by two parts. One is rural water supply systems such as reservoirs, wells, pumping stations. The other is rural water demand systems which include municipal water, irrigation water, industrial water, livestocks water, inland fisheries water and envir¬onmental water in rural areas. planning to develop rural water resources systems is a very hard task because of their complicated factors and the large number of spatial data to investigate and manipulat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CGIS) will be a powerful and efficient tool to handle the spatial data and to plan the land use. All data can be efficiently maintained and easily updated. This paper refers to the construction of a GIS for planning rural water resources systems applied to Kokseong County, Cheonnam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Geographic Informa¬tion was constituted by 4 layers of base map and 11 layers of thematic map.

  • PDF

북한 예성강 유역의 수문분석을 위한 GIS/RS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정승권;전무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04-808
    • /
    • 2004
  •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남북한 교류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가고 있는 지금 어느때보다 북한에 내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북한과 관련된 인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문${\cdot}$사회과학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연과학 및 공학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배덕효, 1999). 특히 수자원 관련분야는 최근 몇몇 학자들이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매우 미비할 실정이다. 북한은 유역탐사 및 샘플채취 등을 위한 접근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자료의 수집 및 보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문헌을 통해서만 소개된 북한지역의 유역특성에 따른 수자원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한 원격탐사(RS:Remote Sensing) 및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북한 예성강 유역은 수자원이 풍부하고 유역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수이용에 있어서도 양수장을 이용하여 관개배수를 시행하는 북한지역의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신곡저수지, 예의 저수지 등 대규모 저수지를 통한 관개를 시행하고 있어 남한유역과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적용에 있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지형자료 구축을 위한 인공위성 자료는 USGS(US Geological Survey)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ro) 지구좌표계의 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