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개구역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Using Spatial Data and Crop Growth Modeling to Predict Performance of South Korean Rice Varieties Grown in Western Coastal Plains in North Korea (공간정보와 생육모의에 의한 남한 벼 품종의 북한 서부지대 적응성 예측)

  • 김영호;김희동;한상욱;최재연;구자민;정유란;김재영;윤진일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4 no.4
    • /
    • pp.224-236
    • /
    • 2002
  • A long-term growth simulation was performed at 496 land units in the western coastal plains (WCP) of North Korea to test the potential adap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South Korean rice cultivars. The land units for rice cultivation (CZU), each of them represented by a geographically referenced 5 by 5 km grid tell,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Surfaces of monthly climatic normals for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number of rain days and solar radiation were generated at a 1 by 1 km interval by spatial statistical methods using observed data at 51 synoptic weather stations in North and South Korea during 1981-2000. Grid cells felling within a same CZU and, at the same time, corresponding to the satellite data- identified rice growing pixels were extracted and aggregated to make a spatially explicit climatic normals relevant to the rice growing area of the CZU. Daily weather dataset for 30 years was randomly generated from the monthly climatic normals of each CZU. Growth and development parameters of CERES-rice model suitable for 11 major South Korean cultivars were derived from long-term field observations. Eight treatments comprised of 2 transplanting dates $\times$ 2 cropping systems $\times$ 2 irrigation methods were assigned to each cultivar. Each treatment was simulated with the randomly generated 30 years' daily weather data (from 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for 496 land units in WCP to simulate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to the interannual climate variation. The same model was run with the input data from the 3 major crop experiment stations in South Korea to obtain a 30 year normal performance of each cultivar,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for comparison. Resul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yield and maturity, and us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a specific South Korean cultivar. The results may be utilized as decision aids for agrotechnology transfer to North Korea, for example, germplasm evaluation, resource allocation and crop calendar preparation.

Distribution of Inorganic N from Fertigated and Broadcast-applied 15N-Urea along Drip Irrigation Domain (점적관수시 관비와 표면시비된 중질소 표지요소의 행동비교)

  • Yoo, Sun-Ho;Jung, Kang-Ho;Ro, Hee-Myong;Choi, Woo-J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4 no.4
    • /
    • pp.292-301
    • /
    • 200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changes in soil moisture regime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inorganic N derived from the fertigated $^{15}N$-labeled urea,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broadcast-applied soil under the same drip irrigation domain. In fertigated soil, a $^{15}N$-labeled urea solution of $117mg\;N\;L^{-1}$ was applied by surface drip irrigation for 4 weeks. In broadcast-applied soil, no the other hand, 4 g of $^{15}N$-labeled urea(1.87 g N) mixed thoroughly with 5 kg of soil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packed soil. Soil water status was controlled by drip irrigation scheduled at soil matric potential of -50 kPa. A calibrated time-domain reflectometry probe was installed in the soil vertically 15 cm apart from a drip emitter to control drip irrigation. About 60% of urea-derived inorganic nitrogen was remained in the top zone between 0 and 10 cm depth of fertigated soil, while, most of the inorganic nitrogen (91%) was accumulated in the top zone of broadcast-applied soil. Of inorganic nitrogen derived from urea, the percentage of $NO_3{^-}$ was much higher for fertigation (99%) than for surface application (62%). The relatively lower recovery of urea-derived inorganic nitrogen of broadcast-applied urea-N (51%) than that of fertigated urea-N (89%) was attributable to enhanced $NH_3$ volatilization.

  • PDF

The evaluation of applic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 of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 모형의 농업용 저수지 유역에 대한 적용성 평가)

  • Jang, Cheol-Hee;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21-121
    • /
    • 2011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CAT은 수자원의지속적확보기술개발사업(2008 ~ 2011)의 연구 성과로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하였다. 2008년 말에 모형의 기본구조가 개발되었고, 2009년에는 세부 알고리즘인 증발산, 침투, 유역 유출, 지하수 유거, 하도추적 등의 모듈과 사용자 편의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010년에는 우리나라 논의 특성을 반영한 논 유출 해석 모듈 및 저류지, 침투시설, 습지, 빗물이용시설 및 하천에서의 취수와 도수 등과 같은 물순환 개선시설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며 2010년 3월에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 1.0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다. 2010년 12월 에는 1.0 베타 버전에 침투해석모듈(Green&Ampt, Horton), 논에서의 개량물꼬 배수, 침투녹지(Bioretention) 및 차집관거 기능을 추가하였고, 기타 GUI의 업그레이드 및 추가를 통하여 1.5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다. 현재까지 여러 자연유역과 신도시 개발지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연유역과 신도시 개발지역 외에 농업용 저수지와 논 관개지구가 위치한 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농업용수 지구이며 농업수리시설의 종류와 규모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농촌유역으로써의 대표성을 가지고 기존의 관측자료가 풍부한 점 등을 고려하여 경기도 평택의 이동유역을 선정하였다. 이동유역은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남사면 일원이며 서쪽은 경기도 오산시, 남쪽은 평택시, 안성시 그리고, 북쪽은 용인시와 인접하고 있다. 이동유역 내 주요시설로서 유역면적 $94.4km^2$의 이동저수지와 상류에 용덕저수지($12.41km^2$)와 미산저수지($4.39km^2$), 노곡저수지($2.00km^2$)의 3개 저수지가 위치하며 2개의 유입하천(진위천, 송전천)에 의해 이동저수지로 유입된다.

  • PDF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 Ahn, Chang Hyuk;Kwon, Jae Hyeong;Joo, Jin Chul;Song, Ho Myeon;Joh, Gyeongi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6
    • /
    • pp.421-429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wapocheon Stream and to be utilized in the further related research. Water in the upper stream became a dammed pool due to the existence of 14 weirs, and pollutants such as both sewage and irrigation water were introduced into the mainstream passing through farming settlements and agricultural land. For these reasons, filamentous cyanobacteria (Oscillatoria sp.) bloomed at the bottom of the dammed pool. Also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tributaries with high pollutant concentrations [e.g., Comocheon (T3) and Yongdeokcheon (T8)] were inflowed, and had a negative impact on water quality of the mainstream, especially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Hwapocheon Stream, dissolved oxygen (DO) decreased, and suspended solid (SS) increased toward the downstream. The result showed that hydraulic retention time, SS, COD, and concentration of $NH_4{^+}$ were important water quality factors of the Hwapocheon Stream. The high concentration of benthic organic matter and rich in attached algae in the core of Hwapo-wetland were expected to give impact on the water quality of the mainstream. In the spatial manner, water quality showed increasing trend in the weir zone, and it was constant or decreased trend in wetland. In the seasonal manner, th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winter dry season, however, the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were high in spring and summer. Generally, the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value were $40{\mu}g\;chl-{\alpha}/L$ or less in all reaches except for the high concentrations in the weir and wetland area in June.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by the operation of Nakyang Weir in the Dongjin River (동진강 낙양 보 운영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Young Jun Ohk;Seung Hyun Kim;Kang Han Lee;Da J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2-312
    • /
    • 2023
  • 동진강 유역은 김제평야를 품고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농지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에 따라 전체 용수 사용량에서 농업용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유역이다. 낙양 보는 동진강 중·상류에 위치한 이수시설로 상류에 위치한 섬진강댐과 같이 동진강 유역의 농업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양 보는 현재 동진강 방수문 4문, 김제간선 취입수문 2문, 정읍간선 취입수문 1문이 설치되어 있다. 관개기에는 동진강 도수로의 수문을 폐쇄하여 동진강 본류로의 하천유지용수를 차단하고 김제 배수로의 수문을 운용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수혜구역의 용수수요 변화 및 기상상황, 하천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 보 운영으로 인하여 다양한 수위-유량관계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 보 운영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진강 유역 낙양보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거산교)관측소를 대상관측소로 선정하였다. 정읍시(거산교)관측소는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2021년까지 사용하였고, 2022년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증과 재개발을 위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은 검토 결과 강우에 의한 수위 상승시 보 완전 개방 상태의 측정성과를 확보하여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가동 보를 운영하는 3월~9월은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행정교)관측소와 상하류 역전 현상이 발생하였고, 매년 비정상적인 유량이 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22년 신뢰도 높은 유량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을 위해 낙양 보 완전개방 및 부분개방에 따른 다양한 유량측정성과와 낙양 보 수문 모니터링 결과를 확보하였다. 낙양 보는 2022년 1월~3월, 10월~12월은 수문 6문을 완전 개방하여 동진강에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고, 4월부터 동진강 방수문을 폐쇄하여 농번기 농업용수를 확보한 후, 5월~9월에 확보된 농용수를 김제 배수문 2문을 부분개방하면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기간동안 낙양 보 수문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정읍시(거산교)관측소 수위자료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유량측정시에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와 곡선식 확인을 위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위 또는 유량이 변하는 구간은 연속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와 유량측정성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수위1식은 수문 완전개방, 저수위2식은 수문 완전폐쇄, 저수위3~6식은 수문 부분개방 곡선식을 개발하였으며, 저수위 구간은 낙양보 운영에 따라 총 27차례 기간분리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양 보 운영에 따른 다수의 유량측정성과와 모니터링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과의 분석을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availability considering complex water use in upstream of the Hantan River Dam (한탄강댐 상류 상세 물이용체계를 고려한 수자원가용량 평가)

  • Jang, Cheol Hee;Kim, Hyeon Jun;Kim, D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2-252
    • /
    • 2020
  • 대하천 주변 광역상수도 공급지역은 가뭄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물이용이 가능하나, 중소하천을 수원으로 하는 하천의 상류지역은 가뭄시 물공급 안정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가뭄시 물 공급시설의 효율적 운영, 물부족 위험도 평가, 가용 수자원의 최적이용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예측이 필요하다. 기존의 가뭄시 하천유출량 예측정확도 평가는 통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가뭄지수 기반의 가뭄상황의 예측에 치중하여 불확실성이 크며 국내 유역의 복잡한 물이용체계를 고려하지 않아 시·공간적인 규모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며 실측자료 기반의 하천유출량과 비교하면 정확도가 대부분 60% 이하로 나타난다(이상은 등, 2015). 본 연구에서는 상세 물이용체계를 고려한 정도높은 수자원가용량의 평가를 위하여 한강권역 내의 한탄강댐 상류 유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였다. 한탄강댐 상류유역은 다수의 복잡한 농업용 수리시설 운영에 따른 수자원가용량 예측정확도가 매우 낮은 지역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정도 높은 수자원가용량 예측정확도를 확보하기에 적정한 유역이라 판단하였다. 수자원가용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CAT3.1(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3.1)을 이용하였다. CAT 3.1은 중소하천 유역내의 인위적인 물이용체계(광역급수, 재이용, 지하수 취수, 하천수 취·배수 등)를 반영한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평가 및 예측이 가능한 모형으로 기존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개발되었다. 한탄강댐 상류유역의 물리적 매개변수는 최대한 기 구축된 GIS 자료를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토지이용현황은 산림과 농업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농업용수 공급이 대부분인 물이용체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11개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취수현황 및 제원, 국가지하수센터의 유역내 지하수사용량, 하폐수처리량을 기본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에는 저수지출구점을 기준으로 저수지 상류유역 및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기 구축된 관개면적 공간자료를 기본으로 수혜구역을 세분화하여 모형을 적용하였다.

  • PDF

Estimation of Paddy Field Area in North Korea Using RapidEye Images (RapidEye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논 면적 산정)

  • Hong, Suk Young;Min, Byoung-Keol;Lee, Jee-Min;Kim, Yihyun;Lee, Kyungd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6
    • /
    • pp.1194-1202
    • /
    • 2012
  • Remotely sensed satellite images can be applied to monitor and obtain land surface information on inaccessible areas. We classified paddy field area in North Korea based on on-screen digitization with visual interpretation using 291 RapidEye satellite images covering the whole country. Criteria for paddy field classification based on RapidEye imagery acquired at different time of rice growth period was defined. Darker colored fields with regular shape in the images with false color composite from early May to late June were detected as rice fields. From early July to late September, it was hard to discriminate rice canopy from other type of vegetation including upland crops, grass, and forest in the image. Regular form of readjusted rice field in the plains and uniform texture when compared with surrounding vegetation. Paddy fields classified from RapidEye imagery were mapped and the areas were calcula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province or city. Sixty six percent of paddy fields ($3,521km^2$) were distributed in the west coastal regions including Pyeongannam-do, Pyeonganbuk-do, and Hwanghaenam-do. The paddy field areas classified from RapidEye images showed less than 1% of difference from the paddy field areas of North Korea reported by FAO/WFP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World Food Program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