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개념어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Effect of Integrated Mind Map Activities on the Creative Thinking Skills of 2nd Year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 Yoon, Hyunjung;Kang, Soonh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9 no.2
    • /
    • pp.164-17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nductiv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investigate its effects. It has been developed integrated mind map with feature of visualizing the divergent thinking to the aspects of Science (S), Technology (T) & Engineering (E), Arts (A), Mathematics (M). Integrated mind map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of STEAM type, STEA type, STEM type, STE type depending on the category of key words in the first branch. And Integrated mind map can be divided into three levels of guided, intermediate, open depending on the teacher's guide degree. And also integrated mind map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group, class share as well as individual. This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 semester and students in experiment group experienced individual-integrated mind map activity 10 times, group-integrated mind map activity 10 times, class share-integrated mind map activity 3 tim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skills (p<.05).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s a sub-category of creative thinking skills(p <.05). Also creative thinking skills are not affected by the level of cognitive, academic performance, gender (p<.05).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mind map activity' improved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about creative thinking skills between the teaching strategy and cognitive level, achivement, gender of those students.

문헌검색(文獻檢索)에 있어서 Chemical Abstracts와 CA Condensates의 비교(比較)

  • Robert, B.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9 no.1
    • /
    • pp.21-25
    • /
    • 1976
  • 1975년(年) 3월(月), 4년반(年半) 동안의 Chemical Abstracts 색인(索引)과 온-라인이 가능(可能)한 CA Condensates를 비교(比較)하였다. 두가지 데이터 베이스를 함께 이용(利用)하여 검색(檢索)하는 방법(方法)이 가장 효율적(效率的)이지만 실예(實例)에서 보는 바와 같이 CA Condensates를 검색(檢索)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實用的)이다. System Development Corp 사(社) (SDC)에 설치(設置)되어 있는 온-라인 형태(形態)인 CHEMCON과 CHEM7071을 Chemical Abstracts 색인(索引)과 비교(比較)하였다. 대부분(大部分)의 Chemical Abstracts 이용자(理容者)들은 Chemical Abstracts 책자나 우가색인(累加索引)에는 친숙(親熟)하지만 CA Condensates는 아마도 그리 친숙(親熟)하지 못할 것이다. CA Condensates는 서지적 사항을 기계(機械)로 읽을 수 있는 형태(形態)로 되어 있고 Chemical Abstracts에 따라서 색인(索引)되므로 매주 발행되는 Chemical Abstracts 책자의 뒷 부분이 있는 색인(索引)과 같이 우리에게 가장 친숙(親熟)한 형태(形態)로 되어 있다. Chemical Abstracts가 현재(現在) 사용(使用)하고 있는 데이터 데이스이지만 본고(本稿)에서는 Index와 Condensates를 둘 다 데이터 베이스로 정의(定義)한다. Condensates가 미국(美國)의 Chemical Abstracts Service 기관으로부터 상업적(商業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게 되자 여러 정보(情報)센터에서는 이용자(利用者)들의 프로 파일을 뱃취방식(方式)으로 처리(處理)하여 매주 나오는 자기(磁氣)테이프에서 최신정보(最新情報)를 검색(檢索)하여 제공(提供)하는 서어비스 (SDI)를 시작하였다. 어떤 정보(情報)센터들은 지나간 자기(磁氣)테이프들을 모아서 역시 뱃취방식(方式)으로 소급(遡及) 문헌검색(文獻檢索) 서어비스를 한다. 자기(磁氣)테이프를 직접 취급(取扱)하는 사람들을 제외(除外)하고는 대부분(大部分) Condensates를 아직 잘 모르고 있다. 소급(遡及) 문헌검색(文獻檢索)은 비용이 다소 비싸고 두서없이 이것 저것 문헌(文獻)을 검색(檢索)하는 방법(方法)은 실용적(實用的)이 못된다. 매주 나오는 색인(索引)에 대해서 두 개나 그 이상의 개념(槪念)이나 물질(物質)을 조합(組合)하여 검색(檢索)하는 방법(方法)은 어렵고 실용적(實用的)이 못된다. 오히려 주어진 용어(用語) 아래에 있는 모든 인용어(引用語)들을 보고 초록(抄錄)과의 관련성(關連性)을 결정(決定)하는 것이 때때로 더 쉽다. 상호(相互) 작용(作用)하는 온-라인 검색(檢索)을 위한 Condensates의 유용성(有用性)은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필요(必要)한 문헌(文獻)만을 검색(檢索)해 보는 것이 이제 가능(可能)하고 어떤 항목(項目)에 대해서도 완전(完全)히 색인(索引)할 수 있게 되었다. 뱃취 시스팀으로는 검색(檢索)을 시작해서 그 결과(結果)를 받아 볼 때 까지 수시간(數時間)에서 며칠까지 걸리는 번거로운 시간차(時間差)를 이제는 보통 단 몇 분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뱃취 시스팀과는 달리 부정확하거나 불충분한 검색방법(檢索方法)은 즉시 고칠 수가 있다. 연속적인 뱃취 형태의 검색방법(檢索方法)에 비해서 순서(順序)없이 온-라인으로 검색(檢索)하는 방법(方法)이 분명(分明)하고 정확(正確)한 장점(長點)이 있다. CA Condensates를 자주 이용(移用)하게 되자 그의 진정한 가치(價値)에, 대해 논의(論義)가 있었다. CA Condensates의 색인방법(索引方法)은 CA Abstract 책자나 우가색인(累加索引)의 방법(方法)보다 확실히 덜 체계적(體系的)이고 철저(徹底)하지 못하다. 더우기 두 데이터 베이스는 중복(重複)것이 많으므로, 중복(重複)해서 검색(檢索)할 가치(價値)가 없는지를 결정(決定)해야 한다. 다른 몇 개의 데이터 베이스와 CA Condensates를 비교(比較)한 논문(論文)들이 여러 번 발표(發表)되어 왔는데 일반적(一般的)으로 CA Condensates는 하위(下位)의 데이터 베이스로 나타났다. Buckley는 Chemical Abstracts의 색인(索引)이 CA Condensates 보다 더 좋은 문헌 (데라마이신의 제법에 관해서)을 제공(提供)한 실례(實例)를 인용(引用)하였다. 죠오지대학(大學)의 Search Center는 CA Condensates가 CA Integrated Subject File 보다 기능(機能)이 못하다는 것을 알았다. CA Condensates의 다른 여러 가지 형태(形態)들을 또한 비교(比較)하였다. Michaels은 CA Condensates를 온-라인으로 검색(檢索)한 것과 매주 나오는 Chemical Abstracts 책자의 색인(索引)은 수작업(手作業)으로 검색(檢索)한 것을 비교(比較)한 논문(論文)을 발표(發表)하였다. 그리고 Prewitt는 온-라인으로 축적(蓄積)한 두 개의 상업용(商業用) CA Condensates를 비교(比較)하였다. Amoco Research Center에서도 CA Condensates와 Chemical Abstracts 색인(索引)의 검색결과(檢索結果)를 비교(比較)하고 CA Condensates의 장점(長點)과 색인(索引)의 장점(長點), 그리고 사실상(事實上) 서로 동등(同等)하다는 실례(實例)를 발견(發見)하였다. 1975년(年) 3월(月), 적어도 4년분(年分)의 CA Condensates와 색인(索引)(Vols 72-79, 1970-1973)을 비교(比較)하였다. 저자(著者)와 일반(一般) 주제(主題) 대한 검색(檢索)은 Vol 80 (Jan-June, 1974)을 사용(使用)하여 비교(比較)하였다. CA Condensates는 보통 세분화(細分化)된 복합물(複合物)을 검색(檢索)하는 데 불편(不便)하다. Buckly가 제시(提示)한 실례(實例)가 그 대표적(代表的)인 예(例)이다. 그러나, 다른 형태(形態)의 검색실예(檢索實例)(단체저자(團?著者), 특허수탁저(特許受託著), 개인저자(個人著者), 일반적(一般的)인/세분화(細分化)된 화합물(化合物) 그리고 반응종류(反應種類)로 실제적(實際的)인 검색(檢索)을 위한 CA Condensates의 이점(利點)을 예시(例示)하였다. 다음 실례(實例)에서 CHEMCON과 CHEM7071은 CA Condensates를 온-라인으로 입력(入力)시킨 것이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 South Korea: Evaluation and Intervention (국내의 발달성협응장애(DCD)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평가와 중재접근 중심으로)

  • Kim, Min Joo;Choi, Jeong-Si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9 no.1
    • /
    • pp.69-82
    • /
    • 2021
  • Objective : This recent work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b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in South Korea. The previous research of screening DCD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were reviewed. Methods : Peer-reviewed papers relating to DCD and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20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search term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 coordination,"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were used to identify previous Korean research in this area from three representation database,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Google Scholar. We found a total of 4,878 articles identified through the three search engines and selected seventeen articles for analysis after removing those that corresponded to the overlapping or exclusion criteria. We adopted "the conceptual model" to analyze the selected articles about DC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sults : We found that twelve of the 17 studies showed the qualitative level of Level 2 using non-randomized approa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its second edi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in assessing children for DCD. Among the intervention studies, the eight articles (47%) were adopted a dynamic systems approach; a normative functional skill framework and cognitive neuroscience were each used in 18% of the pieces; and 11% of the articles were applied neurodevelopmental theory. Only one article was used a combination approach of normative functional skill and general abilities. These pape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CD and the intervention effect of exercise or sports programs. Conclusion :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investigate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CD or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articular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it would be useful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fferent assessment tools and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terventions used in rehabilitation for better motor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