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기술협력(科學技術協力)

Search Result 77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과학기술 관련 국제협력 전망

  • Mi, Sang
    • Science & Technology Policy
    • /
    • v.2 no.16 s.16
    • /
    • pp.13-20
    • /
    • 1992
  • 최근 국제기술환경은 국가 간 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동시에 상호 협력도 확대되는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세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연구 개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제협력」에 적극 참여하는 것만이 유일한 번영의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여 과거 미국과 일본에 과도하게 의존되었던 기술 협력은 최근 EC, 소련, 동구권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향후 기술 협력의 추진 방향은 우리의 기술 개발 목표와 해외의 강점 분야를 연계한 쌍무협력을 강화하고, 국제 공동 연구에의 적극 참여와 지구적 문제의 해결에 능동적으로 동참하는 다국간 협력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 미국, 일본, EC, 북한, 소련 및 북방 국가들과의 '92년도의 주요기술협력사항을 전망해본다. (편집자 주)

  • PDF

동북아 과학기술 허브로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 구축 방안 : 유럽연합(TTU)의 과학기술 협력 및 정보인프라 정책의 벤치마킹

  • 이성호;이형진;윤종민;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3.06a
    • /
    • pp.90-107
    • /
    • 2003
  • 참여정부의 출범과 한께 과학기술계에서는 동북아 과학기술 허브 구축방안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논의는 법제도의 정비 및 과학기술특구 건설 등의 이슈에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이를 뒷받침할 실증적 연구는 미미하다. 허브란 개념이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centrality)을 의미 하며, 현재 및 미래의 과학학기술협력 네트워크 발전에 정보통신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초고속통신망 인프라를 십분 활용한 차세대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구축을 통한 동북아 사이버 연구네트워크상의 허브화(궁극적으로는 e-Science의 허브화를 지향)는 지역 클러스터 건설을 통한 물리적 허브화 못지 않게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먼저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동아시아의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주요 네트워크 지수를 실증적으로 진단하고, 특히 이를 유럽연합의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의 패턴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럽 연합은 1984년부터 과학기술 협력 프로그램인 Framework Program을 시작하여 일찍부터 역내 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경험을 가지고 있고, 2000년부터는 자발적 협력과 네트워킹을 통해 유럽의 연구 개발 활동을 통합·조정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유럽 연구개발권 (European Research Area) 형성이 구체화되고 있어, 동북아 과학기술협력 네트워크를 건설하는데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유럽 연구개발귄이라는 우산 아래서 유럽의 과학기술 활동이 조정 및 통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의 주요 기능을 컨텐트 (연구정보서비스와 메타데이터 표준), 시스템 (슈퍼 컴퓨팅, 광대역 네트워크, GRID), e-Science 응용연구 별로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럽의 경험을: 교훈삼아 동북아 e-Science 네트워크의 건설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동북아 연구개발정보 Portal 및 APEC APGrid 연구망 등의 구체적인 정보인프라 구축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Status of 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ter-Korean S&T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UKAST (북한 과학기술과 남북과학기술협력 현황 - 통일과학기술연구회 활동을 중심으로)

  • Choi, Hyun-kyoo;Yim, Insung;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1
    • /
    • pp.60.2-60.2
    • /
    • 2019
  • 북한은 과학기술중시정책을 추진하면서 과학기술 우대환경을 조성하고, 전민과학기술 인재화 및 과학교육 강조 그리고 새 세기 산업혁명을 내세우며 자력갱생과 경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의 도구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특수부문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고, 기초과학 부문 및 정보기술영역에서 성과를 보여주고 있고, 국제학술활동에도 참여하는 등 얼마간의 대외 개방성도 나타내고 있다. 핵문제 즉 비핵화의 과제가 남아 있으나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정사회담을 통해 남북교류협력의 여건이 나아지고 있고,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소속의 연구자들이 북한연구과 남북협력을 준비한다. 대북 재제의 여건하에서 활성화될 수는 없으나 남북 과학자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백두산연구기지 설립으로 백두산 지진 뿐만 아니라 천문 연구와 천연물, 광물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는 남북과학기술협력센터 설립을 검토하고 보다 다양한 남북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기반 조성을 위한 향후 계획을 논한다.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Output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Case of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Progra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과학기술 국제협력 성과제고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국제화사업을 중심으로-)

  • Kim, Young-In;Lee, Byung-M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545-563
    • /
    • 2009
  • In an era of glob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In fact, with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keep in touch with the fast-changing technology. In regard to this, the Korean government put much efforts into building a strong base for global R&D networking. As a result, the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has improved a lot. However, the output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still poor and fall short of expectations. With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rising more and m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T and analyse the outputs of the cooperation activities to review our past and pres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outputs of the MEST's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programs in various ways and recommends ways to improve the outputs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PDF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구축 현황과 활성화 방안

  • Choe, Hyeon-Gyu;Han, Seon-Hwa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1
    • /
    • pp.88-95
    • /
    • 2002
  • 남북간의 경제협력, 특히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이 활성화되려면 우리가 북한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창구가 필요하다. 이용자의 창구와 전문가의 창구가 각각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과학기술 협력 및 기술거래 등 남북 경제협력의 포괄적 접근점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세미나중계 - 21세기 한ㆍ중 첨단기술 협력세미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5 s.372
    • /
    • pp.78-80
    • /
    • 2000
  • 지난 3월 23일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21세기 한ㆍ중 첨단기술 협력세미나'는 양국의 관련연구ㆍ학계 및 산업계 정보인사 등이 참석하여 토론함으로써 양국 과학기술계간의 이해증진과 주요 산업협력에 기여하는 계기가 됐다.

  • PDF

A Study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연구: 통합적 시각에서)

  • Kwon Ki-Seo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2 s.6
    • /
    • pp.29-60
    • /
    • 2003
  •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the trust between S.K and N.K as a leading factor and cut down the cost of unification by diminishing the technology lag and the gap of economic level. This study has shown that we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unified Korea Innovation system if we systematically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and promot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s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with integrated framework of three aspects to clear up the policy of Inter-Korean Cooperation. First, in the national aspect, we make use of the n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mechanism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s in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legal and institutional view Second, in the unification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 in the aspect of a phase-dependent approach. Finally, in technology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technology gap, the framework of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dependency theory. A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ve tried to integrate the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eam a good lesson from it; Therefore, we can use it as a means of evaluation on a cooperation program and prediction for the future status of cooperation.

  • PDF

북한 학술문헌으로 본 북한과학기술 동향 분석

  • Choe, Hyeon-Gyu;Gang, Hyeon-Mu;Lee, Chang-Hwa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22
    • /
    • pp.62-69
    • /
    • 2006
  • 남북 경제협력을 비롯한 제반 기술 교류는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에 의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남북 기술협력을 보다 객관화하고 협력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북한에서 발표되는 학술자료를 비롯한 정확한 데이터를 활용해서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북한과학기술 동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NK테크) 등을 통해서 확보한 자료를 기반으로 KISTI 고유의 정보분석시스템 KITAS를 활용해 북한의 과학기술문헌의 계량화를 시도해 보았다.

  • PDF

KIST "산학연협력연구동 및 최형섭 연구동" 준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7 s.374
    • /
    • pp.8-10
    • /
    • 2000
  • 총사업비 1백10억원을 들여 최근 "산학연협력연구동 및 최형섭연구동"을 준공한 KIST박호군 원장은 본지와의 특별인터뷰에서 "이번 최형섭연구동 준공을 계기로 기업 및 대학과의 협력연구를 보다 활성화하고 산ㆍ학ㆍ연간 유기적인 협력체를 구축함으로써 산업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창출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nents &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Mechanism on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국가과학기술혁신 민.관협력 메카니즘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4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Yong-S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2
    • /
    • pp.194-218
    • /
    • 2008
  •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concept can encompass a broad range of cooperative relations and a broad variety of programmes in terns of size, objectives and desig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mechanisms in the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policy. The research methodologies are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olicy makers in four countries with six PPP programme : the France, the Netherlands, the Australia and Austria. It also attempts to understanding of the components that explain the increase of collaboration between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PPPs. The taxonomy and essential components of PPPs were identified : mission-oriented PP/Ps, market-Oriented PP/Ps, cluster-oriented PP/Ps, and ISRs-Oriented PP/Ps. The taxonomy of regulatory regime can be a reference point for identifying the relative status of Korea's PP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