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기술과 사회

Search Result 2,85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정보산업

  • Kim, Bong-Il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7 no.5 s.180
    • /
    • pp.35-37
    • /
    • 1984
  • 우리의 미래사회는 정보가 압도적 역할을 하는 정보화 사회라고 부른다. 두뇌집약적 정보산업의 육성책은 보다 시급한 국책과제라고 사료되며 장기적인 전망도 밝고 가능성 또한 크다. 컴퓨터 부문의 기초기술분야 보다도 소프트웨어 응용기술(MIS) 분야에 중점을 두어 적절히 대처한다면 국내 정보산업의 도약을 위한 초석, 그리고 치열한 선진경제사회 대열에 고급기술인력이 진출할 수 있는 기반까지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대략 세부분으로 나누어 우선 정보산업이 무엇인가에 대해 정리해 보고, 그 다음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에 주안점을 두어 국내 정보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며, 마지막에 미래사회의 물결로 국내 및 세계의 전망과 우리의 나아갈 길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echnological Risk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 Yun Jin-Hy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1 s.5
    • /
    • pp.75-103
    • /
    • 2003
  • The technological risk has two major aspects. The one is technological aspect of the risk which consists of rules of nature and rational behaviors of humans. The other is social aspect of risk which consists of human values and nonrational and emotional behaviors of humans. So the technological risks should be called and treated as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risks. Because of these, not only technological professionals but also public people should have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echnological risks.

  • PDF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uilding Sentence Meaning Identification Dataset Based on Social Problem-Solving R&D Reports (사회문제 해결 연구보고서 기반 문장 의미 식별 데이터셋 구축)

  • Hyeonho Shin;Seonki Jeong;Hong-Woo Chun;Lee-Nam Kwon;Jae-Min Lee;Kanghee Park;Sung-Pil Choi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2 no.4
    • /
    • pp.159-172
    • /
    • 2023
  • In general, social problem-solving research aims to create important social value by offering meaningful answers to various social pending issues using scientific technologies. Not surprisingly, however, although numerous and extensive research attempts have been made to alleviate the social problems and issues in nation-wide, we still have many important social challenges and works to be do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entire proces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research and maximize its efficacy, it is vital to clearly identify and grasp the important and pressing problems to be focused upon. It is understandable for the problem discovery step to be drastically improved if current social issues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from existing R&D resources such as technical reports and articles. This paper introduces a comprehensive dataset which is essential to build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social problems and solutions in various national research reports. Initially, we collected a total of 700 research reports regarding social problems and issues. Through intensive annotation process, we built totally 24,022 sentences each of which possesses its own category or label closely related to social problem-solving such as problems, purposes, solutions, effects and so on. Furthermore, we implemented four sentence classification models based on various neural language models and conducted a series of performance experiments using our datase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odel fine-tuned to the KLUE-BERT pre-trained language model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n accuracy of 75.853% and an F1 score of 63.503%.

나의 주장 - '과학기술'로 통일해서 쓰자

  • Lee, Yong-S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7 s.326
    • /
    • pp.14-15
    • /
    • 1996
  • 과학과 기술의 개념은 분명히 다르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과학적인 발견이 바로 기술로 연결되고 있어 용어의 한계가 무너져가고 있다. 그래서 '과학과 기술'보다는 '과학기술'이라는 하나의 단어가 우리 사회에 오히려 포괄적인 의미로 수용되고 있다. 과학과 기술을 구별하지 말고 '과학기술'로 통일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in Korea: A Critical Review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

  • Bak, Hee-J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5 no.3
    • /
    • pp.155-195
    • /
    • 2017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also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studies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Up until now,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while they have paid inadequate attention to researchers at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use concepts in Western academia to elucidate Korean cases. On the other hand, recent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s in universities, PBS system, and the network of school ties suggest that these topics may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Empirical studies on the scientific community have also shown that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in Korea have demonstrated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government's guidance due to long experiences of state-led R&D and nationalism.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has viewe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democracy, and tended to have a strong practical orien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on how citizen participation influence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as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as the scholars who have emphasized the democr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ctually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of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on researchers may have to design and implement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which citizens' local knowledge can contribute to technological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