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과 미술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 Choi, Seong-Ryeol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12
    • /
    • pp.145-191
    • /
    • 2007
  • 21세기는 과학적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과거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물질문명의 풍요를 이끌어 냈으며, 컴퓨터, 메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 문명의 관심은 지구계를 벗어나 우주론적으로 확장되어 마침내 우주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인간의 이성과 함께 영원하리라 믿었던 과학적 합리성은 20세기 초두에 제국주의적 전쟁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이성 파괴 현상이 드러나게 되었다. 급기야 20세기말에 이르러 다원주의라 칭하기도 하는 후기산업사회의 병적 증후군들, 국가간의 경제전쟁, 컴퓨터 및 각종 정보매체를 통한 신속한 정보교환의 이면에는 인간의 자기정체성의 혼돈을 아울러 초래하게 되었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생태계 및 환경은 오염되고 파괴되었다. 20세기말에는 산성비, 엘니뇨, 라니냐 현상으로 인하며, 환경의 재앙을 초래하면서 이제 인간은 문명에 대하여 여태껏 가져왔던 확고한 믿음에 회의를 갖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과학적 믿음의 지나친 숭배로 인하며 자연도 인간에 의하여 지배되고 인간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인간과 자연의 이원론적인 생각 즉,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한 "근대적 주체"에 대한 맹신의 결과인 것이다. 이렇듯 20세기의 문제점은 21세기로 전가되어 여전히 계속되고 있으며, 세계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전쟁, 기아 등 보다 이제는 오히려 환경. 생태문제로 귀결되어 지구의 생존권 자체가 위협을 받게 되었다. 미술도 서구문명의 근대주의적 영향에 의해서 모더니즘 등 이성위주의 미술인 "근대 주체적 미술"로 발전하였지만 포스터모더니즘에서 보여 지듯 이미 인간의 순수한 이성을 근간으로 한 미술에 있어서의 주체성 주장은 상당부분 무너졌으며, 이제는 장르의 해체와 다원화 현상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환경파괴에 직면하여 이제 주체는 자연이라는 타자를 새롭게 등장시킨다. 그리하여 생명중심주의, 전체론, 감각 중심주의 등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생하는 자연을 향한 생태적인 미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무비판적 서구미술에 동요되지 않고, 지극히 자연적이고 동양적이기도 한 끊임없이 생명력을 창출해 내는 자연에 관심을 같게 되었으며, 환경의 중요성과 함께 생태학적 미술, 즉 생태미술에 본인의 작업을 관계시키고자 한다. 근대적 문명사에 의해 매장된 생태적 유기성의 흔적을 고고학적 탐사방법을 통하며 발굴해 내며, 환경윤리와 생태학, 심층 생태학, 북친의 '사회 생태학'을 수용하여 물질성의 생태적 복원과 함께 조형공간의 다원성에 대한 생태 미술의 일단을 규명코자 하였다.

  • PDF

한국 서체문자미술의 흐름과 디자인마케팅에 관한 고찰

  • Park, Jong-Gap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241-260
    • /
    • 1999
  • 국제적 미술 양식이면서 동양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서체 문자마술을 통하여 우리 미술문화의 현재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서체 문자미술을 이루고 있는 기호인 한자와 한글을 우리 조상들이 생활 속에서 계속 사용하여 왔으며 나아가 조선에 이르러서는 민화에서 문자그림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우리의 이름 있는 작가들과 후학들이 서체에서 나타나는 문자를 이용하여 작품세계를 빛내고 있다. 현대미술의 서체적인 문자그림들의 평가와 그 가능성을 밝히고 디자인마케팅에 있어서 시각적인 학습과 기억에의 서체문자 미술의 활용에 대해 고찰하며, 특히 한국미술에 있어 서체적인 문자그림의 전통성과 현대미술에서의 표현을 통하여 서체 문자그림이 동시대 한국 미술문화를 이루는데 한 축을 이루고 있음을 밝히면서, 한국 서체 문자미술이 디자인마케팅에의 시각적 표현활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PDF

The Future and Prospects of NFT Art : On the basis of Actor-Network Theory (NFT 아트의 미래와 전망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 Cheon, Mi Lim;Kim, Hong Ky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397-405
    • /
    • 2022
  • NFT art is a new art formed based on NFT technology. This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in the existing art world and art marke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alyze whether NFT art can establish itself as a new area of art. Therefor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NFT art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or-Network The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tudies, and the case of NFT artist 'beep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t also discusses the artistic value of NFT art and its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art networks based on the aesthe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 Graham Harman.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future and genre sustainability of NFT art through the case of NFT project "Cryptopunks" and "PUNKISM" advocating a new art genre. By analyzing NFT art with ANT, I would like to raise a technical, aesthetic, and philosophical questions and propose a positive prospect as a new art genre.

A Point of View on the Use of Fractals in Art Therapy (미술치료에서 프랙탈의 활용방안에 관한 소고)

  • Lee, Hyun-Jee;Yeon, Ohk-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1
    • /
    • pp.354-367
    • /
    • 2020
  • This study is on the 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 therapy and fractal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t home and abroad. The complex system is the opposite of the Euclidean system, a concept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ies with ambiguous boundaries and decentralized phenomena. The self-similarity and inventiveness of fractal, the geometry of nature, is used as fractal art in art as well as tree trunk, cloud and plant, especially in art therapy, fractal is considered to be available in the field of mandala and neuroscience. From brain-based research to mandala, exposure to natural patterns, clinical diagnosis through fractal analysis and software development, fractal has potential elements that can be developed in art therapy. Fractal, which is easy to link with computers due to its nature, is a necessary study at this point when non-face-to-face contact with the Corona virus is recommended. Currently, research on fractal art therapy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esent as a basis for scientific and objective diagnostic tools and treatment at clinical sites using art therapy using fractal.

The Proposition of the Checklist and the Case Study of Art Education Environment for Usability and Safety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Elementary Schools - (사용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초등학교 미술교육환경 체크리스트 제안 및 사례연구 - 국내외 공립 초등학교 중심으로 -)

  • Lee, Na Young;Paik, Jin Ky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16
    • /
    • pp.299-3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visual arts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is visual arts education have effect on the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Psychological Aspect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 the preceding material in terms of the future quality of the environment and curriculum for public schools and indicat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design space as examining what is needed aspect of the art connectivity.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school's visual arts education environment aspects of the facility and space status for safety and activity. As well, method is that it will find out how the program is being conducted in any part of the local culture. Art Education is not the non-intrusive training, but the series of processes going to work together and solve problems through participation of the creative experience based on the art motif. Therefore, it will be a well-supported guideline to establish the art educational environment.

Exploratory Experiment Analysis for Video Generation by Collage Technique (콜라주 기법에 의한 비디오 생성을 위한 탐색적 실험 분석)

  • Cho, Hyeongrae;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23-126
    • /
    • 2020
  • 딥러닝이 정답을 찾아가는 연구과정이라면 미술은 정답이나 오답의 단정적 결과보다는 미추(아름다움과 추함)를 포함하는 과정적, 창조적 행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미술은 0과 1로만 환원할 수 없는 세계를 기술하여 감동을 주는 유기적 규칙이 내재되어 있고 때로는 과학이 만들어낸 결론을 뒤집는 반상식적 추론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딥러닝은 예술적 방식을 통하여 과학의 상식적 추론과의 좋은 거리(Fine distance)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해서 기존 딥러닝의 이미지 생성과 관련하여 Distance, Classification, Optimization 등의 문제를 미술 표현 기법과 목적이 담겨있는 창작자의 Statement 키워드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각적 표현과 관련된 딥러닝의 성능은 아직 사람의 표현능력에 못 미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콜라주 기법에 의한 비디오 생성을 위한 탐색적 실험 분석을 목적으로 GAN을 활용한 콜라주 비디오를 제작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