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과 기술

Search Result 40,538,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과학과 기술」지령 300호 기념특집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7 no.5 s.300
    • /
    • pp.39-63
    • /
    • 1994
  • 5월로 「과학과 기술」지가 지령 300호를 맞았다. 「과학과 기술」지가 창간된 것은 1968년 1월15일 처음 계간으로 출발해서 「월간화보 과학과 기술」을 거쳐 월간인 오늘에 이르기까지 4차례의 변신을 했다. 「과학과 기술」지는 그동안 과학기술인의 대변지로써의 역할뿐 아니라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을 위해 힘을 쏟아왔다.「과학과 기술」지는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의 산 역사 기록이기도 하다.「과학과 기술」지 300호를 통해 돌아 본 한국과학기술30년사, 특별좌담, 각계인사들의 축하의 글을 특집으로 엮었다.

  • PDF

Grope for Popualization Schem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한국의 과학기술 대중화 방안 모색)

  • 감태현;나종필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2-12
    • /
    • 1998
  • 본 연구는 과학기술 대중화가 왜 중요한지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즉 과학기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반국민의 이해와 참여가 있어야 가능하다. 또한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적 이해가 없이는 과학기술 자체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획득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국민의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과학기술 선진국인 미국의 경우,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한 과학언론 전문가 집단의 역할과 과학언론매체의 영향이 매우 지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미국의 20세기 과학기술 대중화운동은 이들의 역할에 주로 의존한 나머지 본래의 과학적 사실이 담고 있는 상황을 일반대중에게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역기능이 발생한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아무튼 미국은 전통적으로 과학기술을 국가발전의 근간으로 여겨 과학언론매체의 개발과 함께 과학언론 전문가를 양성하여 일반대중이 과학기술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에반해 우리나라는 전문인력부족, 언론매체의 인식미흡, 대중화사업의 중복 및 유사성 등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대중의 이해와 참여를 이끌어 내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해서는 홍보전문인 육성, 정보전달매체의 다양화, 과학대중화 사업 등이 상호 유기적이며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나의 주장 - '과학기술'로 통일해서 쓰자

  • Lee, Yong-S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7 s.326
    • /
    • pp.14-15
    • /
    • 1996
  • 과학과 기술의 개념은 분명히 다르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과학적인 발견이 바로 기술로 연결되고 있어 용어의 한계가 무너져가고 있다. 그래서 '과학과 기술'보다는 '과학기술'이라는 하나의 단어가 우리 사회에 오히려 포괄적인 의미로 수용되고 있다. 과학과 기술을 구별하지 말고 '과학기술'로 통일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과학기술도서 출판, 무엇이 문제인가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7 s.338
    • /
    • pp.43-66
    • /
    • 1997
  • 과학기술도서는 이 분야 학문발전 뿐 아니라 국민을 과학문맹으로부터 일깨우는데 대단히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도서 출판이 부진하다. 우리나라 과학기술도서 출판 현황과 문제점, 과학저술인의 역할, 독자의 독서경향, 해외 과학기술도서 출판현황, 과학기술도서 출판 활성화방안 등을 점검해 보았다.

  • PDF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하기술부 장관

  • Lee, Deok-Hwa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4 s.443
    • /
    • pp.14-17
    • /
    • 2006
  • '과학과 기술'지는 제2대 과학기술 부총리로 취임한 김우식 장관을 만나 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전으로 취임사에서 밝힌 바 있는 과학기술의 대중화 · 생활화, 과학기술의 특성화 · 효율화, 과학기술의 세계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과 기타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구상을 들어보았다.

  • PDF

지식산업시대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6 s.385
    • /
    • pp.45-69
    • /
    • 2001
  •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중요성/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우리나라 여성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여성 과학기술인력의 특성(뇌과학)/주요 선진국의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

  • PDF

법조인이 보는 과학기술-과학기술은 삶의 빛과 그림자

  • O, Yun-De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9 s.316
    • /
    • pp.18-19
    • /
    • 1995
  • 분야가 다른 제3자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계는 어떠한가. 과학분야가 아닌 타분야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과학기술의 현황과 과학기술계에 바라는 진솔한 제언을 싣는다.

  • PDF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Yu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대통령과 과학기술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8 s.399
    • /
    • pp.43-66
    • /
    • 2002
  • [통치자의 과학기술 리더십] 정책조정자형 과학기술 리더십 전환시급, 체계적 보좌기초 목표달성체제 구축해야/ [국내 역대대통령의 과학기술 정책] 박정희대통령 과학기술 초석놓고 전두환 이어 김대중대통령 변화기 진입/[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미국] 역대 대통령 '과학기술은 국력' 인식, 레이건은 '스타워즈'로 소련붕괴 불러와/[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일본] 역대 총리 6명이 과학기술청 장관 출신, '나카소네수상' 원자력 선진국 기틀 마련/[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중국]'모택동' 국방기술 개발에 총력 핵탄 완성, '등소평' 과학기술은 제일의 생산력 강조/[외국 역대대통치자의 과학기술 정책/영ㆍ독ㆍ불ㆍ러]프랑스 - 과학기술 선진국 나폴레옹과 드골 초석, 러시아 - 레닌 이후 모든 통치자 科技 위해 정책 펴

  • PDF

한국 과학기술계 76년도 회고-1980년대를 향한 기대와 전망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1 s.92
    • /
    • pp.26-43
    • /
    • 1977
  • 한국과학기술계의 걸어온 발자취를 뒤 돌아보면서 과학기술계의 좌표를 정해보고 또한 80년대를 기대하면서 우리의 진로와 방향을 정립해 보는 신년좌담회가 지난 14일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렸다. 과학한국 기술자립이란 이념을 재다짐하면서 세계의 한국시대를 이룩해야 겠다는 바람직한 절규 80년대는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천혜의 기회라 봄직도 하다. GNP 0.5%의 분수령을 넘은 과학기술의 투자 경제성장 못지 않은 과학기술의 발자취 집념으로 이룩해가는 중화학공업 과학기술을 일괄 관장할 기구의 필요성, 중임이 부여된 80년대를 펼쳐보는 과학기술계는 어떤 것인가 다음 글은 좌담회 전모를 옮긴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