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과

Search Result 132,500, Processing Time 0.083 seconds

An investigation about science s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and scientist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종석;심규철;육근철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85-97
    • /
    • 2001
  • This study was to gain a suggestion how to educate the science gifted student and manage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by analyzing the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cience, scientist and vocation. One seventy and eight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science, scientist and vocation. As the results, many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ought the convenience as the positive aspect of science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s the negative aspect of science.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st scientists a diligent person, researcher and what's more, they are careless about home. They suggested much more of foreign scientists like Einstein, Edison, etc. than Korean ones as respectable scientists. Scientist is a major vocation that they want and know in the science area, while some students want to be a doctor, occurred to science singer. The mystery, difficulty, complexity, scientist, etc. occurred to science gifted students when they heard the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in need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n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One of the aim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s the judgment and cultivation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 Therefore, the science gifted student to be educated to improve positively the images of science and scientist. In addition to, they should get a concern about the vocation in science area and to be a famous scientist.

  • PDF

'과학 전도사'로서의 과학동아리 기대한다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12 s.427
    • /
    • pp.96-99
    • /
    • 2004
  • 과학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과학문화진흥회가 후원하는 '신과람(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칼럼'은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의견을 실었다.

  • PDF

법조인이 보는 과학기술-과학기술은 삶의 빛과 그림자

  • O, Yun-De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9 s.316
    • /
    • pp.18-19
    • /
    • 1995
  • 분야가 다른 제3자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계는 어떠한가. 과학분야가 아닌 타분야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과학기술의 현황과 과학기술계에 바라는 진솔한 제언을 싣는다.

  • PDF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사이비과학에 대한 과학교사와 중등학생의 인식조사)

  • Kang, Kyungl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87-11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Subjects were 491 secondary students and 65 science teachers who enrolled in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Korea.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3 items on 7 domains: fortune and fate, parapsychology, spiritual beings, alternative medicine, UFO and mystery, creationism, and introduction of the pseudoscience concepts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pseudoscience for secondary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Media such as television, movie, and books should provide a well-organised scientific programs.

  • PDF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Song, Shin-Cheol;Hong, Bora;Kim, Nam-Hui;Han, Hwa-Jung;Shim, Kew-Cheol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1
    • /
    • pp.130-1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Science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high school fusing science was related to various areas and they preferred to be taught separately from each area.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high school fusing science improved the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cientific common knowledge, advanced technology, and the history of science, but neither scientific writing nor discussion were actively involved. It also didn'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believ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cience through fusing science. On the other hand, teachers believed that this high school fusing science might not impact student's learning and generate negative perception.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fusing science because it was combination of many areas in science. They also perceived that contents in fusing science were more related to their daily life.

  • PDF

Exploring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론적 이해의 탐색)

  • Lee, Sun-Kyung;Yu, Eun-Jeong;Choi, Jong-Rim;Kim, Chan-Jong;Han, Hye-Jin;Shin, Myeong-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2
    • /
    • pp.218-2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quiry as the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Thre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classroom videotaping. The results show a case involving coherent and consistent data. It showed that the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onsisted of five categories: scientists doing science with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thinking as the process of knowing; science learner in the learning process of scientific thinking; science teacher as a man/woman with good understandings of sc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as the process of knowing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bout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 education were presented.

Understanding Science Experiments with Science Drama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 Yoon, Hye-Gyo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6 no.3
    • /
    • pp.260-266
    • /
    • 2007
  • 대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은 추상적인 과학 지식이 실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학습자들은 실험을 하더라도 그 실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활동과 관련된 과학사를 연극의 형태로 도입하여 실험 내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전자기 유도에 관련된 몇 개의 실험을 실시한 후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발견에 관한 짧은 과학 연극을 준비하고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 연극의 도입이 이전에 실시한 실험 내용(실험 결과와 이에 대한 해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직후, 과학 연극 실시 직후 동일 검사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 연극을 실시하는 것이 과학 학습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의견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연극을 실시한 직후 이전에 실시한 실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 실험으로부터 얻은 지식을 적용하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극 공연자가 관람자에 비해 실험에 대한 이해가 더 많이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80% 이상의 참여자가 과학 연극이 실험 내용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안식하였으며 공연자가 관람자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참여자들의 반응으로부터 어떠한 점에서 과학 연극이 과학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과학 연극의 장점과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PDF

Impact of Preparatory Science Methods Courses on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Hye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17 no.2
    • /
    • pp.33-44
    • /
    • 1998
  •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은 과학 교수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력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중 과학 교육 과목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 즉, 자신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대학교와 인천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과학 교육 과목을 마치고 나서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이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예비 교사들이 학습한 과학 교육 과목은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기대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그러나 앞으로는 과학 교육 과목의 어떤 요소들이 그들의 신념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질적 연구와 함께 더욱 긴 기간 동안의 연구가 행해져야하며, 변화된 그들의 신념이 실제 초등학교 교사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지를 조사하고, 지속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과학책 보내기 운동'을 계기로 본 "과학저술과 출판 활성화 방안"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10 s.389
    • /
    • pp.43-67
    • /
    • 2001
  • [과학저술 및 출판현황과 문제점] - 유능한 작가 못찾아 80%가 번역서 출간/[과학저술의 당면과제] - 필자 개발 과학출판 활성화 관건, 저작권 대리인제도 등 도입 절실/[과학출판의 당면과제 - 대중과학도서] - 출판사 영세해 작가와 전문인 등 절대 부족, 전체발간 종ㆍ부수 미미/[과학출판의 당면과제 - 아동 및 유아과학도서] - 흥미위주로 흘러 과학본질 벗어나 문제, 전문편집자ㆍ작가ㆍ화가ㆍ평론가 양성해야/['사이언스 북 스타트 운동'과 과학저술 및 출판] - 대상을 벽지 도서 어린이서 어른으로 확산, 제 값주고 사서 보급 과학출판에 큰 기여/[과학저술 및 출판 지원정책] - 저술 등 과학대중화활동 업적 평가반영, 연구사업비 일정 비율 대중화 위해 사용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