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포화

Search Result 9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해석적 방법을 이용한 흡습성 에어로졸의 거동 분석

  • 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699-706
    • /
    • 1996
  • 인자로 중대사고시 생성되는 흡습성(hygroscopic) 에어로졸의 거동을 해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는 상대습도가 불포화, 포화, 과포화 조건에서 CsOH 에어로졸의 수증기 응축률, 입자성장에 따른 크기분포의 변화. 중력침전에 의한 전체 에어로졸량의 변화이다. 용질효과를 고려한 흡습성 에어로졸 모델을 사용한 경우 상대습도가 불포화 조건에서도 에어로졸 입자에 수증기 응축이 발생하며 입자의 크기가 평형반경에 달할 때까지 지속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입자 성장은 매우 빠른 입자크기분포 변화를 초래하여 중력침전에의한 급속한 에어로졸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MELCOR 및 CONTAIN 코드는 흡습성 에어로졸에 대해서 용질효과를 고려한 모델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 PDF

Static Optimization Model for Congested Signalized Intersections (혼잡 신호교통로 제어를 위한 최적화 모형 개발)

  • 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0 no.3
    • /
    • pp.75-102
    • /
    • 1992
  • 지난 수십년간 수많은 신호교차로제어모형이 제시되어 왔으나 과포화교차로를 특별히 다루는 기법은 거의 없었다. 본고에서는 과포화상태의 신호교차로제어를 위한 최적화모형이 제시된다. 지체도최소화나 연동폭최대화가 전통적인 제어목표로 사용되어 왔으나 혼잡교차로 제어에는 생산성최대화(maximum productivity)가 적절하며 본 모형에 사용되었다. 제시된 최적화모형은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의 형태를 취한다. 본 모형은 두 개의 교차로 문제에 적용되었으며, 모형화 과정에 사용된 가정들의 적절함이 민감도분석에 의해 증명되었다. 최적해의 검증을 위하여 microscopic simulation model인 TRAF-NETSIM을 사용하였다.

  • PDF

Changes of $SPO_2$, heart rate and GSR at resting state due to oxygen administration (안정상태에서 외부의 산소공급에 따른 혈중산소포화도, 심박동율, 피부전도도의 변화)

  • 정순철;이현정;민병찬;김승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71-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안정 상태에서 일반 공기 중에 산소 농도(21%) 환경에 비해 외부에서 고 농도(35%)의 산소 공급이 혈중 산소 포화도(SPO2), 심박동율(Heart rate), 피부전도도(Galvanic skin respons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35%의 고농도 산소를 2L/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장치를 이용하였고, 뇌 질병이 없는 5명의 대학생들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21%의 비해 35% 산소 농도에서 모든 실험 참여자의 3분 동안의 평균 심박동율은 감소하였고 평균 혈중 산소 포화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피부전도도는 차이가 없었다.

  • PDF

가막만 소호해역에서 태풍 전후 수질 변동특성

  • Lee, 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4-297
    • /
    • 2007
  • 유기유기물 증가원인의 파악과 근본적인 대책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부영양화된 연안해역에 대하여 태풍 발생 전후의 수질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용존산소 포화도는 수온과 염분 약층이 형성된 시기에 저층에서 54% 이하로 관측되었다. 태풍이 지나간 직후에는 표층과 저층에서 거의 비슷한 용존산소 포화도$(78{\sim}88%)$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태풍이 지나간 3일 후 식물플랑크톤이 대량으로 증식한 표층에서 용존산소 포화도가 234%로 아주 높은 값이 관측되었고, 저층(5m)에서도 90%가 조사되어, 태풍과 식물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이 저층의 용존산소 포화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2) 염분이 가장 낮았던 시기에 표층에서 $NA_4-N$, $NO_3-N$, $SiO_2-Si$의 농도가 각각 18.22, 38.90, 52.10uM로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NH4-N$, $PO_4-P$, $SiO_2-Si$는 용존산소가 낮은 저층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3) 클로로필은 최고 $311.0{\mu}g/L$가 태풍 후에 관측되었으며, 그 원인 생물은 Scrippsiella trochoidea (42,000cells/mL)였다. 조류성장잠재능력은 태풍발생 후에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항상 질소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최고 10.55 mg/L였으며, 태풍으로 저층 퇴적물로부터 부유되는 유기 오탁 물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에 미치는 기여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의 대부분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기인한 것($r^2=0.612$, p<0.0001)으로 조사되었다.

  • PDF

Processing of Polyurhane Microcellular Foam for Thermal Insulation (단열재용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

  • 윤재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90-199
    • /
    • 1997
  • 단열용도의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세포 구조 를 얻기 위해서는 핵생성율을 증진시키고 균일한 분포의 기포를 생성시켜야 한다. 이를 위 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풀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각각 과포화시키고 충돌혼합하여 초음파 가진을 적용하였다. 이산화탄소 기체가 수지 내부에서 기포 내부로 확산함에 따라 기포의 성장이 조절된다고 가정하고 금형이 충전되는 동안에 금형 내부에서의 기포성장기구를 이해 하기 위하여 수치적인 방법으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화 시간과 확산 경계를 고려 하여 최종적인 기포의 크기를 계산하였으며 반응속도론을 고려하여 중합반응동안의 폴리우 레탄의 점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화 시간을 결정하였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기체 분자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확산경계를 예측하였다. 화학적 발포제인 물과 함께 물리적 발포 제인 이산화탄소를 각각 1,2,3기압의 포화압력으로 변화시키면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포화시켜 폴리우레탄 포움을 제작하고 제작된 포움의 밀도, 열전도도, 및 기포의 수와 지름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이산화탄소의 포화압력과 초음파 가진이 포움의 기포핵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Study on the Crystallization of NaF using Quartz Crystal Analyzer (수정진동자를 이용한 NaF의 결정화에 관한 연구)

  • Han, Sung-Woong;Son, Se-Young;Song, Seong-Hun;Kim, Jong-Min;Kim, Woo-Sik;Muramatsu, Hiroshi;Chang, Sang Mo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6
    • /
    • pp.659-663
    • /
    • 2002
  • The crystallization of NaF driven by adding ethanol was monitored using quartz crystal analyzer (QCA). Adding ethanol to NaF solution reduced the solubility of NaF and consequently led to nucleation and growth of NaF crystals. To investigate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NaF, a gold electrode of QCA was modified by anchoring with 2-mercaptoethylamine hydrochloride based on a self-assembly method. Frequency of QCA varied with the amount of NaF adsorbed on the self-assembled layer of 2-mercaptoethylamine hydrochloride, and thereby the process of NaF crystallization could be analyzed indirectly by monitoring the frequency change of QCA. To change the extent of supersaruration of NaF, the amount of ethanol added to the solution was varied from 1 to 5 ml. Then, the effect of the extent of the supersaturation on the crystallization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changes of QCA coated with 2-mercaptoethylamine hydrochloride. It was shown that the QCA technique could be well applied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NaF.

Optimal Design considering Magnetic Saturation Characteristic of Current Transformers for the Overcurrent Warning Circuit (과전류 경고 회로용 변류기의 자기포화 특성을 고려한 최적 설계)

  • Kim, Sun-Jong;Park, Eui-Jong;Kim, Yong-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7
    • /
    • pp.781-786
    • /
    • 2015
  • In this paper, we analyzed characteristic of window type current transformer and we performed the optimal design consider to the loss; in order to design the current transformer figured signal of overcurrent warning circuit. The core size of window type current transformer was determined by the secondary coil turns. We analyzed current waveform, which is appeared by the number of coil turns on the core, we made sure the relation of secondary coil turns and load resistance in order to improve the non-sinusoidal wave by the flux saturation of the current transformer core. Additionally, we did improvement of the accuracy and optimal desig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inner diameter and the stack length when the outer diameter of core is sustaining.

Determination of Optimal Traffic Signal Cycle using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최적 교통신호주기 결정)

  • 홍유식;박종국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6 no.3
    • /
    • pp.51-62
    • /
    • 1996
  • Electro sensitive traffic system can not consider passenger car unit, so it causes start up delay time and passenger waiting time. In this paper, it antecedently creates passenger car unit at the bottom intersection using neural network. But, sometimes it can make mistakes due to changes in car weight, car speed, and passing area. Therefore, it consequently reduces the car waiting time and start-up delay time using fuzzy control of feed-back data. Moreover, to prevent spillback, it can adapt control even though upper traffic intersection has a different saturation rate, road length, road slope and road width.

  • PDF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through Rock Mass around Development Openings of Mine (광산 갱도 주변 암반에서의 지하수 유동 평가)

  • Yoon, Yong-Ky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5
    • /
    • pp.370-376
    • /
    • 2011
  • To design the drainage system of a min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groundwater inflow to the mine workings. In this study, continuous steady state flow through rock mass around mine openings developed in Sungok area of Gagok Mine was analyzed. Saturated only model and Saturated/unsaturated model were used as material models of rock mass. Groundwater quantities flowing into Sungok 160 level which is 1216 m long are computed as 1450 $m^3$/day in case of a saturated model and as 1071 $m^3$/day in case of a saturated/unsaturated model. An effect that hydraulic conductivity has on inflow turned out be greater than precipitation and inflow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of hydraulic conductivity. It was found that change of hydraulic conductivity ratio and orientation have an impact on the variation of inflow and water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