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전압

Search Result 1,30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olution for 345kV Overvoltage in KEPCO System using 345kV-154kV Tap Sensitivity (345kV-154kV 탭 감도를 활용한 한전 계통 수도권 345kV 과전압 해소 방안)

  • Bae, Moonsung;Cho, Hwanhee;Lee, Byongjun;Choi, Jang-Hum;Cha, Seu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8-279
    • /
    • 2015
  • 한전 계통의 수도권 부하 밀집과 지중화 선로 증가로 인해 수도권 345kV 계통 과전압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조상설비 투입 후에도 과전압이 문제가 되는 경우, 과전압 해소를 위한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45kV 과전압 해소를 위한 345kV-154kV 변압기 탭조절 방안을 검토하였다. 효율적인 과전압 해소를 위해 탭 감도를 이용하여 탭 조절을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경우 345kV-154kV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올리면 1차측 전압이 떨어지지만 본 논문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를 찾아내고 해당 원인을 분석하였다. 모의를 위한 데이터는 2014년 한전 과전압 모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PDF

Analysis of Switching Surge Over-voltage in AC/DC Hybrid Transmission Lines (AC/DC 병가선로의 개폐서지 과전압 해석)

  • Yoo, Seong-Soo;Shin, Koo-Yong;Moon, Chae-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3
    • /
    • pp.459-466
    • /
    • 2022
  • Switching surges are a common type of phenomenon that occur on any sort of power system network. These are more pronounced on long transmission lines and in high voltage converter stations. At AC/DC hybrid transmission lines, the insulation coordination of such lines is mainly dictated by the peak level of switching surges, the most dangerous of which include three phase line energization and AC/DC converter station. The power system structure consist of AC/DC hybrid transmission lines which is combination of AC 765kV and ±500kV HVDC 1 bipole system for contingency analysis. The power system under study and its components are simulated using EMTDC software package, the effects of the various AC/DC mixing power lines are reviewed. The developed models of EMTDC conversion lines based on combination of AC/DC system are sim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witching surge over-voltage from its results are discussed.

Analysis of the ripple on the voltage modulation method in the overmodulation regions (과변조 영역에서의 전압변조 방식에 대한 리플분석)

  • Hwang, Jung-Pill;Yu, Dong-Ho;HA, Sung-Pill;LEE, Jung-Hyo;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433-4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과변조 영역에서의 전압변조방식에 따른 리플 분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과변조 영역에서의 제어는 제어가능한 속도영역의 확장과 동특성 향상을 위해 이용된다. 전압 지령이 출력 가능한 전압 변조 영역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이를 출력 가능한 전압 범위내로 지령을 수정하게 되는 데, 이 때 출력해야할 전압 지령과 출력 가능한 전압 사이의 오차는 전류제어 수행에 리플로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변조 영역에 대한 분석에 있어 데드타임이나 최소 PWM 출력이 고려된 전압 변조 방식에 대해 고찰한다. 이에 대한 전압 및 전류 리플 분석을 통해 과변조 영역에서의 적절한 전압 변조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 PDF

A Study on Optimal Voltage Algorithm for Distribution System Interconnected with Photovoltaic System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최적전압운용 알고리즘 개발)

  • Son, Joon-Ho;Rho, Dae-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67-70
    • /
    • 2010
  • 국가차원의 신 재생에너지 활성화 방안에 따라 태양광, 풍력발전 등의 대규모 분산전원 단지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배전계통의 전압조정 방법은 배전용 변전소의 부하시 탭 절환기(Under Load Tap Changer, 이하 ULTC)와 배전선로의 선로전압조정장치(Step Voltage Regulator, 이하 SVR)로 수용가에 규정전압(220${\pm}$6%)을 만족시키는 전압을 공급한다. 하지만 대규모의 태양광, 풍력 등의 분산 전원이 배전계통에 도입되는 경우, 전력품질[과전압/저전압]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하율에 따라 변화된 LDC 정정치를 적용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용가 직하 및 말단의 규정전압(220${\pm}$6%) 즉 207V이하의 저전압, 233V이상의 과전압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전력품질을 유지 할 수 있는 태양광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최적전압운용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Overmodulation Performances by Voltage Feedback Compensation (전압 피드백 보상에 의한 과변조 성능 향상)

  • Jeong, Hye-In;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181-18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전압 피드백 보상에 의한 동적 과변조 기법의 성능 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서 인버터는 선형 변조 영역에서 동작할 경우 단순히 전압 이득이 1인 전압 증폭기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과변조 영역에서는 기존의 동적 과변조 기법 적용 시 지령 전압에 대한 인버터 출력 전압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전압 이득이 1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과변조 성능이 저하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전압을 피드백 보상하여 과변조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로 인해 구동 전동기의 출력 토크 성능 및 전류 제어 동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800W PMSM(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의 약자속 제어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한전 765kV 계통의 개폐과전압에 대하여

  • 김정부;이동일
    • 전기의세계
    • /
    • v.41 no.3
    • /
    • pp.30-37
    • /
    • 1992
  • 개폐 과전압에 대한 기기 절연강도는 포화특성이 있어서 500kV 계통 이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전과전압에 대한 소요 절연강도보다는 더 높은 강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765kV 송전선로 Model을 가정 한후 과도전압분석기(TNA)를 이용하여, 개폐 과전압의 크기와 그 분포와 확률 통계학적으로 연구한 결과와 이의 절연설계시 경제적인 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 PDF

전기설비의 검사, 점검 및 시험⑦

  • Gwon, Sun-Gu;Kim, Gi-Uk;Lee, Gyu-Bok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56 no.12
    • /
    • pp.37-44
    • /
    • 2003
  • 고압계통의 사고나 발전설비의 자동전압조정기의고장 등에 의하여 전압이 기준치보다 상승, 강하하였을 때 그 변동치를 검출하여 이상전압에서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과전압 및 부족전압계 전기가 비상전원장치의 시동신호용으로서 부족전압계전기로 사용되고 있다.

  • PDF

Overvoltage Analysis on GIL - Overhead Transmission Line by Lightning Surge Conditions (GIL-가공송전선로 연계시 뇌써지에 의한 과전압 검토)

  • Park, Hung-Sok;Jang, Tae-In;Kang, Ji-Won;Yoon, Hyu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43-144
    • /
    • 2008
  • 최근 국내에서 가스절연송전선(GIL: Gas Insulated Transmission Line)의 실계통 도입을 인하여 345kV급 GIL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 및 검토가 수행되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가공송전선로 사이의 일부구간을 지중화 하여 GIL로 대치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써지에 의한 과전압의 검토이다. 가공선로의 일부구간을 GIL로 대치하는 데 있어서, 변전소 단이 원거리일 경우에는 변전소 내부의 차단기나 단로기 등 개폐 써지에 의한 과전압의 영향은 감쇄효과로 인하여 그다지 크지 않으며, 뇌써지에 의한 과전압이 주요 영향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뇌써지에 의한 GIL-가공선로 구간의 과전압을 검토하기 위하여 GIL과 인접한 가공선로 구간에 낙뢰가 유입된 경우를 가정하여 GIL에 발생되는 과전압 및 보호협조 방안을 분석한다.

  • PDF

Study on over volt circuit interrupter of low volt (저전압의 과전압 회로차단기에 관한 연구)

  • Moon, Sik;Shon, Hwa-Young;Hong, Sou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699-700
    • /
    • 2008
  • 전기에너지는 가정 및 일반 사업장에서 필수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다, 또한 사소한 전기사고로 인해 발생될 안전사고로 인명이나 전기화재 등을 예방하기 위해 누전이나 과전류 보호에 많은 연구결과로 인해 사고방지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연구는 전기사용안전을 위하여 저압의 누전이나 과전류에 대해서 요함을 인식한 것과 같이 저전압선로에서의 과전압의 발생원인과 과전압의 사고 유형과 과전압 보호장치 구성과 중요함을 알리고 저압회로 차단기에 삽입하여 좀 더 안정된 안전대책과 제품의 개발이나 인증을 득할 기기들의 방안을 제시해본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SOFC using impedance spectroscopy and current voltage behavior analysis

  • An, Jin-Su;Park, Yeong-Min;Bae, Hong-Yeol;Song,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2-70.2
    • /
    • 2012
  •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전기적 성능은 직류를 인가하면서 평형 전위로 부터 과전압(Overpotential) 만큼 멀어지는 셀의 전극 전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직류 상태에서는 측정 시스템에 대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매우 제한 적이다. 따라서 활성화 과전압 (Activation overpotential), 농도 과전압(Concentration overpotential), 저항 과전압 (Ohmic overpotential)등의 전류에 따른 변화가 전기화학의 법칙을 충실히 따른다는 가정하에 측정결과를 수식에 맞추어 역으로 추정하는 회귀 분석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성능의 셀이 될 수록 활성화 분극이나 농도 분극이 전류-전압 선상에서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상태에서의 회귀 분석은 해는 무한히 많으나 하나의 해 만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연료전지에 직류와 교류를 동시에 인가하면서 과전압과 임피던스를 상호 비교 분석하면서 보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직류 인가 상태에서 각 과전압을 간단한 수식을 이용한 회귀 분석으로 추정하고, 이를 다시 임피던스 측정 시 교류 주파수에 따라 나뉜 저항 요소들과 다시 비교하면서 회귀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시된 직류 고전압 모델을 검증하는데 임피던스의 이용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