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산화물

검색결과 718건 처리시간 0.025초

뽕나무(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잎의 수용성 추출물이 흰쥐 각 조직중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Leav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Tissues of Rats)

  • 차재영;김현정;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1-536
    • /
    • 2000
  • 뽕나무 (Morus alba) 및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잎으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물질을 0.5% 콜레스테롤 투여 식이에 1%(w/w) 수준으로 첨가하여 각 조직에서의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TBARS 측정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흰쥐의 체중 및 식이 섭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장 및 뇌 조직 중량은 뽕잎 추출물군에서 증가하였다. 신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뽕잎 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뇌 및 심장의 지질 과산화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뇌 및 심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교해서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장 및 비장의 경우에는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조직의 microsomes 분획으 지질 과산화물은 심장과 비장에서 뽕잎 및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감소하였으나, 다른 조직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각 조직의 microsomes 분획을 얻어서 Fe2+/ascorbate로 지질 과산화물을 유도하기 위하여 37$^{\circ}C$에서 한시간 반응을 시킨 결과, 뽕잎 및 꾸지뽕잎 추출물군에서 약 절반 정도 감소하였으며, 상대적 증가량은 뇌조직 microsomes에서 현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신장조직 및 간장 microsome막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뽕잎 및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뇌 및 심장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에 의해 증가됨으로써 봉잎 추출물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에 과산화물 첨가로 물성에 미치는 영향 (NEW TECHNOLOGY - Effects of Peroxide on Physical Properties on Bioplastic Films)

  • 박형우
    • 월간포장계
    • /
    • 통권354호
    • /
    • pp.91-97
    • /
    • 2022
  • 바이오플라스틱의 니즈는 계속 증가 중이며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이 실제 현장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물성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플라스틱에 과산화물 첨가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산한 복합화 필름의 신장률, morphology, TGA 변화를 조사하였다. 신장률과 TGA는 과산화물 상용화제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 첨가량에 따라서 압출성형 공정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과산화물은 적정량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화 필름의 morphology를 분석한 결과 수지별로 결정화 속도가 달라 이형분산배열을 관찰할 수 있었고, 표면물성은 4%의 과산화물 첨가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합화 생분해 필름 제조 방법으로 과산화물 상용화 제를 4% 첨가한 시험구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유기 과산화물에 의한 메탄올 폭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ethanol explosion by metal hydroperoxid)

  • 원유존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9-415
    • /
    • 2005
  • 1991년 6월 신규 계면활성제 [${\alpha}-SF$]의 제조 공정의 하나인 메탄올 정류탑에 있어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폭발 형태는 ${\ulcorner}$폭굉${\lrcorner}$ 이였다 라고 판단되어지고 정류탑은 대파되었으며 탑벽 파편은 대강 900m 범위로 비산되었고 사망자 2명, 부상자 13명의 피해를 입었다. 원인물질은 계면활성제의 표백으로 사용하는 메탄올과 과산화수소에 의해 미량 생성한 유기과산화물(Metal Hydroperoxide)에서 정류탑의 운전정지과정 중에 공급액의 $0.1\%$부터 수십$\%$까지 국부적으로 농축되어져 열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 되어진다.

  • PDF

진공포장이 배아미와 현미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김재연;정종훈;이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91-191
    • /
    • 2003
  • 쌀에 함유된 지방질은 가공 처리 중 쉽게 가수분해나 산화를 일으켜 이취 또는 불쾌한 맛을 생성하여 밥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산화를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쌀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배아미와 현미를 진공포장한 후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14주 동안 2주마다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분석하여 산패도를 측정하였다. 비포장 현미와 배아미의 과산화물가는 처음 4주동안은 모두 6∼9 meq/kg정도로 차이가 없었지만, 현미의 경우에는 6주후에는 배아미보다 산패가 빨리 진행되어 휘발성 물질의 생성에 따라 이취미가 나기 시작하였다. 진공포장한 현미와 배아미는 지방질 함량의 차이 때문에 초기에는 과산화물가 0.3 meq/kg정도의 차이가 있었고, 저장과정 중에는 과산화물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산가(유리지방산)의 양도 비포장한 배아미와 현미의 경우에는 저장기간중 0.5 mg/g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진공포장을 한 경우에는 8주 동안에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10주후 부터는 0.6 mg/g정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실험으로 배아미와 현미를 진공포장할 경우 비포장하였을 때보다 산패가 억제되어 10주 정도의 저장기간이 연장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과산화물 상용화제 첨가가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Peroxide Compatibiliz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iodegradable Plastic Film)

  • 한정구;박승준;정성택;이범수;김판채;국영례;박형우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9-167
    • /
    • 2021
  • 바이오플라스틱의 니즈는 계속 증가중이며 생분해 바이오플라스틱이 실제 현장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물성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플라스틱에 과산화물 첨가제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산한 복합화 필름의 신장율, morphology, TGA 변화를 조사하였다. 신장율과 TGA는 과산화물 상용화제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용화제 첨가량에 따라서 압출성형공정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과산화물은 적정량을 첨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화 필름의 morphology를 분석한 결과 수지별로 결정화 속도가 달라이형분산배열을 관찰할 수 있었고, 표면물성은 4%의 과산화물 첨가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합화 생분해 필름 제조 방법으로 과산화물 상용화제를 4% 첨가한 시험구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질의 산화 및 갈변에 미치는 각종 식품성분의 영향 (The Effect of Food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 박정희;최병대;김태수;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52
    • /
    • 1989
  • 당이나 단백질등의 식품성분이 지질의 산화와 갈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종 식품성분에 조기유, 대두유 및 난황유를 각각 9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계의 실험구를 조성하고 건계에서의 실험결과 지질산화가 촉진되었던 starch구와 억제되었던 casein구에 각각 물을 20% 첨가하여 습계의 실험구를 조성하여 $40{\pm}1^{\circ}C$보존중의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조기유 혼합구의 경우는 대두유와 난황유 혼합구에 비해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및 갈변도가 월등히 높았다. 식품성분별로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cellulose, albumin 및 casein 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전 구분 공히 과산화물가가 낮았으며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glucose, sucrose 및 starch 구에서는 높게 나타났고 albumin과 casein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난황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가 대두유 혼합구에서보다 낮았으며 특히 albumn과 casein구는 보존9주까지 과산화물가가 측정되지 않았다. 카아보닐가와 갈변도는 대두유와 동일한 경향이었다. 습계에서의 지질산화와 갈변은 각 지질을 starch에 혼합시킨 경우 조기유 혼합구에서는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가 건계에서 보다 낮았으며 난황유 및 대두유 혼합구에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건계에서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각 지질을 casein에 혼합시킨 경우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는 각 지질 공히 건계에서보다 낮았으나 갈변도는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질의 산화와 갈변도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해 본 결과 갈변반응은 건계에서보다 습계에서 잘 일어나며 지질의 산화정도가 낮은 식품계에서 생성된 갈변반응물질은 지질의 산화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나 지질의 산화가 격심한 식품계에서는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약과(藥菓)의 산패(酸敗)에 미치는 튀김기름 및 저장조건의 영향 (Effects of Frying Oils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 Rancidity of Yackwa)

  • 민병애;이진화;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120
    • /
    • 1985
  • 한국 고유의 튀김식품으로서 유지(油脂)함량이 약 20%인 약과(藥菓)를 시료로, 튀김기름(기름의 종류와 가열처리여부)과 저장조건(온도, 습도, 형광등 조사여부)을 각각 달리하여 20주동안 저장하면서 산값, 과산화물값,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circ}C$저장 실험에서 산값, 과산화물값은 완만하게 증가하였고 13주후에도 과산화물값은 20 meq/kg에 미달하였다. $40^{\circ}C$에서는 산값과 과산화물값은 다소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산패(酸敗)진행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약과의 텍스쳐 변화를 보면 저장습도가 낮은 곳(RH25%)에서는 탈습(脫濕)되어 매우 딱딱한 느낌을 주었고 저장습도가 높은 곳(RH80%)에서는 흡습(吸濕)되어 다소 눅눅해졌다. 튀김기름의 종류에 따른 영향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옥수수기름, 유채유, 콩기름군이 각각 다른 순으로 높은 산값과 과산화물값을 나타냈다. 저장후기에는 유채유-형광등 조사군(照射群)이 모든 실험군 중애서 가장 높은 산값과 과산화물값을 나타냈다. 형광등 조사군은 어두운 곳 저장군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냈고 신선한군에 비해 가열(加熱)처리군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검사(官能檢査) 점수를 보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패취(酸敗臭)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튀김기름의 종류, 저장조건, 가열처리에 따른 산패취의 차이는 유의적(有意的)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값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에는 비록 낮기는 하지만 저장 전기간에 걸쳐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볼 수 있었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상관계수는 점차 커졌다. 과산화물값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에는 저장 6주까지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저장 9주에는 부(負)의 관계를 나타냈다.

  • PDF

EPDM/POSS(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복합재료의 물성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EPDM/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Composites)

  • 박현호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472-477
    • /
    • 2021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POSS) 중 케이지 형태 8개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을 포함하는 POSS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EPDM) 과산화물 가교에서의 가교 거동,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열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고무 100 phr당 0~12 phr의 POSS를 함량 별로 혼합하고 과산화물 가교제를 첨가하여 EPDM/POSS 복합재료를 만들었다. 가교 특성 결과 POSS의 아크릴레이트 그룹이 과산화물에 의해 활성화 되었고, 과산화물 가교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PDM/POSS 복합재료에서 POSS의 분산안정성은 떨어졌지만, 복합재료의 파단 강도, 신장률 및 열 안정성은 향상되었다.

양식넙치의 Ceroid 증 발생에 대하여 (The Development Ceroidosis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창훈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3-161
    • /
    • 1993
  • 1. 1991년 4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넙치의 Ceroid증 발생실험을 행하였다. 2. Ceroid증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과산화물가가 90.4mEq/kg, 36.9mEq/kg, 15.5mEq/kg, 15.2mEq/kg인 산화사료를 투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성장은 과산화물가가 90.4mEq/kg인 산화사료를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3개월째 부터, 과산화물가가 36.9mEq/kg인 산화사료를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4개월째 부터 과산화 물가가 15.5mEq/kg, 15.2mEq/kg 및 대조군보다 둔화하였다. 3.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대조군은 정상적인 조직상을 나타냈으며 과산화물가가 높은 실험군일수록 간장, 비장과 신장조직에 Ceroid 침착량 및 조직변화가 심하였고 낮은 실험군일수록 변화가 적었으나 근육과 장조직에서는 과산화물가의 함량에 관계없이 별다른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Linoleic acid과산화물의 DNA 손상작용 (The DNA Damage by Linoleic Acid Hydroperoxide)

  • 김선봉;강진훈;변한석;김인수;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9-572
    • /
    • 1987
  • 지질산화생성물의 DNA 손상작용기구를 밝힐 목적으로 자동산화시킨 linoleic acid로부터 과산화물을 분리하고 DNA와 $37^{\circ}C$에서 반응시켜 경시적인 관산화물이 DNA 원상작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산화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NA가크게 송상되었으며, 반응 2일째에는 $422{\mu}g$ 이상의 농도에서는 DNA가 더욱 크게 손상을 받아 gel plate 상에서는 DNA band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 이러한 DNA 손상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반응 1일에 대조구가 $30\%$의 감소율을 나타낸 반면, $844{\mu}g$의 농도에서는 2배량인 $60\%$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과산화물과 DNA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를 첨가한 결과, 과산화물의 DNA 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