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배란 유도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ffect of Repeated Induction of Superovulation on Ovulation Rates and In Vitro Development of Embryos in Rabbit (토끼에서 반복적인 과배란유도가 배란율과 난자의 체외 발육율에 미치는 영향)

  • 진동일;임경순;이홍미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2 no.3
    • /
    • pp.253-258
    • /
    • 1997
  • 토끼에서는 수정란 이식과 같은 기본적인 번식공학적 방법의 효율성이 아직 생쥐와 같은 실험동물에 비해 떨어지고 있어 생물공학적인 기술을 응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유전자 이식에 의한 형질전환 토끼의 생산과 같은 생물공학적인 기술을 실용화하는데 효율이 높은 수정란이식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끼에서 수정란 이식 기술의 첫 단계인 과배란 유도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하기 위해 반복적인 과배란 유도가 배란율 및 수정란의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FSH와 HCG를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고 2.5 개월의 반복처리간격으로 3번의 반복적인 과배란 처리를 한 후 반복처리에 따른 배란율과 배란된 난자의 형태학적 상태, 배양에 의한 발생 능력 상태 등을 감소하였으며 배란수의 변이도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첫번째, 32.6(+-)2.5; 두번째 28.7(+-)3.7; 세번째 20.99(+-)3.8). 제 2극체의 돌출, 전핵의 형성, cummulus cell의 존재등에 의한 회수된 난자의 형태학적 관찰에 의한 방법으로 난자를 분류한 결과 과배란의 반복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난자가 회수되어 배란이 광범위한 시간대에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과배란의 반복적인 유도에 의해 난소의 혈포수는 증가하였으나 채란된 난자의 채외배양에 의한 발육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과배란의 반복적인 유도는 공란토의 난소반응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난자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PDF

Effects of Superovulation Induction on Embryo Quantity and Quality in Rat (과배란 방법이 Rat 수정란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

  • 진동일;양무희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2 no.2
    • /
    • pp.127-132
    • /
    • 1997
  • 본 연구는 rat에서 PMSG도는 FSH 처리에 의한 과배란 유도가 배란율과 수정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호르몬 처리하고 교미시킨 후 4일령에 난관과 자궁을 세척하여 정상 8-세포기 난자와 비정상 난자를 조사하였고 각 처리에서 채란된 난자 중에 정상난자를 골라 체외 배양하여 발육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미성숙 rat에서는 평균19.1개의 수정란이 채취되었으며 성숙rat에서는 14.2개가 채취되었고 미성숙 rat에서는 성숙 rat에 비해 더 많은 비율의 비정상적인 난자가 회수되었다. FSH와 LH-RH에 의한 방법이 PMSG와 HCG에 의한 방법보다 유의성 있게 많은 난자를 배란시켰으며, 비정상란의 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호르몬 처리에 의한 두 가지 방법은 자연배란에 의한 방법에 비해 훨씬 높은 비정상난자의 배란을 유도하였다(FSH, 20.1%;PMSG, 41.2%;자연배란 13.4%). 또한 FSH처리에 의해 회수된 난자보다 체외 발육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rat에서 PMSG와 FSH를 이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할 수 있으나 배란된 난자의 비정상율은 자연배란에 비해 훨씬 높았고, 과배란 유도시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체외 배양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 과배란 처리에 의한 배란상태와 혈액 성분과의 비교분석

  • 이연근;이현기;박진기;이풍연;이주영;정학재;장원경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32-232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의 발정동기화에 의한 과배란 유기시 돼지 난소의 배란상태(황체수)와 혈액내 혈액성분(WBC, RBC Hb, HCT, MCV, MCH, MCHC, Platelet)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다배란에 따른 표지(Marker) 혈액성분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돼지 난소의 배란상태를 구명하기 위하여 30두의 성축 암컷을 이용하였으며, 발정 동기화는 PG 600(PMSG 400 IU, HCG 200IU)을 주사한 후 10일 후에 Regumate porcine을 6일간 급여한 후에 PMSG 주사하고 2일 후에 hCG주사한 다음날 자연종부를 실시하여 수정에 이르게 하였다. (중략)

  • PDF

마우스 초기 발생에 미치는 미네랄 오일의 효과

  • 이승태;김태민;조미영;김은정;임정묵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54-5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초기 발생 시스템의 확립과 안정화를 위해 소적배양에 이용되는 미네랄 오일의 종류 및 세정방법이 마우스 초기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 해 5주-6주령의 ICR계 마우스를 사용했으며, 과배란 유도를 위하여 5IU PMSG 및 5IU hCG 를 각각 복강에 투여하였다. 과배란을 유도한 암컷 마우스는 수컷과 교배를 시켰으며, 교배 18시간 후 난관으로부터 1-세포기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수정란은 미네랄 오일이 도포된 CZB 배양액의 소적에서 37 ℃, 5% CO₂ in air 기상하에 138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중략)

  • PDF

Induced Ovulation by Hormone Treatments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호르몬 처리에 의한 붉바리 Epinephelus akaara의 배란유도)

  • Park, Jong-Youn;Cho, Jae-Kwon;Park, Chung-Kug;Han, Kyeong-Ho;Hong, Chang-Gi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4 no.2
    • /
    • pp.63-6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vulation induction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varies when treated with different hormonal substances such as ovaprim, pimozide, LHRHa, and HCG. As for LHRHa, we injected it at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50 ㎍kg-1, 100 ㎍kg-1, 150 ㎍kg-1, and 200 ㎍kg-1. All hormonal substances including LHRHa were injected into the back muscles. Buoyant, embryonic survival, fertilization, and hatching rate were the highest in LHRHa and LHRHa + pimozide group. When LHRHa was inject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buoyancy and fertilization rate were the highest in 100 ㎍kg-1 group. Embryonic survival and hatching rate were the highest in 150 ㎍kg-1.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d that LHRHa at the concentration of 100 ㎍kg-1 is the most efficient for the ovulation induction in this fish species.

In vitro Effects of TBT, TPhT and Aroclor 1254 on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O1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in vitro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에 미치는 TBT, TPhT 및 Aroclor 1254의 영향)

  • BAEK Hea-Ja;JUNG Jee-Hyun;JEON Joong-Kyu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4 no.6
    • /
    • pp.584-587
    • /
    • 2001
  • The effects of tributyltin (TBT), triphenyltin (TPhT) and Aroclor 1254 on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and ovula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re investigated in in vitro bioassay. TBT, TPhT and Aroclor 1254 showed the inhibition effects on GVBD and ovulation in response to HCG. The oocyte response appeared to be more sensitive to TBT than Aroclor 1254. TBT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on GVBD at concentrations of 0.1 and 1 ppm. However, no significant inhibition was obseued in concentrations tested ($0.0001\~1\;ppm$). Significant inhibition of ovulation in response to HCG occurred at TBT (0.01, 0.1, 1 ppm), TPhT (0.01, 0.1, 1 ppm) and Aroclor 1254 (0.01, 1 ppm, except 0,1 ppm), compared to HCG control, The lowest ovulation rate was measured at 1 ppm TBT, These data suggest that TBT (or TPhT) could possibly interfere the actions of progestogens to induce GVBD and ovulation in in vitro bioassay system.

  • PDF

Pattern of Ovulation in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배란양상)

  • Kim, Hye-Min;Kim, Jae-Ryoung;Choi, Eun-Joo;Park, Eun-Joo;Hong, Seo-Yu;Lee, Jin-Yong;Park, Won-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5 no.3
    • /
    • pp.231-238
    • /
    • 2008
  • Objective: Significant portion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ovulate intermittently and even can achieve pregnancy. The clinical features and reproductive potentials of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have never been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ovarian follicular growth and ovulatory potential. Methods: Complete medical records of fifteen women with idiopathic premature ovarian failur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ubjects with more than 6 ultrasonographic scans and 36 months of follow-up period were included. Once the ovarian follicle was found by ultrasonography, the follicular growth was serially monitored. The result of ovulation induction of 6 cycles in 4 patients were also evaluated. Rate of positive ovarian follicle by ultrasound, rate of natural follicular growth and response of ovulation induction were assessed. Results: Among the 15 patients, 6 women (40%) had ovarian follicle in random ultrasonography. But the chance of positive follicle per ultrasonography scan was 7% (8 out of 115 scans). One out of 6 women eventually ovulated during the follow-up scan. In remaining 5 subjects, size of follicles remained unchanged. None of 6 ovulation induction cycles resulted successful ovulation. Conclusion: Incidence of positive ovarian follicle in Korean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is lower than that of Western counterpart. This result, however, could not be directly compared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study design. The ovulation rate by medical ovulation induction in this group is 0%, which is worse than the reported success rate of Western studies.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예측과 예방)

  • Kim, Hye-Ok;Kang, In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4
    • /
    • pp.293-305
    • /
    • 2010
  •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is a life-threatening iatrogenic complication of ovulation induction. Before ovarian stimulation, identification of patients vulnerable to developing OHSS is necessary. And ovarian stimulation should be started with low doses of gonadotropin or GnRH antagonist protocol. During monitoring of ovarian stimulation with risk of OHSS, coasting, low doses hCG and GnRH agonist for triggering ovulation are considered. If severe OHSS is predicted, cycle cancellation and cryopreservation of all embryos should be considered to reduce late-onset OHSS and morbidity. And metformin and dopamine agonist for reducing OHSS are being proposed as a prophylactic treatment for OHSS.

Control Mechanisms of Ovulation by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에 의한 배란 조절에 관한 연구)

  • Lee, Yu-Il;Kim, Hyoung-Choon;Kim, Mi-Young;Chun, Sang-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2
    • /
    • pp.101-111
    • /
    • 2005
  • 배 경: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은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된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난소에도 존재하여 배양된 과립막 세포에서 스테로이드합성과 cyclic AMP 형성을 촉진함이 보고되었다. 목 적: 흰쥐 난소를 실험 모델로 사용하여 배란시 황체화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에 의해 유도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양상과 신호 전달경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미성숙 흰쥐의 배란전 난포를 체외 배양하면서 LH로 처리하고 PACAP 및 PACAP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을 보기 위해서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ISH)을, 그리고 단백질 수준의 PACAP 검색을 위해서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 과: LH 처리 후 Northern blot상의 PACAP 유전자 발현은 6~9시간에 일시적으로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ISH로 보아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ELISA 분석 상 PACAP 단백질도 LH처리 후 6~12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PACAP 수용체 mRNA 역시 3~9시간에 최고치로 과립막 세포에서 발현되었다. Adenylate cyclase (AC) 억제제인 MDL12330A 처리시 LH로 발현된 PACAP mRNA가 감소되며, AC의 활성제인 forskolin 처리에는 LH시와 유사한 PACAP mRNA의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rotein kinase C (PKC)의 억제제인 chelerythrine과 2-0-tetradecanolphorbol-13-acetate (TPA) 처리로는 PACAP 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5-lipoxygenase의 억제제인 MK886이나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로 처리한 결과 LH로 유도된 PACAP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나,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은 별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MEK와 p38의 억제제인 PD98059와 SB203580도 LH로 촉진 된 PACAP의 유전자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결 론 : 배란전 난포에서 PACAP과 PACAP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은 모두 LH의 폭발적 분비에 의해 유도되어 일시적으로 과립막 세포에서 나타나 배란을 위한 국소적인 조절 작용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LH로 촉진된 PACAP 유전자 발현을 위한 신호전달은 cAMP-PKA, lipoxygenase 및 MAP kinase 경로를 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on the Timing of Ovulation, Fertilizable Life of Eggs and Cleavage of Embryos in Rabbit (성선자극 호르몬 투여가 토끼의 배란시간, 난자의 수정능력 보유시간과 난할 속도에 미치는 영향)

  • 김병기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8 no.5
    • /
    • pp.576-581
    • /
    • 199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nadotropin administration on the timing of ovula-tion, fertlizable life of eggs and cleavage of embryos in rabbit. Mature angora rabbits were primed for superovulation with PMSG 100IU. Eighty hours later, the rabbit were induced to ovulate with HCG 100IU. Ovulation had started at 10hours after HCG injection and finished at about 16hours. Fertilizable life of eggs were lasted for 8hours after ovulation. The most frequent developmental stage observed from the embryos recovered at 24, 48, 72, 96, and 120 hours after HCG injection was 2-ceIL, 16-cell, morula, blastocyst and blastocyst,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