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밀화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한전의 국산 배전자동화 시스템

  • 고인석;서정윤
    • 전기의세계
    • /
    • v.46 no.9
    • /
    • pp.55-63
    • /
    • 1997
  • 도시화 과밀화에 따른 수요의 고밀도화가 도시기능의 고도화 및 다양화에 수반하여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의 필요성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도시기능의 고도화가 진전되면 도심지에 있어서 정전사고라든가 설비재해에 의한 사고시 도시기능이 마비되어 그 영향은 큰 사회문제로 발전하기 때문에 정전시간의 단축과 정전구간의 최소화, 사고파급방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도시의 과밀화와 수용의 고밀도화는 그 어느것이나 사고파급방지, 정전시간의 단축을 위한 대책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다. 더욱이 근년의 POWER, ELECTRONICS기술의 급속한 진보에 의해 가전제품, 각종 OA기기로부터 산업용 기기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응용기기의 보급이 확산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의 일부는 특성상 계통사고의 인지에서 재폐로까지의 극히 짧은 시간동안의 순시 전압강하에서도 그 기능이 정지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전력공급은 고도 정보화 사회의 진전, 도시기능의 고도화를 지탱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반으로 앞으로도 그 중요성은 더욱 고조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전력에서는 이러한 고객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NEEDS의 다양화에 적극 대응하고 기업경영에 효율성을 제고하는 대책으로 국산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여 실증시험을 거쳐 실계통 운전에 들어가게 되었다.

  • PDF

모울드 변압기

  • 김준현
    • 전기의세계
    • /
    • v.32 no.1
    • /
    • pp.19-26
    • /
    • 1983
  • 최근 산업의 고도화, 도시 기능의 복잡 다양화, 도시의 과밀화 추세에 따른 고층화에 대응하여, 수배건설비에도 방재.고안전성.무공해성.고신뢰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수배전 기기의 중심인 변압기도 예외일 수는 없으며, 자원.에너지의 절약면에서 소형경량, 저전력손실 및 보수.점검이 좀더 간단한 변압기의 연구개발이 더욱 요망되는 현시점에서 여기에서는 종래 변압기의 여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코일을 에폭시 수지로 모울드하여 사용되고 있는 고체절연방식의 모울드변압기에 대하여 기술코자 한다.

  • PDF

전력기기 IT화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

  • 박경엽;서정민;김정배;장용무
    • 전기의세계
    • /
    • v.53 no.4
    • /
    • pp.37-43
    • /
    • 2004
  • 현대 도시의 과밀화로 인한 전력소비 급증과 디지털화로 전력공급의 신뢰도 향상과 도시미관 개선 및 친환경적인 전력설비 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송변전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 중에 하나인 초고압 GIS(gas insulated substation: 가스절연 변전소)는 국내에서 1970년대부터 꾸준한 투자로 인하여 국내외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세계시장규모의 증가폭에 신속한 대처를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 및 기술개발과 투자를 하여야 한다.(중략)

  • PDF

A Study on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연구)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8-518
    • /
    • 2022
  • 오늘날 우리사회는 환경변화와 기후 위기 가속화로 인하여 삶의 질 악화는 물론 인류 생존까지도 걱정해야 시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75%가 도시에서 발생되고 있다(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 2019), 이에 국제 사회는 도시 중심의 녹색 전환 정책 추진 중인데,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환경성과 창출 방안을 마련, 도시의 지속가능성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탄소중립 선도 도시 사례와 도시재생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도심 내 과밀화 문제와 탄소배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당초 '도시재생뉴딜' 사업은 도시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도시 노후화와 탄소배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린도시',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법·제도의 제·개정 및 이를 바라보는 이해관계자의 시각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크고 작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첫 번째 문제점은 정책지원의 30% 이상이 일반근린형에 집중됨에 따라 주거형 도시재생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임기가 제한된 지자체장이 가시적인 성과를 위하여 도시 내 인프라 확충에 집중한 결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두 번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계획수립과정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환경성 평가에 대한 고려 부족으로 기후 위기 대응에 미흡한 실정이다. 노후 도시의 주거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도시 탄소 감축을 위하여 건물 - 마을 - 도시 등 여러 공간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세 번째, 치·이수 위주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탄소 중립 대책이 미흡하다. 대응 방안으로는 자원의 관점에서 물 소비 감소 촉진 및 재생에너지 증가 전략이 필요하다.

  • PDF

지하공간의 위험성평가 시스템에 관한 조사 연구

  • 박종근;노삼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15-120
    • /
    • 2002
  • 최근 도시의 과밀화, 지가 상승, 평면적 토지 공간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도시기능의 일부를 지하공간으로 흡수하고자 하는 노력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국내$\cdot$외에서 지하철 공사현장 가스폭발, 지하 공동구 화재, 지하가 화재$\cdot$폭발 등 지하공간에서의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재산의 손실 뿐 아니라 전력, 통신망 마비로 도시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인명 피해의 대형화를 동반함으로서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지하공간에 있어서 사고는 지하가, 지하통로 및 건축물 지하 등이 30%를 차지하고, 사고 형태는 화재 폭발이 36%를 차지하고 있다.(중략)

  • PDF

장려상 서무영, 배충열, 이대범_ 강원대-SAC조와 Cable 현수 구조를 이용한 초고층 건물

  • Korean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 건축구조
    • /
    • v.12 no.4
    • /
    • pp.80-81
    • /
    • 2005
  • 고층화의 최대 장점은 과밀한 수평 밀집 환경을 건축물의 수직적 확장으로 과밀 현상에서 다층 보행자 시스템으로 대지의 공지를 활용하는데 있다. 이러한 초고층 건물은 특성상 건물의 강도, 강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비교적 건물 내의 대공간 확보와 평면의 자유를 얻기 힘들었다. 그래서,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그 대안으로 SAC조와 현수교 구조(Cable)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Required Ventilation Rate in Train (열차 내에서의 필요 환기량 추정)

  • 김신도;유성옥;봉춘근;이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76-377
    • /
    • 1999
  • 전세계의 많은 대도시들은 인구의 과밀화, 차량의 증가로 인한 교통혼잡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교통대란'이라고 할만큼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1974년 1호선 9개역을 시발로 전국적으로 약 1,000km에 달하는 지하전철구간이 운행 건설 중이다. 지하철에 의한 수송 분담율도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 서울에서의 경우 34%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2000년 이후에는 45%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중략)

  • PDF

Surveys of the Concentration of VOCs at Measurement Sites in Subway (지하철 역사내 측정위치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조사)

  • 조장제;장정욱;최우건;박덕신;김태오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33-534
    • /
    • 2003
  •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과밀화에 인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지하철과 부대시설은 일반시민들의 생활형태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에 따른 실내환경 문제로 야기 시키고 있다. 그리고 지하 공간의 증가와 함께 일반 시민들의 지하 공간에서의 생활시간이 길어지고 있으며 지하 공간 내의 공기질 악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미세먼지와 더불어 지하공간의 공기를 악화시키는 원인중 하나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 pounds)은 인체에의 유해성 측면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Propriety of Minimum-sized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소규모 유치원.초등학교의 성립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대도시 고밀도지역을 중심으로 -)

  • Yoon, Chun-K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5 no.1
    • /
    • pp.18-32
    • /
    • 1998
  •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infants of the kindergarten and the lower level children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growth show the homogeneous and successive peculiarity in the aspects of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language learning and social develop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ulding expression show similarity in developmental stage. So, It is proper that the mini-school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ould be built as the branch unit of neighbourhood.

  • PDF

3D-GIS Modeling for Path Finding in Indoor Spaces (내부공간에서의 경로탐색을 위한 3D-GIS 모델링)

  • Ryu Keun-Won;Jun Chul-Min;Park In-Hye;Kim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2
    • /
    • 2006
  • 도시의 과밀화로 인해 건물들은 고층화, 대형화되고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건물 이용자들에게 2차원의 정보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GIS 모델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응용되어 온 3차원 모델은 주로 건물 외부형태의 시각화를 위한 것으로 3차원 공간분석에 응용되기에는 한계가 존재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을 공간분석에 적용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경로탐색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물 내부의 각 실들과 연결통로 및 기타 시설들을 각각 오브젝트로 분리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2차원 GIS데이터와 3차원 모델에 각각 벡터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고 DB를 이용하여 두 모델을 연동함으로써 3차원 모델에서 네트워크기반의 경로분석과 탐지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