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민증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Electric Pulp Test (EPT) as a Tool for Measurement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상아질 지각과민 측정 도구로서의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평가)

  • Kim, You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2
    • /
    • pp.371-378
    • /
    • 2002
  • In this study, 40 hypersensitive teeth of 19 patients were investigated. The procedures performed were as follows: Before desensitization, EPT at occlusal third of buccal surface was done for the evaluation of pulp vitality and the EPT value was recorded for the reference value. And mechanical and thermal test was executed for the test of hypersensitivity. If the tooth responded to the above tests, we did EPT at the exposed surface, using toothpaste as a electrolite medium and recorded the EPT value at patient's response. After the tests had been done, desensitization procedures with Gluma(R) Desensitizer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desensitization, the same tests except EPT at occlusal third were repeated. All the 40 teeth responded positive before desensitization and negative after desensitization procedures. The EPT value at occlusal third ranged from 31 to 65 (48.9${\pm}$7.2). Before desensitization 34 teeth responded at EPT value of 2 and the remaining 6 teeth was in the range of 17 to 25. After desensitization all 40 teeth responded from 12 to 27 (19.6${\pm}$3.5). The 6 teeth responded at greater number than 2 before desensitization was in the range of 18 to 23.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When a tooth with dentinal hypersensitivity responds to mechanical and thermal stimulation, the tooth shows very low resistance to electricity at the exposed surface while when a tooth is desensitized and doesn't show respond to mechanical and thermal stimuli, the tooth shows increased level of resistance to electric stimulation at the exposed surface. EPT can be used for the diagnosis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Furthermore EPT will be useful to evaluate the outcome of desensitization procedures. However, EPT is not a valid tool for measuring dentinal hypersensitivity.

A Clinical 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Pulsed Nd:YAG Laser on Dentinal Hypersensitivity (상아질지각과민증에 대한 펄스형 Nd: YAG 레이저의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 최순정;신금백;김문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1
    • /
    • pp.11-20
    • /
    • 1998
  • 저자는 치과용 레이저를 이용한 상아질지각과민증 치료효과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고자 상아질지각과민증환자 24명을 대상으로 각 환자마다 상아질 지각과민 치아 중 레이저로 치료 할 치아1개(실험군)와 치료하지 않을 치아 1개(대조군)를 선정하여, 치과용 air-syringe에 의한 냉자극과 치과용 탐침자에 의한 기계적 자극을 가한 후 Visual Analogue Scale(VAS)을 통해 지각과민증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이후 실험군 치아의 치경부 마모면에 광섬유 레이저에너지 전달방식의 펄스형 Nd:YAG 레이저의 일종인 Sunlase Master(Sunrise Technologies Inc., U.S.A., 파장 1064nm, 펄스지속시간 120(sec, 광섬유직경 320(m)를 사용하여, 0.3-1.0W, 10Hz 조건으로 환자의 반응에 따라 1회2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접촉식과 접촉식을 병행하여 3회에 걸쳐(초진 당일, 1일후, 3일후) 레이저를 조사한 후 처음조사 직후, 그리고 초진 1일후, 3일후, 7일후, 14일후 VAS를 채득하여 조사전과 비교, 분석, 평가하였던 바, 상아질 지각과민증이 각각 약 50%, 약36%, 약45%, 약 53% 감소하였으나 (p(0.05) 경시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24명중 9명에 대해서는 초진 30일 후 까지 레이저조사치료효과를 평가하였던 바, 상아질지각과민증이 처음조사 직후, 감소하였으며 (p(0.05)역시 경시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진 30일 후 상아질지각과민증이 초진 14일 후에 비해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레이저조사 치료효과가 약화되는 경향인지 여부에 대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안되었다.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근사적인 지체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을 수 있다.수들은 직업의 선택이나 소득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들로 포함될 수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며,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정의나 그 중요성과 가치, 그리고 실태 파악과 같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 but "Daepung" showed similar flower proceeding dates in all branches.est in HB. Mean period of wetting duration was in the order of DS>HB>MB, while the dew point depression was greatest in DS.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무조건 사주지 않는다(8.0%), 무조건 사준다(3.1%)로 식품광고에 나오는 식품 요구시 부모의 70.3%가 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절 이유는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으며 강남과 강북 어린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