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립병바이러스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배추흰나비 과립병바이러스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ulosis Viruses Proteins of Common Cabbage Worm, Pieris rapae and Pieris brassicae)

  • 류강선;진병래;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0-186
    • /
    • 1991
  •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에 대한 봉입체 및 바이러스단백질의 물리화학적 성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기영동법에 의한 봉입체단백질은 그 분자량이 P. rapae GV는 30kd, P. brassicae GV는 31 kb의 단일단백질이었으며, trypsin, chymotrypsin, papain 및 staphylococcus aureus V8 protease에 의한 peptide mapping에서는 두 바이러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바이러스입자단백지르이 전기영동법에 의한 분석결과, 두 바이러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바이러스입자단백질의 전기영동법에 의한 분석결과, 두 바이러스에서 각각 42개의 band가 나타났으며 고분자량 부분에서 P. rapae GV의 경우는 115, 110, 105 및 103 kd의 4개 band인데 반해 P. brassicae GV는 107 kd의 한 band만 관찰되었다. 그리고 봉입체단백질의 아미노산 분석비교에서 두 바이러스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곤충에 많이 존재하는 산성아미노산인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았고 염기성 아미노산에서 lysine의 함량이 특히 많았으며 봉입체단백질의 면역학적인 시험결과에서는 P. rapae GV 항혈청에 대해 두 바이러스는 공통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 PDF

배추흰나비 과립병바이러스 DNA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ulosis Viruses DNA of Common Cabbage Worm, Pieris rapae and Pieris brassicae)

  • 류강선;진병래;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8-143
    • /
    • 1991
  •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의 DNA성상과 이를 기초로한 상동성을 검정한 결과 Tm값에서는 P. rapae GV DNA는 $83.7^{\circ}C$이고, P. brassicae GV DNA의 경우는 $84.0^{\circ}C$로 G+C 함량은 전자가 35.5%, 후자가 35.9%였다. 그리고 제한산소처리에 의한 DNA의 분석에서는 P. Rapae GV의 genome의 크기는 103 kb, P. brassicae GV DNA는 108kb로 나타났으며, 두바이러스 간의 상동성은 97.0%였다.

  • PDF

배추흰나비 과립병바이러스의 정제 및 병원성 (Pur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the Granulosis Viruses of Common Cabbage Worm, Pieris rapae and Pieris brassicae)

  • 류강선;김근영;강석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7-195
    • /
    • 1991
  •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의 정제조건, 형태 및 P. rapae 유충을 숙주로한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바이러스봉입체 자당밀도구배원심법(52,000g, 2시간)으로 정제하여 순도 높은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었다. 봉입체의 크기는 P. rapae GV의 경우 396$\pm$38$\times$238$\pm$25nm, P. brassicae GV의 375$\pm$40$\times$255$\pm$28nm였으며, 바이러스 입자는 P. rapae GV가 250-275$\times$63-73 nm이며, P. brassicae GV가 243-250$\times$63-75 nm였다. 한편 nucleocapsid는 P. rapae GV가 225$\times$31 nm, P. brassicae GV가 225$\times$29 nm로 관찰되었다. P. rapae를 숙주로 하여 P. rapae GV와 P. brassicae GV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 rapae GV의 {TEX}$LC_{50}${/TEX}(-log)식은 5.5673, P. brassicae GV의 경우는 5.8104로 P. brassicae GV의 병원성이 약간 간하게 나타났으며, {TEX}$LT_{50}${/TEX}(바이러스농도 {TEX}$10^{-6}${/TEX})의 경우는 P. rapae GV는 8.17일 P.brassicae GV에서는 7.16일로 P. brassicae GV에서 약간 짧았다.

  • PDF

배추흰나비 과립병(顆粒病)바이러스 감염조직(感染組職)에서의 바이러스 성숙(成熟) (Maturation of the Granulosis Virus of Common Cabbage Worm, Pieris rapae)

  • 유강선;강석권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1호
    • /
    • pp.77-85
    • /
    • 1991
  • The virus maturation in fat body cells infected with P. rapae granulosis virus were also examined to have the following results. Thin section of P. rapae GV granules showed a regular lattice of the granule enclosing virus particles. Virus particles were observed to penetrate the fat body cells by fusion or viropexis type. The blood and fat body cells uptaked the granulosis viruses a phagosome, in which they were digested by lysosomal enzymes.

  • PDF

오제스키병 바이러스 항원검출을 위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조직절편내 immunogold-silver법-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Aujeszky's disease virus antigens : Immunogold-silver method in tissue sections)

  • 김순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5-369
    • /
    • 1988
  • 본 연구는 감염돼지와 조직배양세포의 동결 및 파라핀 절편에서 immunogold-silver(IGS)법을 이용하여 오제스키병 바이러스를 검출코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자돈 5두와 돼지뇌유래 섬유 아세포 및 BHK 세포를 공시하였고, IGS법과 immunoperoxidase법의 1차 항원으로는 2종의 단크론성 항체와 고도면역혈청을 사용하였다. IGS법은 양성부위에서 흑색의 미세한 과립의 침착을 볼 수 있었고, immunoperoxidase법에 비해 탁월한 효과를 얻었으며, IGS법은 조직내에 존재하는 각종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Case of Cytomegalovirus Retinitis during Maintenance Chemotherapy for Acute Leukemia

  • Ahn, Bin;Song, Seungha;Han, Mi Seon;Oh, Baek Lok;Choi, Jae Hong;Choi, Eun Hwa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98-204
    • /
    • 2020
  • 거대세포바이러스병은 혈액종양 질환을 가진 환자군에서는 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에게서 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드물게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지 않고 항암 치료 중에 발현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발열과 시력 저하를 주소로 입원한 7세 남자에게서 백혈병 유지 치료 중 발현한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초기에 거대세포바이러스 항원혈증검사 수치가 51 positive cells/200,000 leukocytes로 높게 보고되었으나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병력이 없어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행하지 않았다가 3주 후 항원혈증검사 수치가 170 positive cells/200,000 leukocytes로 증가하여 시행한 안과 검진에서 양안의 망막 침범 소견과 과립형 병변이 확인되어 거대세포바이러스 망막염으로 진단되었다. 총 4주간의 정맥 내 ganciclovir 치료와 6회의 유리체강 내 ganciclovir 주입술을 시행한 후 경구 valganciclovir 치료를 1달간 더 시행하였다. 치료 시작 1달 후 거대세포바이러스 항원혈증검사가 음성이 되었고 안저검사에서 호전소견을 보였다. 본 증례와 같이 거대세포바이러스병에 이환되기 쉬운 고위험군 환자들에 대한 선별 검사와 적절한 치료방침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다.

가잠의 전염성 연화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 증식에 관한 연구 (Multiplication of Infectious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
    • /
    • 1984
  • 가잠에 있어서 피해가 많은 전염성 연화병(Flacherie Virus; FV)과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행하기 위하여 서당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양바이러스의 정제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바이러스 감염잠의 중장과 체액에서의 핵산과 단백질의 변동 및 감염중장 피막세포의 전자현미경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 일연의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서당밀도구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FV 및 DNV를 분획한 결과, base line이 낮고 좌우상칭의 단일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바이러스 분획을 얻었으며, 또한 이들 바이러스의 negative 염색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FV는 27nm, DNV는 21nm의 균일한 구형입자임이 확인되었다. 2. 두 바이러스 감염잠의 체중은 바이러스 접종 6일 후부터, 중장중은 바이러스 접종 3일 후부터 건전잠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D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공히 중장에서는 전기간을 통해 건전잠에서 보다 높았고, 체액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초ㆍ중기에는 큰 변화가 없고 바이러스 접종 7일 이후에는 건전잠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4. R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다같이 바이러스 접종 초기에 중장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높았고, 체액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바이러스 접종 말기에는 중장 및 체액의 경우 공히 건전잠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는 DNV 감염잠에서 더 심했다. 5. FV 및 DNV 감염잠에서 중장과 체액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접종 중기까지는 건전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접종 말기에서는 건전잠에서 보다 월등히 낮았다. 6.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FV 및 DNV 감염잠 중장 RNA 전기영동상은 건전잠의 중장 RNA인 26S, 17S, 5S 및 4S의 4종 band와 동일했다. 7. FV 및 DNV 감염잠의 중장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바이러스 접종 1일과 5일 후에는 건전잠의 것과 큰 차이가 없고, 접종 8일 후에는 건전잠에 존재하는 이동도가 낮은 L band가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공히 소실되는 반면, 건전잠에서 볼 수 없는 이동도가 중간인 M band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도가 높은 건전잠의 N band는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dine orange 염색을 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NV접종 5일 후에 본 바이러스 증식 장소인 원동세포핵의 비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12. 전자현미경에 의해 DNV감염 중장조직세포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원동세포 핵내의 인이 소형 과립으로 붕괴되어 산재되었고, 접종 8일후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virogenic stroma가 출현하였으며, 감염 말기로 추정되는 핵내의 전자밀도가 전자보다 낮고 더욱 확대되어 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irogenic stroma도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virogenic stroma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유사체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virogenic stroma는 바이러스 전구물질의 합성 및 바이러스 조립장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토끼의 바이러스성 간염에 관한 연구 :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Studies on the rabbit viral hepatitis :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 이차수;신태균;최윤주;정규식;정종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9-275
    • /
    • 1993
  • 토끼의 바이러스성 간염, 소위 토끼 출혈병의 원인체에 대한 각종 세포주들에 바이러스증식을 유도하고 한편 실험적 감염예에 대한 면역형광항체법과 immunoperoxidase 방법에 의한 원인체의 조직내에 분포상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된 토끼를 폐사직후 부검하여 간장, 비장, 신장, 폐 및 뇌조직을 절제하여 동결절편하거나 또는 포르말린고정 파라핀 포매 절편을 $5{\sim}7{\mu}m$로 작제하여 면역반응에 공시하였다. 공시된 각종 세포주에 대한 원인체의 세포배양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면역조직화학적방법을 이용한 면역반응에서는 간장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비장과 신장에서는 소수예에서 백색수주변 대식세포와 신사구체에서 양성반응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러나 기타 장기에서는 특이한 양성반응이 인정되지 않았다. ABC immunoperoxidase 방법을 이용한 간장의 포르말린고정 파라핀포매 절편에서 portal triad를 중심으로한 소엽주변부 간세포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양성반응은 간세포 및 동양혈관세포의 세포질내에 미세과립상으로 미만성 및 세포질주변성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감염세포와 비감염세포와의 구별이 명확히 인정되었고 양성반응을 보이는 부위는 H-E 염색상 변성괴사된 간세포에 일치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질병의 표적기관은 간장이며 포르말린고정 파라핀포매 간조직의 immunoperoxidase 방법에 의한 면역조직화학적방법이 본병 진단에 크게 활용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