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거사

Search Result 51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산업관광 ① - 제주 삼다수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13
    • /
    • pp.102-103
    • /
    • 2019
  • '산업관광(Industrial Tourism)'은 1 2 3차 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주제로 한 전시시설 관람, 현장견학, 체험 등의 관광을 하는 관광산업의 한 분야이다. 최근 산업관광은 관광객들에게는 호기심 충족 등 배움과 재미가 있는 볼거리나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기업체나 지역에는 브랜드나 지역산업에 대한 홍보를 통해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는 관광콘텐츠로 각광받고 있다. 이번호부터 산업관광지를 통해 기업체의 생산현장이나 홍보시설, 재래 전통산업, 과거산업유산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지역건축탐방(9) - 대전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55
    • /
    • pp.57-57
    • /
    • 1998
  • 대전의 근ㆍ현대 건축을 돌아보면 우리의 도시건축이 특정한 방향성이 전제되지 않은 채, 좌충우돌 격변의 시기를 겪어온 셈이라 할 수 있다. 좋게 말하면 다양한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던 시기라 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긍정적인 시선이 정당화되려면 마땅히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한 검토와 상철이 뒤따라야 옳은 일이라 여겨진다. 건축을 문화의 자산으로 보는 관점을 유지하면서 그간 우리는 무엇을 잃었으며, 무엇이 복원되어야 할 가치이며, 그 속에 잠재하고 있는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점검하는 일이야말로 매우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빅토르 위고의 지적처럼 역사는 책으로도 쓸 수 있다는 교훈을 되살려 보면서 우리 도시건축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대한 이해가 급선무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아주 가까운 과거에 대한 경시풍조는 이 시점에서 다시 한 번 경계해야 할 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까운 과거를 서구 근대건축의 완성도에 못 미친다는 편협 된 잣대만으로 그 가치를 평가하지 말고 여러 가지 다른 조건과 더불어 재조명함으로써 우리 고유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작업을 서둘러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도시건축의 구체적인 현상으로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상의 모습을 통해 우리 고유의 지역성이나 정체성을 재구성해낼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염두에 둘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Past Affairs-Related Collective Memories and the Archival Justice : The Contemporary Rebuilding of the Archive 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 Lee, Kyong Ra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6
    • /
    • pp.5-44
    • /
    • 2015
  • This article purposes to define archival justice and suggest democratic modeling of the archive 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TRC), which is focused on victims of state violence. These purposes come from critical mind that the absence of framework of the records management for collective memory would cause incorporation of TRC archives into mainstream archives systems in which voices of victims have been marginalized. This article intends to expand theoretical prospects of documentation of past affairs through applying humanistic and theoretical frameworks differently from institutional and policy approaches on restoration of collective memory. In order to do this, this article first considers archival justice as archives building in which state violence' victims are pivotal and then extracts theoretical frameworks for building the archives based on archival justice from recent discourses of post-colonial archives and community archives. As the next step, it criticizes current conditions of TRC archives in Korea on the basis of extracted theoretical frames and finally suggests realistic models in which each theoretical frame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to TRC archives that is focused on victi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