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통 영역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35초

WSAN에서 액터 재배치를 위한 센서신호 공통 중첩영역 추출 기법 (A Scheme for Extracting the Area of Common Overlap of Sensor Signals to Relocate Actor in WSAN)

  • 김영균;전창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55-5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센서 클러스터에서 액터를 재배치하기 위하여 센서신호 공통 중첩영역을 추출하는 기법을 분석한다. 기존의 액터 재배치 알고리즘은 CH (Cluster Head)와 동일하게 센서들과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액터를 CH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액터의 이동방법은 액터와 CH를 단순하게 결합하여 액터를 재배치하는 것이며, 액터와 CH가 서로 중첩되거나 충돌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클러스터에서 CH와 중첩 또는 충돌 없이 액터를 재배치하기 위해 센서신호 공통 중첩영역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 PDF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서 투사(投射)되는 신경원(神經元)의 표지부위(標識部位)에 대(對)한 연구(硏究) (Central Localization of the Neurons Projecting to the Urinary Bladder Meridian)

  • 김정연;전홍재;이상룡;이창현;정옥봉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7권1호
    • /
    • pp.81-100
    • /
    • 2000
  • Transsynaptic tracer이며 신경친화성 virus인 pseudorabies virus(PRV)를 방광(膀胱),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 주입(注入)한 후 4일간의 생존기간이 경과한 후 희생시켜 면역조직화학침액법(免疫組織化學染色法)에 의하여 뇌척수에 표지된 공통된 영역들을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척수에 투사된 영역은 흉수(胸髓), 요수(腰髓) 및 천수(薦髓)에 모두 표지되었으며 공통적으로 표지된 부위는 척수(脊髓)의 층판 IV, V, VII, IX, X영역에 표지되었으나 주로 강하게 표지된 공통된 영역은 층판 VII의 중간외측핵, 가슴기둥 및 층판 X영역이었다. 2. 방광벽(膀胱壁),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 및 중추(中極)에서 뇌(腦)에 투사된 공통된 영역은 연수(延髓)에서는 A1 noradrenalin cells/C1 adrenalin cells/caudoventrolateral reticular nucleus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솔기핵의 경우 아핵인 불명솔기핵, 창백솔기핵 및 큰솔기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다리뇌에서는 청색반점, Barrington's nucleus, A5세포군 및 삼차신경운동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중뇌에서는 눈돌림신경핵, 눈돌림신경섬유 및 다리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간뇌에서는 시상하부(視床下部)의 뇌실(腦室)곁핵과 시상의 뇌실곁핵에서 양성반응을 보였고 대뇌(大腦)에서는 septal nucleus, 피질(皮質)의 뒷다리영역, 마루엽, 이마엽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방광(膀胱)에서 투사되는 뇌척수의 영역과 방광유(膀胱兪)나 위중(委中)에서 투사되는 공통된 표지영역들은 방광(膀胱)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그리고 그 경락(經絡)의 경혈(經穴)들이 어떤 상관성(相關性)을 가지고 연결(連結)되어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특히 방광(膀胱)과 방광유(膀胱兪), 위중(委中)에서 투사된 공통된 표지영역, 즉 배뇨중추인 Barrington's nucleus에 표지되는 것은 내장(內臟)-경락(經絡)이 central autonomic pathway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결과(結果)라고 사려(思慮)된다.

  • PDF

인텔$\Intel^{textregistered}$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영역분리 메커니즘 (The Domain Separation Mechanism of the Intel$\Intel^{textregistered}$ Microprocessor)

  • 성윤기;이은경;최용준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1-15
    • /
    • 2002
  • 현재 공통평가기준을 이용하여 작성된 대부분의 파이어월과 VPN, 스마트 카드의 보호 프로파일의 기능요구사항에 영역분리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공통평가기준의 영역분리기능은 미국 국방성 운영체제 평가 기준인 TCSEC이 요구하는 보증수단에서 유래하였다. 8086프로세서는 리얼 모드라는 세그멘테이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이용하여 향상된 메모리 주소관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80$\times$86은 리얼 모드이외에 보호모드를 제공하여 시스템 영역과 응용프로그램영역을 분리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인텔 80$\times$86 프로세서의 구조적인 발전을 이용하여 구현된 Trusted OS는 링 상태(ring state)라고 알려져 있는 영역 분리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영역을 응용 프로그램 영역으로부터 보호하는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보증하고 있다. 단 논문에서는 인텔 마이크로 프로세서 8086과 80$\times$86의 구조와 메모리 관리방법을 고찰하여 8086과 비교한 80$\times$86의 발전된 보호모드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시스템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영역분리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 PDF

UML CASE 도구 프레임워크를 위한 공통성 및 가변성 (Commonality and Variability Analysis Method for UML CASE Tool Frameworks)

  • 최환복;이은서;김윤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6호
    • /
    • pp.927-93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UML CASE 도구 프레임워크 구축에 이용할 수 있는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은 동일 도메인에서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영역과 변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확장과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공통성 및 가변성 분석 기법으로 클래스에 기반한 분류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 기법을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으며, 결함 제거 효율성을 이용해 분석 기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단일 반송파 주파수 영역 등화 시스템을 위한 공통 위상 추적 기법 연구 (Study on Common Phase Offset Tracking Scheme for Single Carrier System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 김영제;박종훈;조정일;조형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1C호
    • /
    • pp.641-648
    • /
    • 2011
  • 주파수 영역 등화 기법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대표적 특정으로 단일 탭의 채널 등화로 인한 낮은 구현 복잡도의 장점을 갖는다. SC-FDE (single carrier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시스템은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 주파수 영역 등화 기법을 채택하고, 지연 확산에 대한 강점을 갖기 위해 CP(cyclic prefix)를 포함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 동기 및 등화기를 거친 후 잔존하는, 공통 위상 오프셋 성분을 제거해야만 한다. 공통 위상 오프셋 성분은 송수신기 간 반송파 주파수 생성 시 발생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이 오프셋이 큰 경우 성능 열화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SC-FDE 시스템에서 공통 위상 오프셋 성분을 주파수 영역에서 보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동기 획득 및 등화를 위한 훈련 신호는 자기 상관관계 특성이 우수한 CAZAC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code) 시퀀스를 채택하였다. 제안한 공통 위상 오프셋 추적 성능은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평균 제곱 오차 (mean square error, MSE) 성능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성능이 시간 영역에서 보정하는 것과 유사한 MSE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업 ${\cdot}$ 농촌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관점 (Perspectives on Agricultural Concerns an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A Qualitative Approach for Distribution Dimention)

  • 신윤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4권1호
    • /
    • pp.91-96
    • /
    • 1997
  • 미래사회의 농업-농촌은 다양성과 복합성을 지닌 도시화된 형태로의 변화를 예견해 볼 수 있다. 이는 인력개발, 기술개발, 시설개발, 문화개발 및 환경개발 및 환경개발 등 그 영역과 요구 또한 구체화되고 다양화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관점(qualitative approach)에서 농업-농촌사회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 진행과 그 영역들은 무엇이며 어느 영역들에 개발비중을 두었는 지를 알아 보는 데 있었다. 11명의 농업 및 농촌 지역 개발 전문가들의 개발관점은 그 중요성과 영역의 다양성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즉, 인력개발과 경제개발 영역에서 공통점으로 보였으며, 환경영역 및 문화영역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었다. 이제 농업-농촌개발은 "instead of"의 개발접근이 지양되면서 "as well as"의 다각적 접근(multidisciplinary approach)이어야 한다. 또한, 개발의 개념은 성장(growth)이 아닌 유지(keeping)와 진행(process)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PDF

객체지향 프레임워크의 설계 지원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Supporting Tool of O-O Framework)

  • 김형록;김강태;배제민;이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1)
    • /
    • pp.561-563
    • /
    • 1998
  • 객체지향기술의 주요 목표는 구조화된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것과, 좀더 확장가능하고 재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재사용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에 d있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분야 중 객체지향 프레임워크의 설계 지원도구에 대해 연구하였다. 객체지향 프레임워크는 분석과 설계 정보의 재사용을 포함하는 넓은 스케일의 재사용을 제공하는 재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계 프로세스로 우선 3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분석으로 객체를 추출하고, 객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며, 객체들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공통구조를 추출한다. 객체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며, 객체들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공통구조를 추출한다. 여기에 영역 전문가로부터의 영역지식과 기존의 해결안인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설계한다. 그리고 이런 설계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도구들이 필요한데 이들 설계 지원도구로는 공통구조를 모델링하기 위한 모델링 도구와 영역지식에 대한 관리도구, 디자인 패턴 지원도구가 포함된다.

3상 3-레벨 인버터의 캐리어 기반 MVPWM의 과변조 특성 (Over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Carrier Based MVPWM for 3-Phase 3-Level Inverter)

  • 최남섭;이은철;안강순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레벨 인버터의 공통 모드 전압 변동 제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MVPWM(Medium Vector PWM의 과변조 특성을 분석한다. MVPWM의 과변조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과변조 상태에서도 동일한 공통모드전압을 갖는 7개의 벡터만 선택한다. 2) 진폭변조지수를 증가시킬 때 선형영역에서 비선형영역으로의 천이가 연속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MVPWM의 위와 같은 과변조 특성을 밝힌다.

  • PDF

가상의 블루스크린을 이용한 반자동 동영상분할 (Semi-Automatic Video Segmentation Using Virtual Blue Screens)

  • 신종한;김대희;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가상의 블루스크린(Virtual Blue Screens, VBS)을 이용한 반자동 영상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가상 블루스크린은 동영상에서 배경영역을 특정한 값으로 채워 만든 참조영상으로 정의한다. 반자동 영상 분할 기법은 크게 화면내 영상분할과 화면간 영상분할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화면내 영상분할은 VBS와 원영상의 형태학적 분할 기법을 사용하고, 화면간 영상 분할은 두개의 연속하는 화면에서 변화검출(Change Detection)로 이루어진다 [1].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변화검출을 위하여 제안된 VBS를 사용한다. VBS를 이용한 영상분할에서는 우선, 이전화면에서 만들어진 VBS를 참조하여 다음화면에서 움직임 영역을 예측한다. 이렇게 예측된 영상과 원영상에 대해 형태학적 분할 기법(Morphological Segmentation Technique)을 이용해서 각각에 대한 레이블 마스크(Label Mask)를 얻는다 [2]. 두개의 레이블 마스크 사이에는 서로 공통된 영역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런 공통된 영역을 추출함으로써 움직임 객체를 검출한다. 현재화면에서 검출된 움직임 객체는 다음화면을 위한 가상의 블루 스크린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 PDF

바이오 셀 영상 분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Cell Image Segmentation)

  • 전병태;이형구;조수현;정연구;박선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743-746
    • /
    • 2002
  • 바이오 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분야 중 한 분야인 셀 기반 분석(cell-based assay)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특정 시약 또는 시험 물질을 셀 세포에 투여했을 때 시간 축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세포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 세포 영상의 영역 분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영상에 대하여 셀 공통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공통영역을 스네이크(snake) 기법을 이용하여 세포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