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초점현미경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1초

펨토초 레이저 미세가공을 위한 3차원 형상 복원 시스템의 최적설계 및 구현 (Optim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Shape Restoration System for Femto-second Laser Micromachining)

  • 박정홍;이지홍;고윤호;박영우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3권6호
    • /
    • pp.16-2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수 구성품인 투명한 ITO(Indium-Tin-Oxide) 유리를 가공하기 위한 펨토초(Femto-second) 레이저 미세 가공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공 대상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활용하여 펨토초 레이저빔의 초점 거리 오차와 각도 오차를 사전에 계측하고 3차원으로 형상을 복원한다. 본 시스템은 라인 스캔 레이저, 고해상도 카메라,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시스템 제어부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본 시스템의 모델링을 통한 카메라와 레이저의 위치와 측정 결과와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민감도 지수를 정의하고, 이를 활용하여 더욱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었다. 가공 대상체인 ITO 유리의 높이와 표면 형상을 측정하고 3차원으로 형상을 복원하여 주사 탐침 현미경(SPM)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여 본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돼지, 사람, 소 및 생쥐 정자 미세주입에 의한 돼지난자의 수정과정 (Fertilization Process in Porcine Oocytes Following Intracytoplasmic Injection of Porcine, Human, Bovine or Mouse Spermatozoon)

  • 전수현;도정태;이장원;김남형;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5-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돼지 난자 내에 돼지, 사람, 소 및 생쥐의 정자를 미세 주입한 후 전핵형성과ㅏ 전핵의 이동을 관찰하였다. 핵과 미세소관은 정자 주입 후 간접면역 형광염색을 실시한 후 공초점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돼지 난자 내에 돼지정자를 직접 주입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수정과정과 동일하게 정자중편부에서 성상체가 형성되었고, 이 성상체에 의해서 웅성 및 자성 전핵의 이동(44%), 유사분열(3%) 및 2-세포기(13%)까지 정상적인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반면에 이종(사람, 소 및 생쥐)의 정자를 돼지난자에 직접 주입하였을 경우 단위발생시 난 활성이 유도된 난자와 같이 난자자체에서 형성된 미세소관에 의해 전핵이 이동(47, 30 및 17%)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하지만, 접합체 형성 및 2-세포기로의 분리되는 과정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돼지 난자 내에 이종의 정자가 주입되었을 때 정자의 핵은 비록이적으로 전핵으로 발달되고 난자 중심부로 이동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인데, 이때 전핵을 움직이는 것은 정자에서 유래된 중심체에 의한 것이 아니라 난자세포질 자체의 미세소관에 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Lentivirus System을 이용한 Glucocorticoid 유도 Reporter 유전자 발현의 분석 (In vitro Analysis of Glucocorticoid-induced Reporter Gene Expression Using Lentivirus System)

  • 이미숙;김지연;허송욱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85
    • /
    • 2007
  •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은 이 호르몬에 의해 활성화된 수용체가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 혹은 억제시킴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본 논문은 렌티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에 의한 GR 활성을 핵내에서 GRE에 의해 유도된 리포터 단백질인 mRFP 또는 루시퍼라아제의 발현을 통해 정성,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GR이 endogenous 하게 발현되는 HeLa 세포에서 코티졸을 처리하였을 때 활성화된 GR에 의해 GRE-inducible한 RFP와 루시퍼라아제의 발현이 각각 공초점 형광 현미경과 IVIS-200을 이용하여 형광 또는 BLI을 통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렌티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는 세포 내에서 뿐 만 아니라 향후 생체내에서의 GR signaling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심미수복재와 상아질의 접착계면에 관한 연구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ON THE INTERFACE BETWEEN TOOTH 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AND DENTIN)

  • 박병철;조영곤;문주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313-32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n the interfacial morphology between dentin and restorative materials. In this in vitro study, the cavity wall restorated with 3 different kinds of tooth 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composite resin (Z-100), compomer (Dyract)]. The thirty extracted human molar teeth without caries and/or restorations are used.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en teeth each. In each group, Wedge shaped cavities (width: 3mm, length: 2mm, depth: 1.5mm) were prepared at the cementoenamel junction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The adhesive of composite resin were mixed with rhodamine B. Primer of composite resin, Prime & Bond 2.1 of Dyract and liquid of Fuji II LC were mixed with fluorescein. In group 1, the cavity wall was treatment with dentin conditioner, and then restorated with Fuji II LC. In group 2, the cavity wall was treatment with Prime & Bond 2.1 and then restorated with Dyract. In group 3, the cavity wall was etching with 10% maleic acid, applied with primer and bonding agent and then restorated with Z-100. The interface between dentin and restorative materials was observed by fluoresence imaging with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Glass ionomer group, adaptation of resin modified Glass-ionomer restoration against cavity wall is tight, but the crack formed inside of restoration were observed. 2. In Dyract group, the penetration of resin tag is shorter and the width of hybrid layer is narrower than composite resin group. 3. In Z-100 group, primer penetrated deeply through dentinal tubule. Also bonding agent was penetrated along the primer, but the penetration length is shorter than primer part, and in 3-D image, the resin tag is conical shape and lateral branch is observed.

  • PDF

상아세관의 주행방향에 따른 상아질 접착제의 침투양상에 대한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 연구 (EFFECT OF DENTINAL TUBULES ORIENTATION ON PENETRATION PATTERN OF DENTIN ADHESIVES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 김동준;황윤찬;김선호;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92-4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netration pattern of dentin adhesives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dentinal tubules with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Specimens having perpendicular. parallel and oblique surface to dentinal tubules were fabricated. The primer of dentin adhesives (ALL $BOND^{\circledR}{\;}2,{\;}CLEARFIL^{TM}$ SE BOND and PQ1) was mixed with fluorescent material. rhodamine B isothio-cyanate (Aldrich Cherm. CO., Milw., USA), It was applied to the specime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manufactures. The specimens were covered with composite resin (Estelite, shade A2) and then cut to a thickness of 500$\mu\textrm{m}$ with low speed saw (Isomet^{TM}, Buehler. USA). The adhesive pattern of dentin adhesives were observed by fluorescence image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groups with tubules perpendicular to bonded surface. funnel shape of resin tag was observed in all specimen. However. resin tags were more prominent in phosphoric acid etching system (ALL $BOND^{\circledR}$ 2 and PQ1) than self etching system ($CLEARFIL^{TM}$ SE BOND). 2. For the groups with tubules parallel to bonded surface. rhodamine-labeled primer penetrated into peritubular dentin parallel to the orientation of dentinal tubules. But rhodamine-labeled primer of PQ1 diffused more radially into surrounding intertubular dentin than other dentin adhesive systems. 3. For the groups with tubules oblique to bonded surface. resin tags appeared irregular and discontinuous. But they penetrated deeper into dentinal tubules than other groups.

고주파 미세자극에 의한 뼈의 생성에 관한 모델링 (Resonance May Elucidate New Bone Formation Induced by Low amplitude and High frequency Mechanical Stimuli)

  • 윤영준;김문환;배철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27-32
    • /
    • 2008
  • 뼈가 왜 고주파 미세자극(low amplitude and high frequency)에 반응하는가를 진동의 공명현상(resonance)을 이용하여 접근해 보았다. 예를 들면 30Hz, $5{\mu}{\epsilon}$ 정도의 진동이 뼈 내 골수 간질액 (bone fluid)의 흐름을 주관하는 미세관(canaliculus) 내벽에 작용할 경우 빔 형태의 구조물들로 연결되어 있는 골세포돌기 세포막 (osteocytic process membrane)은 공명현상에 의해서 $1,000{\mu}{\epsilon}$ 이상으로 증폭된다. 이 결과는 사전조사 형태에 속하며, 향후 (1) 세포실험을 통하여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변화를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으로, 그리고 (2) 세포내 골격계에 해당하는 액틴필라멘트의 변화를 공초점 주사 레이져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등의 영상기기의 사용으로 관찰하려고 한다.

  • PDF

다양한 금속 이온을 이용한 카세인 단백질 나노입자 형성 및 약물 전달체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sein Nanoparticles with Various Metal Ions as Drug Delivery Systems)

  • 김민주;이슬기;최준식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21-125
    • /
    • 2023
  • 카세인(casein)은 포유류의 우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우유에서는 80% 이상 함유되어 있다. 사람의 모유에는 약 20~45%가 포함되어 있으며 생체 적합성이 높아 의료 및 산업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카세인은 양친매성 구조로 내부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수용액에서 마이셀로 자가 조립이 가능하여 난용성 약물을 봉입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고분자 소재로 생분해성을 갖고 있어 약물의 전달체로서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칼슘 이온 외에 마그네슘, 아연, 철 등 생체 내 존재하는 다양한 금속 이온들을 사용하여 각각 효과적인 카세인 나노입자 형성 조건을 규명하였다. 동적 광산란 측정기와 제타 전위 측정을 통해 150 nm 이하의 균일한 사이즈를 유지하고 음전하를 띠는 나노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카세인 나노입자가 HeLa 세포주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 낮은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고, 카세인 나노입자 내부에 시험 약물로서 나일 레드를 봉입하여 세포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됨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입증하였다. 본 실험들을 통해 제조된 카세인 나노입자의 약물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아기우식증 치료를 위한 레진침투법에서 제단백제재의 사용 (A Modified Pretreatment with Deproteinization for Resin Infiltration in Early Childhood Caries)

  • 남시연;신종현;정태성;김신;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0-298
    • /
    • 2018
  • 이 연구는 유전치 비와동성 우식 병소에 레진침투법을 시행할 때 sodium hypochlorite(NaOCl) 제단백 후 phosphoric acid($H_3PO_4$) 산부식 처리에 따른 법랑질 표면구조 및 레진 침투깊이 변화를 알아보았다. 90개의 발치된 비와동성 병소의 유전치를 전처리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었다 : I군 hydrochloric acid(HCl) 2분; II군 NaOCl 1분, $H_3PO_4$ 1분; III군 NaOCl 2분, $H_3PO_4$ 1분; IV군 NaOCl 1분, $H_3PO_4$ 2분; V군 NaOCl 2분, $H_3PO_4$ 2분. 그 중 15개는 전계방사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표면을 관찰하였고, 75개는 레진침투 후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을 통해 병소 깊이와 레진 침투깊이를 측정하여 레진 침투도를 도출했다. NaOCl 적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법랑질 산부식 I, II형 비율이 증가하였다. 레진 침투도는 V군이 II, III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 0.05), IV, V군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레진침투법은 유전치 초기 우식 병소의 치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처리 제로 15% HCl 산부식 대신 5.25% NaOCl 제단백 후 35% $H_3PO_4$ 산부식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우치에서 레진 침투법 및 불소 적용의 탈회 저항성 비교 (Comparison in Demineralization Resistance of Resin Infiltration and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in Bovine Teeth)

  • 이두영;김익환;송제선;김성오;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본 실험의 목적은 초기 우식 부위에 레진 침투법과 불소 적용 후 탈회 저항성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인공 우식을 유발한 시편을 대조군, 1.23% 산성불화인산염(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군, 레진 침투군으로 분류하고 각 재료를 적용 후 재탈회시켰다. 이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CLSM))을 이용하여 탈회 깊이를 측정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 거칠기를 관찰하였다. CLSM을 이용하여 탈회 깊이를 측정하였을 때 대조군, 1.23% 산성불화인산염군, $Icon^{(R)}$ caries infiltrant군 순으로 감소하였다. 탈회 깊이는 1.23% 산성불화인산염군, $Icon^{(R)}$ caries infiltrant군이 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만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p < 0.05). 표면거칠기는 대조군에서 매우 거칠고 표면이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고 1.23% 산성불화인산염군, $Icon^{(R)}$ caries infiltrant 군으로 갈수록 표면 거칠기와 불규칙성은 감소하였다.

막투과성 변화로 인한 대황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Rheum undulatum on Candida albicans by the Changes in Membrane Permeability)

  • 이흥식;김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60-367
    • /
    • 2014
  • Candida albicans는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의 표재성에서 전신적 감염까지 다양한 부위에서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기회 감염적 병원성 진균이다. C. albicans는 효모형에서 균사형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 때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바이오필름과 관련된 C. albicans의 감염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항진균제에 대해 내성을 보이므로 새로운 항진균제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대황(Rheum undulatum)은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하제나 소염제로 사용되는 약용 식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R. undulatum이 캔디다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C. albicans 바이오필름 형성 균주에 대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효과와 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기작을 알아보는 것이다. R. undulatum (0.098 mg/ml)은 12종의 바이오필름 형성 임상균주의 캔디다 바이오필름을 $49.4{\pm}6.0%$ 감소시켰고 C. albicans의 폴리스티렌 표면으로의 부착을 억제시켰다. CFDA, AM과 propidium iodide로 이중 염색한 결과 R. undulatum은 C. albicans의 세포막을 손상시켰으며 propidium iodide와 neutral red로 염색하여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과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 albicans의 세포용해를 야기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Crystal violet 흡수율 실험으로 R. undulatum에 의한 세포막 투과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따라서 R. undulatum은 세포막의 손상과 세포막의 투과성 변화로 야기된 세포의 용해와 관련된 항진균 활성이 C. albicans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R. undulatum이 바이오필름과 관련된 캔디다의 감염을 치료하고 제거하기 위한 천연물 기반 항진균제 개발에 대한 좋은 후보물질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