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중보건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ublic Health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중보건)

  • Koen, DaLe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37-71
    • /
    • 1999
  • The term public health is used today when the health of a population is referred to. Before we look at public health, we should know the meaning of health. It is, however a difficult concept to define.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s definition of health, states that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and infirmity (WHO Constitution 1947).(omitted)

  • PDF

공중보건치과의사로 살기, 낯설음에서 새로운 시작으로

  • An, Jeo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6 no.9 s.352
    • /
    • pp.621-628
    • /
    • 1998
  • 치협 총무국의 각 지부별 회원현황을 살펴보면 98년 7월 현재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숫자가 785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치과의사면허취득자인 15,957명중 4.92%에 해당하는 것이어서 사실상 고중보건치과치과의사는 치과계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들이 앞으로 치과계를 이끌어갈 젊은 역군임을 감안하면 감히 등한시할 수 없는 것이 또하나 현실이다. 군대를 대신한 공중보건(치과)의사제도 하에서 계약직 공무원인 공중보건치과의사라는 신분으로 지역사회의 구강보건 책임자로서 그들이 하고 있는 사업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난 6월 독자의 소리란에 공중보건치과의사의 생활상에 대한 기사를 요청한 것에 따라 그들의 생활, 고민 등을 들어보고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A Convergence Study about System of Public Health Nurse (공중보건간호사제도 관련 융합연구)

  • Lee, Young-Sh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13-2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was to describe Medical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s' perception of the PHN system, and of the Quality of nursing provided by male nurse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The subject group included medical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d t-test using SPSS 19.0. 77.3% of providers and 66.2% of consumers agree with the PHN system. 81.4% of providers and 70.8% of consumers agreed with the statement that the nurse is the most qualified public health worker. Period of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 (t=7.56, p=.03). The development of nursing experts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strength of the PHN. Quality of nursing Mal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s between groups. Compared to earlier studies, it is to suggest a study that confirms preliminary nurses' psychiatric, social, and communicational nursing.

Health Promotion Practice, Standards and Activities Of Local Health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증진 사업과 표준 설정)

  • Jung H. Cho;Pat V. OConnor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1999.07a
    • /
    • pp.9-36
    • /
    • 1999
  • 21C기를 맞이하면서 미국의 보건소가 당면한 과제는 시민들을 상해질병에서 보호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금세기 초 남녀 평균수명은 50세에 불과하였으나 후반에 이르러서는 남자 평균 수명 72세, 여자 79세로 늘어나게 되었는데 이것은 공중보건의 기여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0년 동안 미국의 보건의료정책은 격변기를 맞았으며 지역사회 병원들은 점차 보건소 활동분야인 예방사업에도 침투하고 있어서 지방보건소 활동과 경쟁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지방보건소는 지역사회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건증진계획을 세워야 했고 동반자의 참여를 절실해하고 있다. 미국 의학연구소는 "공중보건의 장래" 라는 지침서를 발간하였고 10대 필수보건수칙이 지방보건소를 위하여 정해졌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선 지방보건소가 갖추어야 할 사항은 1) 건강 평가 2) 정책수립 3) 행정력 4) 건강증진 계획 5) 시민건강 보호대책 6) 질적 확인 체재수립 7) 직원교육 훈련 8) 지역사회 자발력 및 참여 고취 등이 있다. 보건교육 사업이란 그 과제와 재능과 개념 등이 다양해 이의 포괄적인 수용이 모색되어야하며, 그래서 이 논문은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새 눈의 시야"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보건교육/보건증진" 이란 공중보건의 이론과 실제를 일체화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은 2010년 보건의료 정책수립에 "건강증진/ 보건교육" 역할을 문서화하였고, "보건교육/ 건강증진" 사업은 지역사회 안에서 체계화하여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 시민" 이라는 사회운동의 청사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콜로라도의 "건강한 사회에 건강한시민" 운동을 한 예로 들고 있으며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표준 설정을 위하여 노스캐롤라이나주 지방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표준체제를 예로 들었다. 다음으로, 경제적인 효율면에서 볼 때 "보건교육/건강증진" 사업에는 단기 혹은 장기 투자가치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새로 태어나는 미국 지방 보건소의 "보건교육/건강증진" 활동은 지역 시민 및 그 단체가 광범위하고도 자연 다발적으로 참여할 때만 성공할 수 있다고 결론 지울 수 있다.

  • PDF

Current Status of Work Performance and Support Plan for Public Health Doctors in the COVID-19 Quarantine (코로나19(COVID-19) 방역상황에서 공중보건의사의 업무 수행 현황과 지원방안)

  • Kim, Jin-Suk;Oh, Su-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367-37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work performance of public health doctors(PHDs) involved in quarantine of COVID-19, and to suggest a plan to support PHDs for effective national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HDs mainly performed sample collection, interview, and treatment. 39% of PHDs worked in places without negative pressure facilitie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welfare support were poor.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y experienced high-risk infectious diseases, mental distress, exclusion from the decision-making process, conflicts with officials, problems with work guidelines, and lack of prior education. For effective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assign appropriate ranks and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quarantine, to specify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regulations, to education, and to support ment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