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적 실험 상황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광고 모델의 인종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siting Effects of Endorsers' Race on Attitudes Toward Ad and Brand)

  • 이은선;김여정;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10-121
    • /
    • 2014
  • 외국인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 시장에서 인종별 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이 대표적인 다인종 사회임을 고려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광고모델의 인종, 상황적 맥락, 제품 유형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모델 인종: 흑인/백인) X 2(실험상황: 사적/공적) X 2(제품유형: 고관여 이성/저관여 감성) 혼합요인 설계를 이용하였고, 인상 관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백인 피험자들은 자동차 광고 모델이 백인일 때 공적인 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조건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한 반면에, 모델이 흑인일 때는 실험 상황에 따른 태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모델을 사용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AI 중소기업 바우처 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PSM-DID 결합모형을 활용한 정책효과 분석 (The Impact of Voucher Support on Economic Performance for AI Companies: Policy Effectiveness Analysis using PSM-DID Model)

  • 최석원;이주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57-69
    • /
    • 2023
  •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전환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AI 기업 육성이나 AI 산업생태계 환경조성은 더디기만 하다. 정부는 대내외적으로 힘든 경제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거액의 공적자금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미진하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성향점수매칭(PSM)과 이중차분법(DID)을 활용하여 정부 인공지능 솔루션 바우처 지원 사업이 수혜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정책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공개한 AI 중소기업 정보 중 바우처 지원 이력이 있는 461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 이후 매출 실적을 활용해 PSM-DID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혜기업은 정부지원 이후 자산증가, 임금, 연구개발비 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반면, 수익측면에서는 유의미한 기여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AI 바우처 정책사업이 단기적으로 기업 외형성장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였으나 수익창출 여부는 중장기적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