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유 화이트보드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43초

SyncNote: XMPP를 지원하는 공유 화이트보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SyncNote: A Shared Whiteboard Android Application Supporting the XMPP)

  • 진재환;박종문;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75-1382
    • /
    • 2013
  • 공유 화이트보드는 여러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그림 작업장을 제공한다. 공유 화이트보드는 협업이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그리기 도구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상 회의와 같은 공동 작업에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화이트보드 기능을 제공하는 XMPP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인 SyncNote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공유 화이트보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픈 표준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인 XMPP의 확장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SyncNote 어플리케이션은 그룹 사용자들에 의하여 생성된 그림과 이미지의 공유를 통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

홈 네트워크 기반에서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공간을 위한 화이트보드 (A Whiteboard for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Space based on Home Network)

  • 고응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43
    • /
    • 2014
  •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기반에서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공간을 위한 화이트보드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공동 작업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다른 참여자들에게 같은 뷰로써 공유된 미디어들을 참조할 수 있도록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이트보드를 통하여 미디어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논문은 규칙-기반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면서 분산 멀티미디어 상에서 화이트보드를 이용한 미디어 데이터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설명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모바일 공유 화이트보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Shared Whiteboard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 경도준;최병광;이장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4-165
    • /
    • 2016
  • 최근 리소스의 규모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상에서 그림, 문자입력을 공유 할 수 있는 화이트보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의 사용자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의 화이트보드에서 사용자가 그림이나 문자를 그리게 되면 그 데이터는 AWS(Amazon Web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서버를 통해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브로드캐스트하며 그 후 클라이언트들은 받은 데이터를 자신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본 시스템은 웹서비스만으로 서버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서버증축이 가능하다.

원격 교육 시스템의 화이트보드 구현시 고려 사항 (Implementation Issues in Whiteboards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 이재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09-214
    • /
    • 1998
  •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전과 초고속의 네트워크의 출현으로 지리적으로는 떨어져 있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교사와 학생간에 동기식 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원격 교육과 비교하여 볼 때, 이러한 학습은 매우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과 상호 협력을 제공하지만 전통적인 교실에서의 수업과 비교하여 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매우 중대한 결점들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의 동기식 학습 시스템은 오디오, 비디오, 문서 편집을 제공하는 비디오 컨퍼런싱 기술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교수 과정의 조절, 손을 드는 행위, 지적 표시 등과 같은 특별한 교수 방법은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두된 개념이 공유 화이트보드이다. 화이트보드는 전통적인 칠판의 전자적인 대체물로 이를 통해 원격 학습에 임하는 교사와 학생들이 전통적인 교실의 칠판의 이점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이트보드 구현시 고려 사항인 시스템 구조와 동시성 제어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살펴본다.

  • PDF

지식관리시스템(KMS)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메신저의 역할 (The Roles of Realtime Multimedia Messenger in KMS)

  • 고대식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E-Business 활성화를 위한 첨단 정보기술
    • /
    • pp.31-36
    • /
    • 2001
  •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원격 공동연구에서 Lab Note의 URL 동기화에 관한 연구 (URL Syncronization Mechanism of Lab Note in Collaborative Research Environment)

  • 김경하;황대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81-28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PC기반의 원격공동 연구 플랫폼에서 제공될 동기모드의 공동작업 서비스 중의 하나인 화상회의 시스템에 사용될 Lab Note의 URL동기화에 대해서 논의한다. 오디오, 비디오, 화이트보드의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화상회이 시스템에 인터넷 환경에서 HTML형식의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Lab Note 를 설계하였다. 세션이 진행 중일 경우, 모든 사용자는 Lab Note를 통해 HTML문서를 공유하게 되고 이를 위해서는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 간의 URL동기화 작업이 필요하다.

  • PDF

RTP 기반의 텔리포인팅 모듈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RTP-Based Telepointing Module)

  • 전재우;오삼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55-158
    • /
    • 2000
  • 텔리포인팅은 지역 시스템의 공유윈도우에서 텔리포인터를 통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원격지 시스템의 공유윈도우에 동기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텔리포인팅은 다양한 CSCW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텔리포인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응용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응용이 가능한 텔리포인팅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텔리포인팅 모듈은 텔리포인팅 이벤트의 송수신을 위해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사용한다. 구현된 모듈이 잘 동작함을 보이기 위해 다가간의 텔리포인팅을 지원하는 화이트보드를 구현하고 인터넷 상에서 시연하였다.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을 위한 화이트보드에서의 오류 감지 (An Error Detection running on White Board for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s of Home Network Environment)

  • 고웅남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49-52
    • /
    • 2008
  •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을 위한 소프트웨어 오류를 감지하기에 적합한 에이전트이다. 이 시스템은 ED, ES로 구성되어 있다. ED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을 위하여 훅 킹 기법으로 오류를 감지하는 에이전트이다. ES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을 위하여 오류를 공유하는 에이전트이다.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의 관점에서 오류 공유는 협동 작업에 참가하는 참가자에게 상호작용적으로 오류를 공유한다.

  • PDF

화이트 보드와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웹 기반 공동작업 지원 시스템 (A Web-based Collaboration Supporting System Including the White board and the Chatting Facility)

  • 신근재;성미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224-22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목적의 공동 작업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랫폼에 독립접인 웹 기반의 화이트 보드와 채팅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JAVA로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플랫폼에 독립적인 서버 시스템(application)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클라인언트의 접속이 가능하다. 멀티유저와 멀티작업그룹을 지원하기 위해서 서버에는 접속 관리자와 세션 관리자를 두었으며, 각각 쓰레드로 동작하여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또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웹 사이트와 MS Office 문서의 공유, 1:1대화, 작업 포인터 등의 기능을 지원하여 공동 작업의 효율을 증진시키고, 마치 동일한 공간에서 작업하고 있는 듯한 효과를 얻게 하였다.

  • PDF

동기적 웹 브라우저 공유를 지원하는 협동작업 시스템 (A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Web Browser Sharing)

  • 김문석;성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3호
    • /
    • pp.283-287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작업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동기적 EH는 비동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최근의 협동작업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이제 더 이상 웹 상에서의 협동작업 도구를 메일, 채팅, 화이트보드, 화상회의 등에 한정하지 않고 웹 응용 프로그램들을 협동작업 도구에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상용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협동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주소 동기화(URL Synchronization), 스크롤 동기화(Scroll Synchronization) 및 윈도우 크기 동기화(Window Size Synchroniz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터미널에서 웹 브라우저를 동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주소 동기화는 인터넷 브라우징의 이동과 방향을 동기적으로 제어해주고, 폼 동기화는 웹 페이지 입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스크롤 동기화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을 동기적으로 제어하여 웹 브라우저의 출력 내용이 길어질 경우에도 문서 안의 같은 부분을 공유 할 수 있게 하며 윈도우 크기 동기화는 윈도우의 길이와 넓이를 맞춰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