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교통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지식경영에 대한 실증분석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의도를 중심으로

  • Kim, Min-Cheol;Gang, Gyeong-Beom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527-5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항공교통 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실제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요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상호 비교해 봄으로써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 공유문화를 정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항공교통관제사는 지식경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시대적 조류와 이에 따른 지식공유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과 개인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열린 사고가 개인차원 에서 지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더 나아가 동료간의 신뢰와 지식공유에 따른 평가 및 보상이 조직차원에서 주어질 때 더 원활한 지식공유가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 PDF

VTS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박상원;정민지;박혜리;박한선;천민수;유윤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12
    • /
    • 2022
  • 선박교통관제 기본계획에 따라, 우리나라는 '26년까지 전 연안해역에 관제구역을 설치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제구역 사각지대를 없애고 연속적인 관제 실현을 위한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해상교통 및 해양사고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해상교통환경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상교통관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VTS 센터 간 정보공유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IALA에서 권고하고 있는 IVEF 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공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제구역 간 정보공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IALA 표준을 개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 Shin, Doh Kyoum;Byun, Wanhee;Do, MyungSik;Kee, H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3
    • /
    • pp.14-33
    • /
    • 2019
  • MaaS, which provides all-in-one service for comfort mobility for customers, has been popularly researched and developed mainly in Europe. Even in Korea, the research on MaaS is also carried out which is fit to the mobility environment and needs of Korea.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LH) also carries out research on MaaS called 'Integrated Mobility' for the residents living in LH public apartments. This study categorised the around 800 public apartments into 12 groups based on 3 key characteristics, then analysed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by the residents of representing apartments for the each group using C&R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such as car-sharing and ride-sharing (carpool) were higher in the apartments which are located in medium or small cities or lived by the more handicapped resident groups in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s and bounded ertain areas such as apartments or districts and then to introduce shared transport service fit to target areas.

Research on Service Design of the Sharing Taxi Safety For Female Passengers in their 20s and 30s (20-30대 여성 승객을 위한 공유택시 안전 서비스디자인 연구)

  • YIN, JINGJI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5-326
    • /
    • 2019
  • 서비스화(servitization)와 공유경제 패러다임이 확산되면서 서비스 산업에서도 IT기술을 융합시킨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비즈니스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있다. 특히 대중교통 서비스 산업에서 우버(Uber) 택시는 IT기술과 공유경제 개념을 절묘하게 접목시킨 새로운 차원의 성공적인 공유택시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매김하였고, IT기술을 적용한 교통예약 소프트웨어는 공유택시의 차별적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은 택시이용자에게 신속하고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교통체증으로 인한 스트레스 완화 등의 많은 사회적 혜택과 이익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보다 진보된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이 공유택시에 접목되면서 공유택시 이용객이 급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공유택시 차별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시장의 경쟁도 가속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용객을 대상으로 강력범죄 발생빈도 증가와 이로 인한 부정적인 여론의 급속한 확산은 공유택시 산업발전에 심각한 방해요인이 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택시 예약 프로그램에 이용객의 안전을 위한 컨텐츠 개발과 적용을 통해 공유택시 이용객의 불안해소와 공유택시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중국현지의 공유택시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고객여정맵(CJM)과 Kano 분석을 통해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Sharing of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해상교통정보의 수집, 관리 및 공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Gil-Ho;Song, Chae-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4
    • /
    • pp.515-524
    • /
    • 2022
  • To effectively collect, manage, and share the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echnology trends concerning this particular information and analyze it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s the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trends involving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while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collecting, managing, and sharing it.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problems in the collecting stage are difficulties in collecting visual information from long-distance radars, CCTVs, and cameras in areas outside the LTE network coverage. Notably, this explains the challenges in detecting smuggling ships entering the territorial waters through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in the early stage. The problems in the management stage include difficult reductions and expansions of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caused by the lack of flexibility in storage spaces mostly constructed by the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Additionally, it is challenging to deal with system failure with system redundancy and backup as a countermeasure. Furthermore, the problems in the sharing stage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share information with external operating organizations since the internal network is mainly used to share maritime transportation information. If at all through the government cloud via platforms such as LRIT and SASS, it often fails to effectively provide various S/W applications that help use maritime big data.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llecting equipment such as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atellites should be constructed to expand collecting areas in the collecting stage. In the management and sharing stages, the int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private clouds are suggested, considering the operational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disclosure of each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Through these efforts, an enhancement of the expertise and security of clouds is expected.

Development of Medical Electric Scooter Sharing Platform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교통 약자를 위한 전동차 공유 플랫폼 개발)

  • Joo, Jong-Yul;Song, Hwa-Jung;Oh, Jae-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323-1328
    • /
    • 202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dical electric scooter sharing platform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in moving. The proposed medical electric scooter sharing platform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cludes basic mobile rental, return, and functions that incorporate the IOT technology of the currently operating personal mobility sharing platform. The safety function has been strengthened. The medical electric scooter sharing platform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stores driving data on the server in real time through GPS, and strengthens the alarm and call function in advance of an accident to enable rapid SOS processing. By making the quick contact and responding to the situa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drive safely and comfortably.

사용자 참여 유도를 통한 선박통신 양방향 소통형 리빙랩 운영 구축에 관한 연구

  • 김효정;장상진;송태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32-134
    • /
    • 2023
  • 최근 해양·선박 분야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에 있어 중요한 것은 같은 문제를 공유하고 있는 실사용자들의 경험에 기반한 의견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의 통신과 관련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분야에서의 연구·실험과 관련된 사용자 환경을 분석하고, 그들의 의견·경험 공유를 위한 리빙랩(Living Lab) 체계를 구축하여 이러한 연구 현황 및 운영 방안, 향후 계획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lanning Routes of Bicycle Lanes in Suwon City Using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원시 자전거 전용차로 도입 방안)

  • Kim, Suk Hee;Kim, Hyung Jun;Lee, Nam 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1
    • /
    • pp.45-56
    • /
    • 2022
  • Recently, bicycle sharing system is introduced and the usage of shared bicycles is increasing in Suwon city. Despite the need to expand the bicycle road infrastructure, this is not the case.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a method for bicycle lane installation in Suwon city. For this, this research conducted location analysis based on the shared bicycle usage data and trip inducing facility data. Using location analysis results, appropriate routes for bicycle lanes are selected. As a result, two routes are selected. These routes have advantages that it is easy to connect with the existing bicycle roads or traffic inducing facilities and to install using the existing bicycle roads. However, these routes also have disadvantage that traffic congestion may occur due to the occupancy of the existing road spac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bicycle lane infrastructure, the bicycle and PM sharing service usag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in Suwon city.

TTA 교통모델 기반의 GML 응용 시스템 실험 구축

  • Kim, Hak-Hun;Lee, Gi-W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01-104
    • /
    • 2005
  •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는 2004년 말에 우리나라 교통 분야 지리정보 데이터 표준 모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TTA 모델은 지리정보의 수요증대와 더불어 적절한 교통 분야 지리정보 데이터의 공유, 교환 및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축뿐만 아니라 응용측면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TTA 교통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국제적 지리정보 엔코딩 표준방식인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처리가 가능한 시험적인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여 웹 기반에서의 TTA 교통모델의 실무적 적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 응용 도메인에서의 OGC 국제 표준인 GML의 적합성을 검증해 볼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을 통한 응용 분야에서 별도로 구축된 지리정보의 공유 및 교환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주요 응용 분야에서의 GIS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반 구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