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유개념도

Search Result 90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inking OntoCloud to WordNet (OntoCloud와 워드넷 연결)

  • Park, Kwang-Hee;Kim, Eun-Kyung;Choi, DongHy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172-17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키피디아의 '틀(temp late)'을 기조로 하여 작성된 온톨로지인 OntoCloud의 신뢰도를 보장하고 공유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어휘집합체인 워드넷(WordNet)과의 매핑을 한다. 온톨로지 매핑 기술은 온톨로지 개발 기술의 한 방법으로, 서로 비슷한 도메인을 대상으로 이미 구축되어진 서로 다른 다수의 온롤로지를 연결시킴으로서 하나의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연결망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OntoCloud와 워드넷을 두개의 온톨로지로 정의하고 각 온톨로지의 개념에 대한 정의문 비교 방법을 통해서 두개의 온톨로지에 존재하는 유사한 개념을 연결한다. 이렇게 매핑된 정보들은 OntoCloud 개념을 워드넷 어휘로 연결함으로써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 워드넷에 연결된 다른 시소러스 (예: SUMO, CoreNet 등)와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한다. 또한 온톨로지의 상하위 계층정보를 자동으로 보강하는 등의 OntoCloud 유지보수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두개의 서로 다른 온톨로지의 정의문에 사용된 어휘의 겹침 정도로 두개의 개념의 유사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약 73%의 개념 매핑에 성공하였으나, 추후 매핑 프로세스의 전처리 과정(약자 처리 및 복합명사 대응 모듈)을 추가하고 온톨로지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유사 개념 자동 매핑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Ontology-based Image Understanding Systems (온톨로지 기반 영상이해 시스템)

  • Lee, In-K.;Seo, Suk-T.;Jeong, Hye-C.;Son, Seo-H.;Kwon, Soon-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3
    • /
    • pp.328-335
    • /
    • 2007
  • Ontology is represented by the shared concepts and relations among those. Many studies have been actively working on sharing human's knowledge with that of systems by using it. For a typical example, there i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tology system for image understanding. However conventional studies on ontology-based image understanding have proposed not concrete methods but conceptual idea.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ntology-based image understanding system with following four processes: i)knowledge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domain by the ontology, ii)feature extraction of objects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image analysis, iii)image interpretation by object features, and iv)reduction of ambiguity existing in image interpretation by ontology reasoning. We implement an image understanding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processed, and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from experimental results in a specific domain.

A Synchronization Error Control System for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웹 기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 환경에서의 동기화 오류 제어 시스템)

  • Ko, Eung-Nam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1
    • /
    • pp.45-52
    • /
    • 2004
  • We propose ESS_WMCE. This paper explain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EDSS running on ESS_WMCE. EDSS is a synchronization error control system for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We have an error detection approach by using hooking method. The technique of an error transmission is a mended model of utilizing an application sharing system. DOORAE is a good framework model for supporting development on application for computer supported cooperated works. It has primitive service functions. Service functions are implemented with an object oriented concept. It is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detecting and sharing a software error rapidly occurring on web based multimedia collaboration environment by using software techniques. It is able to share an error as well as providing URL synchronization to access shared objects. When an error occurs, this system detects an error by using hooking methods in MS-Windows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function. If an error is found, it is able to provide an error sharing to access shared objects.

Development of MDA-based Subsurface Spatial Ontology Model for Semantic Sharing (시멘틱 공유를 위한 MDA기반 지하공간정보 온톨로지 모델 개발)

  • Lee, Sang-Hoon;Chang, Pyoung-W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21-129
    • /
    • 2009
  • Today, it is difficult to re-use and share spati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explosive growth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and specific characters of spatial information accumulated by diverse local agency. A spatial analysis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one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eeds relate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ical map, geologic map, underground facility map, etc. However, current methods using standard format or spatial datawarehouse cannot consider a se-mantic hetergenity. In this paper, the layered ontology model which consists of generic concept, measuremnt scale, spatial model, and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has developed. Also, the current ontology building method pertained to human experts is a expensive and time-consuming process. We have developed the MDA-based metamodel(UML Profile) of ontology that can be a easy under-standing and flexiblity of environment change. The semantic quality of devleoped ontology model has evaluated by reasoning engine, Pellet. We expect to improve a semantic sharing, and strengthen capacities for developing GIS experts system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ability of ontology.

  • PDF

Trave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 on Bridge XMDR (브리지 XMDR 기반의 여행정보 검색 시스템)

  • Kim Ik-Han;Kook Yoon-Kyu;Eum Young-Hyun;Jung Kye-Dong;Choi Yo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103-105
    • /
    • 2006
  • 최근 기업들은 분산된 조직과 각 조직의 목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도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간의 공유 및 협업을 통한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 어려우므로 일관적인 형태로 연동하기 위해서 메타데이터 수준의 표준이 필요하다. 또한 협업적인 거래환경에서의 EAI시스템은 다양한 정보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지식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공유함으로서 효율적인 검색 및 비용절감 등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은 특정 목적에 따라 관리되고 공유되므로 사실상 통합 외 공유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XMDR은 온톨로지와 메타데이터 결합된 형태로 각종 표준들을 일관적인 형태로 온톨로지와 시소러스 개념을 도입함으로서 데이터수준의 정보를 통합 하기위한 메타데이터 공유 및 정보 시스템 통합의 일관성을 유지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브리지 XMDR 검색시스템은 원시데이터 계층, XMDR 계층. 브리지 XMDR 계층으로 3계층으로 구성된다. XMDR 계층은 분산된 데이터베이스의 속성표현의 표준과 관계성을 정의한 표준 온톨로지, 카테고리 분류 온틀로지, 사이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로케이션 온톨로지로 구성되는 XMDR을 정의한다. 브리지 XMDR 계층은 XMDR간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 도메인 속성을 추출한 하이브리드 통합방식으로 업무간의 의미적 통합이 가능하다.

  • PDF

속성기반 암호기술

  • Park, Kwang-Yong;Song, You-Jin
    • Review of KIISC
    • /
    • v.20 no.2
    • /
    • pp.85-92
    • /
    • 2010
  • 인터넷상에서 각종 민감한 데이터들이 공유 유통되어지는 가운데 외부공격자나 내부사용자의 관리 미흡으로 인해 데이터 유출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암호방식으로 본 논문에서는 ID기반 암호의 확장된 개념의 속성 기반 암호방식에 대해 검토한다. 그리고 속성기반 프록시 재암호화 방식도 함께 검토 하였다.

Cross Domain Solution 소개, 실태조사 및 구현방안

  • Kim, Shi-Ju
    • Review of KIISC
    • /
    • v.22 no.1
    • /
    • pp.58-72
    • /
    • 2012
  • 본 연구보고서는 우리 국방환경에 적합한 CDS(Cross Domain Solution) 개발계획에 이론적 기저를 제공하기 위해 CDS 개념소개, 개발실태 조사, 교차영역(Cross domain)간 정보공유패턴 연구, 미래 웹 환경 및 네트워크 중심환경에 적합한 솔루션 연구결과를 제시하며, CDS 개발을 지원하는 상용 프레임워크 소개와 더불어 인증 및 인정 프로세스에 관해 설명한다.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표준화기술의 동향

  • Choe, Jin-Uk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3
    • /
    • pp.84-89
    • /
    • 2000
  • 의료정보 표준화는 의료행위를 나타내는 용어의 표준화에서부터 진료기록의 형식 및 서식, 컴퓨터를 통하여 의로 정보들을 교환하는 방법, 이에 필요한 기자재 등을 약속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의료정보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는 용어의 표현 및 그 사용범주를 모두 공통된 개념으로 받아들여야만 진료행위 및 이에 관련된 모든 업무에서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 PDF

The Study about Communication Efficiency of FH and LBT System for Common Frequency Band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FH와 LBT시스템의 통신효율에 관한 연구)

  • Jo, Seung-Il;Gang, Sang-Gi;Hwang, Taek-Jin;Hong, Heon-Jin;Cha, Jae-Sang;Lee, Il-Gyu;Yang, Chung-Mo;Kim, Se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481-484
    • /
    • 2007
  • 무선통신이 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현재의 Ubiquitous 사회에서 가장 크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점이 주파수의 부족이다.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 방안의 하나로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기술들을 임의의 대역에서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공유 주파수 대역이 실현되면 임의의 대역에서 간섭회피기술인 FH와 LBT시스템의 공존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수별로 사용자수에 따라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수의 throughput을 분석한 FH와 LBT시스템의 통신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임의의 주파수대역에서 FH와 LBT시스템이 같이 사용될 경우에 LBT시스템의 우수한 채널점유능력 때문에 FH시스템의 통신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LBT시스템의 파라미터 중 동 채널사용 시 지연시간을 늘려주거나, 채널점유시간을 줄여주는 방법으로 FH시스템의 통신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A Study on the Open Access Model for Scholarly Communication (정보공유적 모델 기반의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저작권을 중심으로)

  • 정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4
    • /
    • pp.384-399
    • /
    • 2002
  • The ownership of scholarly communication, i.e. copyright is very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of access to many academic journals in net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conceptual model for the open access based scholarly communication. The main point of this model is for the authors of research paper to retain copyright on their works and to license the work whenever it is reproduced or redistributed for non-profit use with academic purpose. And library have to construct full text journal databases under this open acces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