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연자막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Foreigner Tourists Acceptance of Surtitle Information Service: Focusing on Transformed TAM and Effects of Perceived Risks (외국 관광객의 공연자막 서비스 수용에 관한 연구 - 변형된 기술수용모형과 인지된 위험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 Kim, Seoung Gon;Heo, Shik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50
    • /
    • pp.213-241
    • /
    • 2019
  • Recently, many interests in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performing arts for the city's tourist attraction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policy projects supporting surtitle for foreign tourists are expan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ceptance process of subtitle systems using the TAM(Technical Acceptance Model) to understand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factors affecting the viewing of the performance of subtitling service by foreign tourists.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in a survey of foreign tourists who had experienced performance subtitles with smart pads in three langu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information system quality of the performance subtitles,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subtitles. Second, for Korean performances, the decreasing level of both the performance-based risk and the psychological risk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viewing intent. But, the decreasing level of the financial risk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viewing intent. Third, the decreasing level of performance risk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while the decreasing level of psychological risk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Finally, the psychological risk ha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viewing intention, which i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해방 후의 일본번역극에 대한 고찰: 198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 Lee, Hong-Lee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5
    • /
    • pp.183-210
    • /
    • 2012
  • 이 조사는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에서 공연된 일본번역극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서구연극의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일본연극은 2000년대 이후에서야 거론되기 시작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일제강점기 이후 정책적으로 일본문화를 차단시켜 일본연극을 접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이다. 해방 후 최초로 원작명과 원작자의 이름이 밝혀진 상태로 번역 공연된 일본작품은 <고독한 영웅>(1969)이다. 이후 1982년에 이노우에 히사시 작의 <어미-화장->이 오태석의 연출로 무대에 올랐고, 85년에는 아베 고보의 <친구들>, 쓰카 고헤이의 <뜨거운 바다> 등이 소개되었다. 이 세 작품은 모두 재연이 되었는데, 특히 쓰카 고헤이의 작품은 본인의 연출에 의한 재연뿐 아니라, 한국연출가들에 의해 재해석되어 최근까지 재연이 이루어진 사례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화개방 이전에 번안 각색된 일본연극이 많이 소개되었다고 하더라도, 일본연극의 '번역'으로, 그들의 다른 문화와 다른 연극 만들기 방식을 볼 수 있었던 것은 의의있는 체험이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곧, 해방 전 절대적인 영향관계에 놓여있었던 한일 연극이 동등한 타자로서의 관계를 성립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서양 작품이 대부분인 번역극 중에서, 이들 작품은 한국의 제작 측과 관객으로부터 어떠한 기대를 받았을까? 번역된 작품들에서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은 어렵지만, 같은 시기 일본극단의 내한공연을 함께 살펴보면 재일교포의 이야기를 하거나 재일교포 작가의 작품이 다수 발견된다. 그러나 그 공연들이 곧 재일교포 문제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일본극단의 공연이 자막조차 제공하지 않은 채 진행된 경우가 많아 텍스트에 대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번역극의 경우에서조차 텍스트 분석과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했다. 그렇다면 결국 우리가 일본연극을 통해 보고자 했던 것은 무엇일까? 해방 후부터 1980년대까지, 어떤 일본작품이 우리에게 소개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소개되었는지 검토하는 일은, 서구번역극과 차별되는 일본번역극을 통해 궁극적으로 당시 한국연극이 추구하던 방향을 되돌아볼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