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시성

Search Result 2,38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한국기업의 M&A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u-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55-27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인수 합병(M&A)과 관련하여 풍문 설이 유포되었을 때 사건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조회공시를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의 결과는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정확하지만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공시 전에는 주가의 상승정도가 미미하여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적지만 공시내용의 확인을 거치면서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여 부인공시의 수익률을 초월하여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이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은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항상 낮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풍문이 사실과 거리가 있을수록 관련된 투자자들이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비합리적인 주장을 뒷받침 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M&A의 풍문에 대하여 사실무근이라는 유권해석이 투자자의 초과수익률에 나쁜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The Efficiency of Disclosure of Inquiry to Koreas Equity Offerings: The Shareholders Perspective (한국기업의 증자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ou-Tay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157-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증자와 관련하여 풍문설이 유포되었을 때 그에 대한 조회공시의 내용을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나누고, 사건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 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 현상은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조회공시 후에 번복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하지만 시장이 이를 자본화(Capitalize)하지 않아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주가의 상승정도는 다른 조회공시에 비하여 약하지만 공시 당일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t=0때 2.12%)을 기록하여 확인공시의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중 공시나 부인 공시의 경우, 확연하게 조회의 내용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전달이 되지는 못하지만, 소문이나 풍문의 진위가 추후에 지연되면서 시장에 반영이 되는 듯하여(특히 무상 증자설 부인의 경우)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이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막연한 풍문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권가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증자에 대한 풍문은 그 진위여부나 실시시기에 관계없이 사후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 and Market Efficiency (유상증자공시와 시장효율성)

  • Chung, Hyun-Chul;Jeong, Yo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5 no.3
    • /
    • pp.79-109
    • /
    • 2008
  • According to asymmetric information hypothesis (for example, Ross (1977), Myers and Majluf (1984)), the impa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 depends mainly on the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this fact, most of the previous SEO-related studies have done under the assumption of equal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among sample firms. This study intends to solve this problematic assumption and explores the real impact of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 122 SEO firms into two subgroups; one with firms from KOSPI200 and the other including firms from the rest of KOSPI, assuming the former is more informationally efficient than the latter. Different from the US market-based study demonstrating short-and long-term negative price impacts of SEO announcement, most of the Korean market-based ones show price increases up until the announcement and decreases just after the announcement and in the long run. These previous studies attribute this difference to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between them.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discrepancy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degree of market efficiency as well as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 PDF

Market Efficiency in Real-time : Evidence from the Korea Stock Exchange (한국유가증권시장의 실시간 정보 효율성 검증)

  • Lee, Woo-Baik;Choi, Woo-S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3
    • /
    • pp.103-138
    • /
    • 2009
  • In this article we examine a unique data set of intraday fair disclosure(FD) releases to shed light on market efficiency within the trading day.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 the response of stock prices on fair disclosure disseminated in real-time through KIND(Korea Investor's Network for Disclosure) on Korea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04. We find that the prices of stock experiences a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ginning seconds after the fair disclosure is initially announced and lasting approximately two minutes. The stock price responds more strongly to fair disclosure on smaller firm but the response to fair disclosure on the largest firm stock is more gradual, lasting five minutes. We also examine the profitability of a short-term trading strategy based on dissemination of fair disclosure. After controlling for trading costs we find that trader who execute a trade following initial disclosure generate negative profits, but trader buying stock before initial disclosure realiz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profit after two minute of disclosure. Summarizing overall results, our evidence supports that security prices on Korea stock exchange reflects all available information within two minutes and the Korea stock market is semi-strongly efficient enough that a trader cannot generate profits based on widely disseminated news unless he acts almost immediately.

  • PDF

대학 경영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의 공시

  • Yu, Hui-Gyeong
    • 대학교육
    • /
    • s.93
    • /
    • pp.54-64
    • /
    • 1998
  • 대학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의 공유는 대학의 정직성과 신뢰성을 획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제이다. 대학 정보의 공시로 가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집단은 경쟁 대학, 지역사회, 교육당국 등 외부 정보 이용자가 아니라 대학(관리자) 자신이다. 왜냐하면 공시된 정보는 대학을 진정한 가치로 평가받도록 하고, 대학에 대한 외부 인식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몇몇 일간지에 대차대조표 등을 공시하는 것보다 대학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 공시를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Disclosure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 정보공시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Gu, Jung-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4 no.1
    • /
    • pp.137-15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related to the school librar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by grasping its problems. In order to do that, we examined the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tandards in school libraries in Korea. The actual state of information disclosure on 13 items related to school libraries was analyzed, using S High School in Seoul as a case study. In addition, in understanding the values of school libraries easily and informing them exactly through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it was judged that the forms and guides for disclosure and the level of school introduction services were somewhat insufficient. On the basis of that, some improvements were proposed, which could help to mak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in school libraries more efficient.

Content Analysis of Voluntary Environmental Disclosure Made in Stand-alone Environmental Reports or Company Web-sites: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Disclosure Quality,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환경보고서 혹은 웹사이트를 통한 자발적 환경공시의 내용분석: 환경성과 및 경제적 성과와의 동시적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Choi, Jong-Seo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3
    • /
    • pp.69-114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oluntary corporat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via stand-alone environmental reports or company web-sites. Quality of disclosure was assess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index proposed by Clarkson et al. (2008) based on GRI guidelines. Descriptive statistics on disclosure scores by category suggest that the level of disclosure is low relative to the expectation implied by the GRI reporting guidelines, and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Specific areas where improvement is required include the disclosure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icators.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toxic wastes that was treated or processed by each firm and economic performance, by industry-adjusted annual return, which was subject to a series of association tests designed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 among environmental disclosur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individual equation approach based on OLS procedures suggest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discretionary environmental disclosures, which is not the case between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n integrated analysis using simultaneous equations approach does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ree constructs, suggesting the lack of endogeneity, inconsistent with Al-Tuwaijri et al. (2004). Additional analysis assesses the level of environmental disclosure made in footnotes to the audited annual reports, which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disclosure is very low and that footnote disclosure does not serve as a meaningful channel for the provision of corporate environmental information.

  • PDF

A Study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 Seoul (공시지가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 Jin, Dong-Suk;Choi, Yun-Soo;Kim, Jae-Myeong;Yoon, Ha-su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0 no.2
    • /
    • pp.133-153
    • /
    • 2020
  •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has been the index of South Korea since 1989 throughout different sectors of tax and welfar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s used as a tax valuation for the tax on property holdings, and the equity of su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air taxation for the people of South Korea. On this wise, this research analyzed and verifi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equity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 Seoul by using the real transaction data between 2016 and 2018. In fact, Seoul's assessment ratio for the entire three-year period was 60.64% and it showed to increase each year. Horizontal equity was found to be most favorable in 2017, and the horizontal equity of each borough of Seoul appeared to improve each year. Vertical inequity was found to have reverse inequality in most boroughs of Seoul, however, some parts of Gangnam districts such as Gangnam-gu, Seocho-gu, and Gangdong-gu presented progressive inequality. Such example showe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erms of balance by each borough. The use of quantile regression demonstrated reverse inequality in most quantile, but, the differences in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by each quantile showe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with the equity of each quantile. Through the equity verification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t was analyzed that the lack of equity was found by year, by borough, and by use district. In order to redeem the lack of equity, the government must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real-estate disclosure system by initiating ratio studies to verify horizontal and vertical equity.

통신사업자의 통신망 공시제도에 관한 사례 연구 - 우리나라와 미국을 중심으로 -

  • 백종현;김용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5-128
    • /
    • 2000
  • 1996년 통신법의 개정이후 미국의 주된 통신정책의 기본원칙은 시장주체의 자율적 조정메커니즘의 함양, 경쟁을 위한 신규서비스 기술의 유연한 채택의 보장 등으로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것을 보장하는 장치로 대표적인 것은 표준화 기구에 의한 통신기술표준화 활동이 있을 수 있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통신사업자에 부가되는 통신망 공시 및 통신설비의 제조가 허가된 BOC들이 개발하는 기술규격의 공시 역시도 일정부분 기여하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도 역시 이를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등에 기간통신사업자의 정보제공형식으로 공시의무를 부여함으로써 외형적으로 통신사업자 설비 설치의 투명성 제고 및 통신망간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와 미국 통신사업자의 통신망 공시제도 절차 및 운영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공시체계의 정립에 시사점을 제공코자 한다.

  • PDF

Comovements between Nonlinear Markov Processes and Security Pricing (비선형(非線型) 마코브과정 간의 공시운동(共時運動)과 증권의 가격결정(價格決定))

  • Rhee, Il-Ki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2
    • /
    • pp.125-141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비선형 마코브과정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며 비선형 마코브과정간에 공시운동이 존재하고 이 공시운동에 의하여 주가가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시운동은 벡터시계열을 구성하고 있는 단일시계열들의 작용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계이다. 종합주가지수를 비롯한 산업별 주가지수가 모두 41개인데 이 지수들의 수익률 시계열들이 비선형 마코브과정을 데이터 생성함수로하여 생성된다고 할 때 정상성 어고딕성이 성립하고 있는 지수수익률시계열이 있고 그렇지 않은 시계열도 있다. 종합주가지수와 대기업, 소기업은 정상적 어고딕 비선형 마코브과정을 따르고 있다. 비선형 마코브과정의 공시운동은 두 시계열간의 관계이다. 종합주가지수의 수익률 시계열과 각 산업주가지수의 수익률시계열간의 공시운동은 시장 1부, 시장 2부 등을 비롯한 산업에서는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중기업 산업 등을 비롯한 산업에서는 존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