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사현황보고

Search Result 72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f the Demands for Improvements in Speciality Construction Technology (전문건설 업종별 기술 개선을 위한 수요 분석에 관한 연구)

  • Cho, Jaeyong;Lee, Bau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2
    • /
    • pp.24-32
    • /
    • 2022
  • In Korea,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evaluated at a very low level, and the utilization of the elemental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lso very 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atic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emand for technology improvement in the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that is directly in charge of construction in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mproving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and the demand for technology improvement in Korea's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First, the concept and status of classification of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were identified, and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ts construction experts, and the demand for technical improvement of the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was derived by applying AHP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practical reference for policy development, R&D direc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to enhance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nd ultimately will help to present directions to improve the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Effect of Young People's Housing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Willingness for Marriage (청년층의 주거와 취업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Kwanghoon, Hwa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1
    • /
    • pp.1-16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hous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unmarried youth using occupational history data from the 10th-14th (2016-2020) youth panel (YP200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and employment. Their effect on marriage intention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highly educated people, high-wage workers, household heads or economically independent young people, and young people in good financial conditions have a high willingness to marry. Their economic condi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Among the young employed who have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full-time permanent workers,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and highly waged youth showed a strong desire to get married. On the contrary, young people who are insecure temporary/daily workers, workers at small firms, and low-wage workers show a low willingness to marry. In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people who are in a vulnerable state in the labor market are giving up or delaying their marri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policies to provide better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simultaneously, revamp the policy measures to enhance housing conditions.

Going Abroad for Urban Management Projects: A Case Study of Kuwait New Town (도시관리사업의 해외 진출방안 연구: 쿠웨이트 신도시를 대상으로)

  • Lee, Sangheon;Jeong, Yeu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1-15
    • /
    • 2022
  • This study reviews urban infrastructure and housing management in Kuwait to establish a strategy for going abroad in an urban management secto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Kuwait New Town. This study reviews legal systems and governance related to urban infrastructure and housing management as well, offering implications that are collated from international and Korean case studies. By doing so, this paper proposes a governance structure for urban infrastructure and housing management along with key agendas for local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system equivalent to the Korean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is a key to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e (tentatively entitled) 'Housing Management Act' is proposed to specify the scope and the ways of management in mandatory management subject to local conditions. The direction of going abroad, such as the management scope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discus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expanding into othe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that have similar institutional environments to Kuwait in urban infrastructure and housing management.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Determinants in Capital and Non-Capital City Regions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Hwang, Kwangh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21-38
    • /
    • 2022
  • In this study, the hous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re reviewed using data from the 4th - 14th Youth Panel Survey(YP200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period 2010 - 2020.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welling are analysed. As a result, males, highly educated, and employed people are more likely to live in their own homes and apartments, but many of them seem to be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contrary, economically independent young people tend to occupy their dwellings in the form of jeonsei/monthly rent and live in multi-family units, villas, and officetel. To support the youth in overcoming their key issues such as housing affordability, jobs, and marriage, so that they can play their roles, the cost of homeownership and rent should be tailored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Environmental variable selection and synthetic sampl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lgal alert level prediction model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적용한 조류 경보 단계 예측 모델의 정확도 개선)

  • Jin Hwi Kim;Hankyu Lee;Seohyun Byeon;Jae-Ki Shin;Yon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7-517
    • /
    • 2023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및 주요 호소 29지점을 대상으로 조류경보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조류 경보 단계는 실시간 모니터링지점에서 측정되는 유해 조류의 셀농도를 기반으로 발령 단계가 결정된다. 상수원 구간은 관심, 경계, 조류 대발생, 해제 또는 미발생 총 4구간으로 구성되며, 친수 활동 구간의 경우 조류 대발생을 제외한 3구간으로 구성된다. 현재 시행되는 조류 경보제의 목적은 유해 조류 발생 시 사후 대응 방안 마련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특히, 모니터링 주기 확대 여부, 오염원 관리 방안 마련, 조류 제거 여부 등의 의사 결정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조류 경보 단계에 대한 사전 예측이 가능한 경우 유해 조류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 경보 단계의 사전적 예측을 위해 국가 실시간 측정망에서 제공하는 전국 보 모니터링 종합 정보 자료, 기상측정망 자료, 실시간 보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단계 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변수 선택 기법을 활용하여 조류 경보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의 불균형으로 인해 모델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측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변수 선택 및 샘플링 기법을 고려하지 않은 원자료를 사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한 결과 관심 단계(Level-1) 및 경보 단계(Level-2)에 대해 각각 50%, 62.5%의 예측 정확도를 보인 반면 비선형 변수 선택 기법 및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Edited Nearrest Neighbor(SMOTE-ENN)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한 모델에서는 Level-1은 85.7%, Level-2는 75.0%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 PDF

Building the Irrigated Area and Canal Network of Agricultural Reservoir Based on High-Resolution Images (고해상도 영상기반 농업용 저수지 수혜면적 및 수로 네트워크 구축)

  • Yoon, Dong-Hyun;Nam, Won-Ho;Jung, In-Kyun;Bae, Kyoung-Ho;Cho,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29
    • /
    • 2021
  • 최근 물 사용에 대한 각 부문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우리나라 수자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생활용수, 공업용수와 달리 경험에 기반한 관행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농업용수의 체계적 관리와 분석을 위해 최신화된 수혜면적 파악 및 수혜구역 내 수로 네트워크 구축은 필수적 요소이다. 현재 활용하고 있는 농업용 저수지 수혜면적 및 수로 자료는 한국농어촌공사의 RIMS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자료의 경우 준공 당시 설계기준으로 작성되거나 수년 전 갱신된 자료로 최신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직접 측량을 통한 자료 취득 또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맵과 같은 대체, 보완자료가 활용되고 있다. 직접 측량의 경우 최신화된 정확한 자료 취득이 가능하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스마트팜맵의 경우 취득 주기가 1~2년으로 주기에 따라 최신자료의 활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산정 시간 단축 및 최신자료 취득을 위해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여주시 삼합저수지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영상자료로는 위성영상, 항공영상, 드론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위성영상의 경우 구글어스 프로의 2020년 11월 고해상도 영상, 국토리지정보원의 2019~2020년 51cm급 항공 영상, 2020년 10월 촬영한 4cm급 드론영상을 사용하였다. 수혜면적 산정은 기존 RIMS 자료와 스마트팜맵을 통해 확인한 수혜면적에서 영상을 통해 확인한 토지이용 변경지역을 추출하여 재산정하였으며, 수로 네트워크의 경우 RIMS 자료를 기반으로 드론영상을 통해 확인된 수로 추가 및 DEM (Digital Elevation Model) 영상을 활용한 용수 흐름도 작성을 통해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산정한 수혜면적과 수로 네트워크는 정확한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 산정, 관개 효율 분석 등과 같은 농업용수 분석 전반에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Occurrence Probability of Socioeconomic Damage Caused by Meteorological Drought Using Categorical Data Analysis (범주형 자료 분석을 활용한 사회경제적 가뭄 피해 발생확률 산정 : 충청북도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Yu, Ji Soo;Yoo, Jiyoung;Kim, Min-ji;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8-348
    • /
    • 2021
  • 가뭄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가뭄 발생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예측기술을 향상시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뭄분석에 활용되는 가뭄지표는 연속형 변수로 간주하여 확률모형을 구축하지만, 가뭄상태와 가뭄피해 자료는 순서형 및 이산형 변수이므로 범주형 자료 분석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과 피해발생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범주형 자료 분석 방법 중 로그선형(log-linear) 모형과 로지스틱(logistic)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가뭄피해 예측을 위한 가뭄 피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가뭄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종류가 다양하며, 여러 분야의 이해관계자가 받아들이는 가뭄의 피해 양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가뭄정보포털(drought.go.kr)에서 충청북도의 가뭄피해현황 자료를 수집하였다. 30년(1991~2020년)동안 238개 읍면동 중 34개 행정구역에서 총 272건의 가뭄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준강수지수(SPI)를 이용하여 분석된 지역별 연평균 가뭄발생횟수는 약 8.44회이며, 가뭄이 가장 많이 발생한 해는 2001년(평균 가뭄발생 18.7회)이었다.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상학적 가뭄이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수문학적 가뭄으로 전이되기까지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가뭄피해 발생 여부를 예측변수, 가뭄피해 발생 이전의 가뭄상태를 설명변수로 설정하여 기상학적 가뭄 발생에 따른 가뭄피해 발생 확률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가뭄피해 발생 당시의 가뭄상태보다 그 이전에 연속된 가뭄상태가 있을 경우 가뭄피해 발생 확률이 약 2.5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Special Safety & Health Education Consid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고려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Hyeokrak Choi;Taekeun O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473-478
    • /
    • 2023
  • The construction business has a high accident rate among all the industries, and it accounts for 68% of the total accident rate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where a safety manager is not appointed,. Thus, through effective safety management and educ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s, the accident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system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by integration with the basic safety & health education system.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survey, the improvement points of special safety & health education at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and the preference for integration with basic safety & health education were analyz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oadmap for Construction Automation (건설기계 자동화를 위한 기술 로드맵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Suk;Seo, Jong-Won;Lee, Junbok;Kim, Sung-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4D
    • /
    • pp.493-504
    • /
    • 2008
  •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construction processes through mechanization and robotization of current work. In this paper, the tre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machinery automation to improv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has been reviewed. A classification system is proposed for automation of architectural and civil works. Then, the priority among the classified construction tasks for automation has been ident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tudy. Based on the priority for automation a comprehensive technology road map was also developed. The technology road map suggests the time frame to complete R&D work for the selected construction tasks and the core technology required for automation of the selected tasks. Such automation R&D road map for construction machinery can be utilized as a milestone in setting up the R&D strate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field farming water supply (밭용수 공급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 관리 전략)

  • Cha, Eunji;Hyun, Yunjung;Lee, Gu-Sang;Jeong, 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8-78
    • /
    • 2022
  •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고소득 작물 재배,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영농형태가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되고 지역별 증감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밭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고소득의 밭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 수요 증가는 지하수위 저하와 지하수 고갈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지하수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지하수이용 및 관리 제도 현황을 검토하여 지속가능한 밭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진주시를 대상으로 경지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 특성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요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하천 주변 저지대에 큰규모의 밭이나 집단화된 시설재배 지역이 분포하고 있고 지하수 관정도 밀집하고 있었다. 하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는 지하수 관정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하수 수요는 공간적 위치 외에도 고품질 농업용수에 대한 요구도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기반 용수공급 관련 사업과 지하수 자원확보 관련 법제도 등을 고찰하여 밭의 위치, 규모, 용수공급의 수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밭용수 공급을 위한 세 가지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실측 및 정보의 다각화를 통한 정보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하수 이용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이용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지표수 공급이 가능한 지역은 지표수를 우선 공급하거나 지하수와 혼합 또는 교차하여 공급하고 물공급 취약지역에서는 지하수 공급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농업용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강화 및 관리 효율화이다. 특히 지하수이용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용도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밭용수 공급은 농가 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물이용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농가 소득증대를 고려하는 공편인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