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개발자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o-Development Environment for Visual Programs (시각 프로그램을 위한 공동 개발 환경)

  • Cho Yong Yoon;Yoo Chae 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1 s.33
    • /
    • pp.125-132
    • /
    • 2005
  • Visual programs consist of user interfaces and process logics. Because most visual IDEs(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are utilized by only one developer, many developers can't cooperate simultaneously in one large-scaled visual Program to promote the development efficiency. This paper suggests a co-development environment for visual programs through which developer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type of distribution. Developers can maintain the coincidence and the confidence of cooper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window and a job controller to process the Priority of the events that developers make in co-development work. Especially in large-sealed visual Program, the suggested environment reduces the burden that developer takes about the heavy development work, and many developers can divide and take the complex and large program modules according to their ability. We hope that the suggested environment can improve the development productivity and effectivity because it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for developing user interfaces in visual programs.

  • PDF

A Co-Development Environment for Visual Programming (시각 프로그래밍을 위한 공동 개발 환경)

  • 조용윤;박호병;유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511-513
    • /
    • 2004
  • 시각(Visual) 프로그램 개발은 프로그램 엔진 모듈에 대한 개발과 함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로 인해 더 많은 개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빠르고 효과적인 시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개발자의 능력과 업무 분야에 맞게 시각 프로그램의 엔진 부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를 나누어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업화된 시각 프로그램 개발은 동시에 여러 개발자의 참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회의를 통한 공동 개발은 개발자간의 공간적, 시간적 독립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즉각적인 협의를 제한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은 개발자간 개발 독립성과 협동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시각 프로그램 공동 개발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공동 개발 환경은 개발 시각 프로그램을 내부 로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나누어 개발이 가능하며, 각 개발자의 독립적 개발을 보장하고, 개발자간 필요한 의견과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협업 프로그램 개발 환경이다.

  • PDF

최종 사용자 전산환경에서의 공동작업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용은;서창갑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399-402
    • /
    • 1996
  • 정보시스템의 가장 큰 목적은 시스템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의 유용성 결정은 사용자들의 판단에 근거하므로 사용자의 참여는 시스템 성공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사용자 참여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사용자의 참여에 대한 이점을 설명하고 있기는 하나, 메인프레임 환경의 전통적 시스템 개발방법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최종사용자 전산환경에서의 사용자 참여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 필요하다. 최종사용자 전산 환경에서는 최종사용자의 책임과 권한, 정보의 내용, 친숙한 개발 도구 등으로 인해 시스템 개발 주기의 일정 단계에서의 제한적 참여가 아닌 주체적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개발 환경은 참여자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개발자로서의 역할이 훨씬 더 강조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로서의 사용자 참여가 발생하는 새로운 환경을 '공동작업'이라고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공동작업'의 결과로 인한 정보시스템의 성과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공동작업'이 사용자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A Development Environment for Visual Program With Cooperation (협업을 통한 시각 프로그램 개발 환경)

  • Cho, Yong-Yoon;Yoo, Ch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85-588
    • /
    • 2004
  • 시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내부 로직에 대한 코드와 외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코드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개발자들은 빠르고 효과적인 시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개발 도구를 이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도구는 여러 개발자들간의 능력과 개발 분야에 따라 시각 프로그램의 내부 로직과 인터페이스 부분을 분리해 공동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다수의 시각 프로그램 개발자간 자신의 개발 분야에 따라 분산 공동 개발이 가능한 네트워크 기반의 시각 프로그램 공동 개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공동 개발 환경은 개발자간 독립성과 협동성을 지원하고 즉각적이고 동기적인 개발 협의와 의견 교환을 위한 통신 창을 제공해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속도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PDF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 Focused on Development$\cdot$Residence, Cost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개발자 유형에 따른 개발과 관리 특성 선호경향 - 개발$\cdot$거주, 비용을 중심으로 -)

  • Seo Eun-Mee;Hong Hyung-Ock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3 no.6 s.78
    • /
    • pp.39-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ocial survey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20, 2004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 people in 40s-60s using questionnaire which distributed only to those having at least $60\%$ of positive interest in developing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rh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majority of respondents wanted to have their old age from mid-60's after retirement more independently, the housing should be designed in a way for them to stay in the m's length of friends and community people. Residential spaces should be individually partitioned and variou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 semi-dependent manner. The location should be where the medical services were systematically available and ambient environment was agreeable. Second, the cohousing type developers preferred to develop the housing in a form of joint investment with the Potential residents, while the individual developers would like to sell or rent the housing thus would ask for the locations at the outskirts of big cities. In conclusion, most respondents had comparatively similar opin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types of development, residential aspects and cost features of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Protecting Game Developers Under the Works-for-hire Clause of Copyright Law (게임개발자 창작 권리보호 방안에 관한 소고 -저작권법의 업무상저작물제도를 중심으로)

  • Choi, Ji-S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4
    • /
    • pp.73-91
    • /
    • 201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of protecting game developers under the work-for-hire provision of copyright law. Fundamentally, the work-for-hire clause provides the authorship status to companies, not to game developers. Some argue that the clause is especially appropriate in software industries including game industries because they are new and different from typical types of copyright industries. However, game industries are different from software industries as well as typical types of copyright industries in that they have both cultural (artistic) as well as industrial characteristics. Game developers not being provided with the authorship status may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disputes related to turnover and knowledge leakage. This paper mainly suggests three kinds of solutions: first, protecting the moral right even in the work-for-hire provision; second, protecting game developers as coauthorship; and third, providing monetary compensation as it is in employee invention.

Common Criteria Evaluations: What a Developer Should Know (국제공동평가기준의 평가를 받기 위한 개발자 고려사항 분석)

  • Kim, K.S.;Nam, T.Y.;Sohn, S.W.;Park, C.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1 s.79
    • /
    • pp.17-24
    • /
    • 2003
  •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제품에 대한 국제공통평가기준인 CC(Common Criteria)의 적용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CC에서는 왜 보증등급에 대해 다루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고, CC에 대해 개발자들이 알아야할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기존 평가기준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CC 평가를 염두에두고 정보보호시스템 개발을 할 경우 고려해야 할 개발자 입장에서의 이슈들에 대해 정리하고 처리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품 평가를 위한 평가과정, 평가를 위해 개발자가 준비해야 하는 개발증거물들을 제시하고, CC에 따른 제품 평가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A Study on Analysis SW Package R&D system (북한 SW패키지 개발 동향분석 연구)

  • Cho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00-1203
    • /
    • 2012
  • 남북한이 평화적인 통일을 하려면 북한이 자력에 의하여 대한민국 수준으로 국민소득을 높여야 한다. 어느 일방에 의한 통일은 "대재앙"으로 표현 할 수 있다. 북한의 경제력을 대한민국 수준으로 올리려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교시대로 "담박도약"을 위해서는 개방과 더불어 IT산업으로 국가산업 발전에 역량을 모아야 한다. 북한도 IT산업을 통한 개방으로 유럽의 아일랜드와 같이 IT산업에 집중 할 것을 권유한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SW개발자들이 개발한 부문을 분석하고 대한민국의 개발자들과 공동노력하여 발전 할 부문의 SW제품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Residential U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enior Congregate Housing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선호개발유형에 따른 주거사용 특성)

  • Kim Yang-Hyun;Hong Hyung-Ock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3 no.5 s.77
    • /
    • pp.133-1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understanding abou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members of the future elderly generation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00 participants who were in their 40s to 60s, residing in Seoul, and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collection spanned from December 1st to 20th,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pondents who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igher income, and a high-ranking job showed relatively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house. Similar satisfaction level came between their present house and expecting ones in their later life. Financial responsibility was the most serious expected problem when they continue living in the present house in the later life. It means that the economic ability is the primary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y will have a stable life later. Secondly,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enior housing developer type,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ly developed senior congregate housing far outnumbered the other who preferred independent developer type. Also,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 developer type had higher economic ability than that of the o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ove all, economic competence is the must significant variable,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ife and residential planning for the elderly. Korean senior congregate housing models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elaborate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types of housing, such as a more practical type and a high quality type, as well as to respond to different kinds of developmental objectives, such as marketability and public benefit.

장비산업의 디지털 개발 프로세스

  • Min, Je-H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1
    • /
    • pp.47-50
    • /
    • 2013
  • 장비산업은 다품종 소량 생산 및 수주 개발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개발 초기에 확보하기 위한 디지털 개발 프로세스의 도입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형상 설계, 구조/유동해석, 제어 설계 등 구성 요소의 기능만큼이나 기능간의 연계가 중요하다. 디지털 개발의 확산을 위해서는 단위 요소의 개발과 더불어 이종 SW 개발자 간의 공동 개발을 통해 실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통합 솔류션의 제공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