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 흡입구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흡입구를 포함한 액체 램제트 엔진의 3차원 유동 해석

  • 임상규;오대환;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4-14
    • /
    • 1999
  • 액체 램제트 엔진의 특성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입공기의 상태에 따라 많이 달라진다. 흡입구에 들어오는 공기의 유입각이 일정각도를 넘어서면 유입공기의 왜곡이 심하여 정상적인 연소가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비행조건에 따른 램제트 엔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외부 유입영역, 흡입구, 연소기, 노즐 및 출구 대기 영역을 함께 계산하여 유동 특성과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흡입구는 마하 2.0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4각 덕트에서 완만하게 원형 덕트로 변화되는 확대관의 형상으로 비행체에 붙어 있는 것으로 격자를 구성하였다. 흡입구에서의 유동 조건은 비행체을 지난 유속이 마하 2.0과 2.2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비반응 유동 해석과 연소가 있는 반응 유동해석 결과를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유입각이 영 일 때의 흡입구를 포함한 계산 결과는 흡입구에서 생성되는 충격파에 의한 손실로 총압력이 흡입구를 포함하지 않았던 선행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유동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입각이 증가함에 따라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이 감소하고 그에 따른 유동의 왜곡이 심하여 연소특성에 변화를 보여 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Design Schemes of the Supersonic Air Intakes (초음속 공기 흡입구 성능설계 기법 연구)

  • Byun, Jong-Ryul;Yoon, Hyun-Gull;Lim, Jin-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992-995
    • /
    • 2011
  • A study on the performance design schemes of the supersonic air intakes applied to the supersonic air-breathing propulsion system(Ramjet/Scramjet) was conducted and for two kinds of air intakes, the preliminary configuration designs and the performance analysis models were established. For axisymmetric conical air intake and two dimensional rectangular air intake, the performance effects were assessed according to compression angles and shock wave numbers.

  • PDF

Study on induction air swirl in D.I. diesel engine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흡입공기 선회강도에 대한 고찰)

  • 고춘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9 no.3
    • /
    • pp.16-22
    • /
    • 1987
  • 직접분사식 디젤기관의 성능과 배기가스 문제에 여향을 주는 실린더 내에서의 연소형태는 크게 연료분사계와 흡입공기 유동계 두 가지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분사율, 부사시기, 분무형태와 같은 분사계의 특성과 공기선회, 스퀴시(squish), 난류와 같은 공기 유동 특성에 의하여 연소형태가 결 정된다. 이러한 복잡한 연소형테를 기관 특성에 맞게 조정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인데 이것은 연료화 공기의 혼합이 연소실형상과 흡기계의 형상에 큰 영향을 받으며 연료가 액체 상 태로 연소실내로 들어와 분무과정을 통하여 증발이 되어야만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흡입공기 유동계에 있어서 현재의 직접 분사식 대젤기관의 흡입구 형상은 흡입공기의 운동에너 지에 모멘트를 가하여 연소실내에서 공기의 선희(swirl)를 발생시켜 줌으로써 연료와 공기의 혼 합기를 형성시키는 Helical typ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관 성능과 배기가스 특히 NOx는 상반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연소실내로 들어오는 흡입공기의 선희강도(swirl ratio)를 너무 강하게만 한다고 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는 없다. 따라서 설계하고자 하는 각 기관에 있어서 요구되는 성능과 배기가스 문제를 만족하는 흡입공기의 선희강도가 얻어질 수 있도록 흡입구 형상을 설계한다는 것은 많은 연구와 경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자료에서는 직접분사식 디젤기 관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최적 선희강도에 대한 설정방법과 흡입구 형상 설계를 위한 설계 이론 및 정상류 Rig test상에서의 흡입공기 선희강도의 평가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외부압축 초음속 흡입구에서 Spike-Tip과 Cowl-Lip의 형상에 따른 흡입구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Jo, Gyeong-Jun;Lee, Ji-H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612-617
    • /
    • 2015
  • 초음속 흡입구는 고속 비행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제트엔진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시키는 구조로써 주로 램제트와 스크램제트 엔진에 적용되어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미사일의 추진체 개발에도 응용되고 있다. 초음속 영역에서의 흡입구는 cone 모양의 스파이크 구조를 통해 경사충격파가 생성되어 외부에서의 공기압축을 먼저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EDISON CFD를 이용하여 외부압축 초음속 흡입구 주위의 공기유동을 해석하고 Cubbison, R.W.의 풍동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초음속 흡입구 주위의 유동을 2D 축대칭 압축성 유동으로 가정하고 EDISON CFD의 2D_Comp_P 솔버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The Study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Ram-jet with Different Intake (서로 다른 램제트 흡입구에 따른 공기역학적 특성 연구)

  • Park, Soon-Jong;Park,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4 no.6
    • /
    • pp.9-16
    • /
    • 2010
  • The SFRJ(Solid Fuel Ram-Jet) propulsion is attractive for projectiles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high propulsive performance and low system complexity more than conventional projectil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haracterize the inlet aerodynamic characteristics (center-body & pitot type) in SFRJ. Diffuser static pressure & combustion chamber pressure was tested and the AoA was changed $0^{\circ}$ and $4^{\circ}$ at Mach number of 3.0 for performance estimate. The performance study of inlet was carried out with the Schlieren system and Supersonic cold-flow system. Under mach 3.0, the center-body showed twice higher total pressure recovering ratio than the pitot type.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solution is applied internal flow of inlet and the solution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Supersonic Intake Design & Flow Control Analysis using Bleeding Condition (초음속 흡입구 형상 설계 및 Bleeding을 활용한 유동제어 연구)

  • Choe, Jae-Hwan;Cheon, So-Min;Kim, Jong-Am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77-80
    • /
    • 2012
  • 초음속 흡입구는 설계점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지만 설계점 밖에서는 엔진성능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층 격파 불안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초음속 흡입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단 꺾임각을 갖는 외부 압축식 2차원 흡입구를 설계하고 EDISON_열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설계 마하수 2.5에서 작동하는 형상을 얻었다. 그러나 설계 마하수 이하의 영역에서는 충격파-경계층, 충격파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유동에서 박리가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흡입구 목을 질식시켜 아임계 상태로 천이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 제어 방법 중 하나인 bleeding을 이용하여 경계층을 제거하거나 유동의 박리를 방지하여 충격파를 cowl lip 전방에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목적하였던 마하수 2.0에서 2.5에 이르는 작동 영역에서 강건하게 운용될 수 있는 초음속 흡입구를 설계하였다.

  • PDF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Air Intake at Mach 4 (마하4 초음속 공기 흡입구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 ;;;;Shigeru , As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10
    • /
    • pp.61-70
    • /
    • 2006
  • A Supersonic air intake model was designed for the high performance ramjet and dual-mode scramjet engine to operate at Mach 4 flight condition. The air intake was tested in the blowdown-type wind tunnel of Kyushu University to identify the internal flow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the flight parameters such as the back pressure, angle of attack and angle of yaw. Flow visualization was achieved by the Schlieren and oil flow visualization techniques. The intake performance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surface pressure and total Pressure measure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results. The present study exhibits the fundamental but rarely found experimental results of the high Mach number supersonic air intake.

램제트 엔진 흡입구 유동 및 연소유동 해석

  • 김성돈;정인석;윤영빈;최정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18
    • /
    • 1999
  • IRR형태의 액체 램제트 추진기관의 공기 흡입구 유동과 내부 연소 유동을 파악하기 위한 수치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은 다원 혼합기체에 대한 압축성 Navier-Stoke 방정식과 공기/Kerosene에 대한 화학 반응을 고려하였으며, 결합된 형태의 k-$\omega$/k-$\varepsilon$ 2 방정식 난류모델을 이용하였다. 기본 유동 해법으로는 고차의 시간 및 공간 정확도를 가지는 근사 Riemann 해법과 LU-SGS 방법을 이용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Oswatitsch Scheme for Maximum Total Pressure Recovery of Hypersonic Wedge-type Intakes (극초음속 쐐기형 흡입구의 최대 전압력 회복률을 위한 오스와치 기법 분석)

  • Heo, Yub;Moon, Kyoo-Hwan;Sun, Hong-G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12
    • /
    • pp.1031-1038
    • /
    • 2017
  •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ir breathing engines, it is important to maximize the total pressure recovery through air intak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Oswatitsch method, which guarantees the maximum pressure recovery for supersonic intake, is effective at hypersonic speed by compressing the intake air with the same intensity at each ramp. The non-linearity of the shock wave normal Mach number at each ramp stag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compression ramp angle and the number of ramp to the inflow Mach number in terms of compressible thermodynamics and the operation limits of the inlet. Based on this analysis, the Oswaitisch technique yields valid conditions not only in supersonic but also hypersonic flight regime.

Study on the Buzz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Air Intake at Mach 2.5 (마하 2.5 초음속 공기흡입구의 버즈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young-Jin;Jeung, In-Se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31-335
    • /
    • 2006
  • Theoretically, stable operations of an inlet are achieved at the design condition. However, at off-design conditions supersonic inlets often encounter the problem of aerodynamic instability, called inlet buzz. During inlet buzz, supersonic inlets exhibit considerable oscillation of the shock system in front of the inlet and corresponding large pressure fluctuations downstream. This phenomenon results in decrease of engine performance.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enomenon of supersonic inlet buzz on a generic, axisymmetric, external-compression inlet with a single-surface center-body.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mittent buzz exist and the frequency become to be large as increasing the back press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