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 역학 검사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기류 저지법을 이용한 발성시의 공기역학적 검사법 제1보, 정상성인 남녀의 검사치

  • 문영일;김종남;정성민;박미향;이지애;민정하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4.06b
    • /
    • pp.83-83
    • /
    • 1994
  • 발성기구의 생리학적 연구나 발성장애의 병태를 검사함에 있어서 폐로부터 송출되는 호기의 에너지가 성문에 있어서 어느 정도로 목소리의 음원으로 변환되는 지를 아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발성시의 호기류율과 함께 성문하에 있어서의 호기압을 측정하여 발성된 목소리의 강도와의 관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기류 저지법을 이용한 발성시의 공기역학적 검사법은 발성장애에 대한 공기역학적 검사의 한 방법으로, 기류 저지법을 사용한 발성시의 호기압(폐내압)측정을 호기류율, 목소리 강도, 높이의 측정과 조합시키는 방법으로 장치는 기류저지용의 회전 셧터를 발성기능 검사장치의 mouth piece에 접촉시킨 것이다. (중략)

  • PDF

Aero-dynamic Study (공기역학적 검사)

  • 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4.06a
    • /
    • pp.87-92
    • /
    • 1994
  • - 발성의 공기역학적 측면은 다음 4가지의 인자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a. 성문하부압(Subglottal pressure) b. 성문상부압(Supraglottal pressure), c. 성문저항(Glottal impedance) d. 성문부위의 공기 체적유속(Volume velocity of air of airflow at the glottis) (중략)

  • PDF

Aerodynamics of Speech using Aerophone II (Aerophone II를 이용한 조음적 공기역학검사)

  • 홍기환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5.11a
    • /
    • pp.165-180
    • /
    • 1995
  • 복잡한 음성장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성관에 대한 여러 단계에서의 정량적인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검사 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음성의 인지적 검사(perceptual intelligibility), 음향음성학적검사(acoustic analysis), 공기역동학적 검사(aerodynamic study), 후두구조물의 운동 관찰, 그리고 근과 신경의 기능 검사(electromyographic study)등이 있다. 이중 인지적 검사는 청취자 동의 문제와 검사 법에 대하여 문제점이 제기 되기도 하며 발화 중 후두기능의 병태생리에 관한 추론적인 정보만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향음성 검사는 이미 잘 알려진 상태로서 많은 parameter들이 측정되어온 것이 사실이나 그 유용성에 대해서도 아직 논란이 있으며 단지 성대의 진동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만을 이용한 검사로서 일종의 정지성 연구에 불과한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mean airflow rat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sulcus vocalis according to aerodynamic analysis methods (성대구증 환자의 공기역학적 검사 방법에 따른 치료 전과 후의 평균호기류율 비교)

  • Seung Yeon Lee;Hong-Shik Choi;Jaeock Kim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5 no.4
    • /
    • pp.61-69
    • /
    • 2023
  • Sulcus vocalis is characterized by incomplete closure of the vocal folds, with a high mean airflow rate (MFR) as a distinctive feature. The MFR is measured using two aerodynamic analysis methods [the maximum sustained phonation protocol (MXPH) and voicing efficiency protocol (VOEF)] of the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PAS), and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MFR before and after treatment (microsurgery and voice therapy) according to the MXPH and VOEF of the PAS in 30 patients with sulcus vocali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voice evaluation (voice handicap index, VHI), perceptual voice evaluation (GRBS), and fundamental frequency (F0)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sulcus vocali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methods i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VHI and GRBS scor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eatment; however, F0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is study indicates that when evaluating MFR changes in patients with sulcus vocalis, it is acceptable to use either aerodynamic analysis (MXPH or VOEF).

발성치료

  • 남도현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15-218
    • /
    • 2003
  • 발성치료는 약400여년간 내려오고 있는 성악발성법 (벨칸토 발성)을 이용하여 음성을 교정하고 치료하는 방법으로 과학적이고 의학적으로 인정된 방법을 통하여 음성을 교육하고 교정하는 약물적이고 비 수술적인 치료 방법이다. 음성크리닉검사 1) 공기역학검사(Phonatory function analyzer test) 2) 최대발성지속시간(Maximum phonation time) 3) 컴퓨터 음성검사(Dotor speech. MDVP) 4) 듣기평가 5) 내시경검사(Stroboscopy) 6) 전기성문파형검사(EGG) 7) 호흡근력검사. (MIP. MEP. 등)및 호흡검사(FVC. FEVI. PF. 등) 8) 음성전문의사의 확진 후 발성치료권유 (중략)

  • PDF

Aerodynamic Analysis of Phonation (공기 역학 검사)

  • Kwon, Tack-Kyun;Lim, Y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9 no.2
    • /
    • pp.85-88
    • /
    • 2008
  • Several parameters a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phonatory function and voice quality in clinical settings. Glottic airflow, subglottal pressure, mean phonation time, laryngeal resistance and voice efficiency are the most commonly used aerodynamic parameters. Aerodynamic analysis is developed to evaluate phonatory energy source and to estimate laryngeal efficiency. Also these measurements have shown the good correlation with perceptions of breathiness and findings of glottic competence. Aerodynamic study is important to understand relationships between pulmonary and phonatory function.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Coal Gasification Uni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설계연구)

  • 이선경;나혜령;장동순;정진도;지평심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1
    • /
    • pp.23-30
    • /
    • 1995
  • 분류층 가스화기 설계를 위한 일차연구로서 가스화기 종횡비, 주입方法, 선회강도 및 주입속도 등에 따른 비반응 난류장 특성을 수치해석적 방법에 의해 파악하였다. 수치해석은 검사체적에 기초한 Patankar의 유한차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압력과 속도의 연계문제는 SIMPLEC 알고리즘을, 레이놀즈 전단력은 K- 난류모델을 사용하였다. 입자궤적 계산은 공기역학적 향력만을 고려하였으며 비선형적인 공기저항력에 의한 난류변동상관모델은 고려치 않았다. 이차공기 주입방법(parallell injection과 nonparallel 3$0^{\circ}C$ imjection)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Ar tracer의 질량분율 및 기타 속도에 대한 實驗資料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結果를 얻었다. 나아가서 假想的인 가스화기 모델을 대상으로 가스화기의 종횡비, 선회강도, 주입속도 및 주입각 등에 따른 와류 形成 위치 등을 포함한 유동장 특성 및 입도에 따른 궤적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Mean Value of Aerodynamic Study in Normal Korean (음성검사 중 공기역학적 검사에서 한국인 정상 평균치)

  • 서장수;송시연;권오철;정옥란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79-79
    • /
    • 1996
  • 최근 들어 음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성이상을 호소하며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이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국내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기왕력 상 폐질환이나 신경계질환, 후두질환을 앓은 적이 없으며 음성조율 기관에 이상이 없고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10세에서 69세까지의 무작위 추출된 정상 한국인 남자 112명과 여자 122명을 대상으로 Aerophone II voice func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공기역동학적 검사 중 최대발성지속시간(maximum phonation time), 평균호기류율(mean airflow rate), 발성율(phonation quotient), 발성시 기류량(phonatory flow volume) 및 성문하압(subglottal pressure)의 정상 한국인의 남녀 년령별 평균치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The Acoustic and Aerodynamic Aspects of Patients with Spasmodic Dysphonia (연축성 발성장애 환자의 음향학적 및 공기역학적 양상)

  • 이주환;김인섭;고윤우;오종석;배정호;윤현철;최성희;최홍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11 no.1
    • /
    • pp.98-103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spasmodic dysphonia is yet unkn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any laryngeal aerodynamic parameter distinguish the voice of patient diagnosed as having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from individuals with normal voice prod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pathophysiology of spasmodic dysphonia.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women diagnosed as having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and fifteen normal control women participitated in this study Maximum phonation time, mean air flow rate, subglottic pressure, vocal efficiency, Vfo, NHR, VTI, FTRI, ATRI, Jitter percent, Shimmer percent were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using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 of CSL(Computerized Speech lab, Kay Elemetrics, Co., Model No. 4300), and 'maximum sustained phonation' and 'IPIPI test' of AP II(Aerophone II, Kay Elemetrics, Co., Model 6800). Results : T-test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different values for vocal efficiency, Vfo, NHR, MPT, litter percent, Shimmer percent between the spasmodic dysphonia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 Spasmodic dysphonia affects the ability of the laryngeal mechanism to function effectively. Results from our study demonstrate that certain aerodynamic and acoustic parameters distinguish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from normal voice.

  • PDF

분류층 석탄가스화기 비반응 난류 유동장 수치해석

  • 이선경;정진도;김종진;지평삼;장동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05a
    • /
    • pp.28-38
    • /
    • 1994
  • 분류층 가스화기 설계를 위한 일차연구로서 가스화기 이차공기 주입방법에 따른 비반응 난류장에 대한 수치해석을 검사체적에 기초한 유한차분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압력과 속도의 연계문제는 SIMPLEC 알고리즘을, 레이놀즈 전단력은 k-$\varepsilon$ 난류모델을 사용하였다. 입자궤적 계산은 공기역학적 항력만을 고려하였으며 비선형적인 공기저항력에 의한 난류변동상관모델은 고려치 않았다. 이차공기 주입방법(parallel injection과 nonparallel 3$0^{\circ}C$ injection)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Ar tracer의 질량분율에 대한 실험자료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차공기의 주입각 및 기타 제반변수에 따른 유동장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