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공급량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하수 처리를 위한 침지형 MBR (Membrane Bio-Reactor)공정에서 공기를 이용한 최적 막 오염 제어

  • Baek, Byeong-Do;Sin, Dong-Hwan;Jang, I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15-516
    • /
    • 2008
  • MBR공정에서 막 오염을 제어하기 위하여 분리막 모듈에 원통형 관을 도입하여 각각 공기공급량과 MLSS농도, 분리막 면적에 따른 막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TMP를 분석하였다. 원통형 관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원통형 관을 사용한 M$_1$과 M$_2$ 경우에 운전 종료 시점이 연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공기공급량과 MLSS농도, 분리막 면적의 변화에 따른 TMP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irflow control technology for Korean-type bioreactor based on influent water quality (유입수질 기반 한국형 생물반응조 송풍량 제어 기술 개발)

  • Yeo, Wooseok;Woo, Jea Suk;Song, Dong Hoon;Shin, Sung Bok;Kim,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8-388
    • /
    • 2022
  • 하수처리 공정 중 생물반응조에서는 미생물의 산화 반응을 통해 하수 내 각종 유기물들을 처리하고 있다. 블로워는 호기조를 유리산소상태로 만들어 미생물들의 유기물 제어, 질산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하수처리장에서는 유기물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블로워를 가동하고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문제를 겪고 있다. 블로워를 통해 수중에 산소를 부족하게 공급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방류수 수질이 저해되는 반면, 용존산소가 과도하게 공급되어도 유기물질의 처리 효율은 증대되지 않으며 잉여용존산소는 대기 중으로 방류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하수처리장에서는 강화된 방류수 수질 기준을 만족하기 하고자 유입수질에 관계없이 과도하게 송풍기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의 운영 및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질을 처리하는 데 실제로 미생물이 필요한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산소요구량, 공기공급량을 산출하여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가능하다. 실제 하수처리장에서의 프로그램을 통한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고자 한 달간의 A 하수처리장 수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수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을 산정하였다. 실험 결과 프로그램 적용시 약 평균적으로 10%의 송풍량을 절감이 가능하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송풍기 운영조건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Variation According to Air Supply Capacity in Layer Manure by Composting (공기공급량에 따른 산란계분의 퇴비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Kwag, J.H.;Cho, S.H.;Jeong, K.H.;Kim, J.H.;Choi, D.Y.;Jeong, Y.S.;Jeong, M.S.;Kang, H.S.;Ra, C.S.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6 no.2
    • /
    • pp.135-142
    • /
    • 2010
  • The composting of layer manure is economical and efficiently process. In this study, the variation of composting characteristics in layer manure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ir supply capacity. The fermented compost was added in layer manure and mixed with sawdust inside composting reactors. The level of air supply capacity was varied in the range of $50{\sim}200\;{\ell}/m^3/min$. During composting the temperature variations of composting piles was different the temperatures of composting piles for T-1 ($50\;{\ell}/m^3/min$) and T-2 ($100\;{\ell}/m^3/min$) were reached at $40^{\circ}C$ and $50^{\circ}C$ within 2 days, respectively. For T-3 ($150\;{\ell}/m^3/min$) and T-4 ($200\;{\ell}/m^3/min$), their temperatures was $60^{\circ}C$ within same days and maintained during 8 days. Water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the air supply capacity; 8.9%, 15.4%, 18.0% and 18.6% for T-1, T-2, T-3 and T-4. The weight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reduced to 12.8%, 15.6%, 18.1% and 17.9%, respectively. The decreasing volumetric ratios of T-1, T-2, T-3 and T-4 were 18.0%, 21.0%, 22.3% and 22.0%. The oxygen discharge concentrations during composting were 12 ppm for T-1, T-2 and 9 ppm for T-3 and T-4. After composting, fertilizer components such as total nitrogen (TN) and phosphorous pentoxide ($P_2O_5$) were examined at each air supply capacity. Nitrogen contents of the T-1, T-2, T-3 and T-4 were 0.75%, 0.74%, 0.72% and 0.64%. Also, The contents of $P_2O_5$ were 0.35%, 0.40%, 0.38% and 0.42% for T-1, T-2, T-3 and T-4.

Development of Air Flow Calculation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Inflow Water Quality (유입수질에 따른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개발)

  • Shin Geol Kim;Wooseok Yeo;Deok-Hyeon Kim;Jong Ky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6-486
    • /
    • 2023
  • 하수처리장 내 생물반응조에서는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질산화(Nitrification)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산소를 요구하고 있으며, 필요한 산소는 송풍기 운영을 통해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처리장 내 일정 이상의 산소가 수중에 공급되어야 한다. 생물반응조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오염물질 저감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어도 수처리의 효율은 개선되지 않으며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산소들은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유입수질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조 내 필요한 산소는 달라지게 되므로 유입수질에 맞는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내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생물학적 처리시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하수 성분, 용량과 같은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용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수도 설계 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하수도 시설기준의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 산정식을 통하여 유입수질에 따라 실제 하수처리장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수도 설계기준의 여러 가지 수식을 실제 하수처리장 내 필요한 요소로 변환시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적용에 따른 송풍량 절감 효율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2021년 A하수처리장의 4월 월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송풍량을 산정하여 실제 사용된 송풍량과 비교 분석하여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하수처리장 내 송풍량 산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면 운전자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수동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자율 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하수처리장을 운영할 수 있어 송풍량 절감 및 탄소중립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Study of Oxygen Concentration and Performance under Driving Conditions for Fuel Cell Vehicle (연료전지자동차 운전환경에서 산소농도와 성능에 대한 연구)

  • Goo, Young-Mo;Yoo, Seung-Eul;Kim, Myong-Hwan;Yoon, Jong-Jin;Oh, Seung-Ch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64-567
    • /
    • 2008
  • 산소분압은 연료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한 인자이다. 실생활에서 공기 중 산소농도는 21%이지만 차량이 많은 도심지역에서는 약 20%, 환기시설이 낙후한 지하주차장은 약 18%까지 산소농도가 감소한다. 높은 고도에서 산소농도는21%이지만 산소분압이 낮아져 연료전지자동차의 효율이 감소하는 영향이 발생될 수 있다. 농도에 따른 연료전지의 성능곡선 결과를 empirical equation에 적용하여 연료전지 자동차의 운전환경에 속하는 산소농도 18$\sim$23% 범위와 고도 0$\sim$4,000 m 범위에서 연료전지의 성능변화를 분석하였다. 공기공급량(SR)이 2일 경우 산소농도에 따른 성능변화를 비교한 결과 산소농도 18%인 성능은 산소농도 21%에 비하여 10%이상 감소하였으며 산소농도 21%를 기준으로 공기공급량이 2인 유량으로 공급할 때 산소농도가 18%까지 낮아질 경우 산소농도 21%에 비하여 22%이상 성능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고도가 4,000 m인 경우 산소분압은 약 13 kPa까지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연료전지 성능은 약 25%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Air Supply Rate and Eggshell Addition on Liquid Fertilizer Efficiency of Aerobic Stabilized Organic Wastewater Sludge (공기공급량과 계란 껍질 첨가가 유기성 폐수슬러지 액비 비효효과에 미치는 영향)

  • Cheon, Hyo-Chang;Hwang, Eung-Ju;Kim, Sang-Hyo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8
    • /
    • pp.578-582
    • /
    • 2011
  • Aerobic digestion of organic sludge generates stabilized slurry which could be used as a nitrogen-rich liquid fertiliz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ir supply rate and eggshell addition on the sludge fertilizer efficiency were examined. Sludge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a food industry was fed to a lab-scale aerobic digester, and the fertilizer efficiency was assessed by the growth of cucumber. Increase of air supply rate up to 200 mL/L/min enhanced the fertilizer efficiency as well as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The addition of eggshell, a potassium-rich leftover, in fertilizer application was also beneficial to the cucumber growth. A proper control of air supply rate and the use of an inexpensive additive would guarantee the quality of sludge liquid fertilizer.

GF/C에 고정된 $TiO_2$와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Rhodamine B의 광촉매 탈색

  • 박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300-304
    • /
    • 2003
  • 수용성 안료인 RhB를 대상으로 GF/C에 고정한 $TiO_2$와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거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정화 $TiO_2$의 경우도 분말을 이용한 것과 같이 최적 광촉매 투입량이 나타났으며, 최적 투입량은 40.0 g/L이었고, 분말 $TiO_2$를 이용하는 광촉매 반응의 초기속도식과 같이 Langmuir - Hinshelwood 식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분말 $TiO_2$를 이용한 경우보다 초기반응속도는 2.3배 느렸으나, 고정화 $TiO_2$의 경우 연속공정이 가능하고 촉매회수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응속도만 더 높일 수 있으면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었다. 2. 고정화 $TiO_2$의 최소유동을 위한 공기 공급량은 4 L/min, 최대 반응속도는 5 L/min에서 나타나 고정화 $TiO_2$를 충진한 유동층 반응기의 최적 공기 공급량은 최소유동화 속도 부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Turboblower for Fuel Cell Automobile Applications (연료전지 자동차용 터보블로어 개발)

  • Kwon Hyuckroul;Park Hyungkeun;Kim Seongkyun;Kim Chimyung;Park Yongsun;Hwang In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345-348
    • /
    • 2005
  • 본 개발의 목적은 연료전지차량에 탑재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장착될 공기공급기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개발된 공기공급기의 형태는 공급해야 할 공기의 유량과 압력 범위, 소음 및 향후 양산성 등을 고려하여 원심형 블로어를 선택하였으며, 차량 부하에 따른 공기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도 적용되었다. 또한 차량에 적용될 경우, 예상되는 가혹한 사용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고, 내구성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특히, 외기온도 $45^{\circ}C$에서도 충분한 방열성능을 갖도록 모터 및 모터 방열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로 직접 모터를 냉각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터보블로어의 응답성을 포함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설계점에서 600시간 연속운전을 통하여 기본 내구평가를 완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