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 불균형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실업(失業) 장기화(長期化)의 효과(效果) 분석(分析)

  • Kim, Dae-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4
    • /
    • pp.47-96
    • /
    • 1997
  • 실업률은 실업의 빈도와 실업기간의 복합체로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실업률하에서도 다수의 실업자가 단기실업을 경험할 수 있는 반면, 소수의 실업자가 장기의 실업을 경험할 수도 있다. 실업의 경제비용이란 측면에서 볼 때, 전자의 실업은 부문별 수요변화에 따라 신속한 인력 재배치가 진행됨을 의미하는 반면, 후자의 실업은 구조적인 인력 수급 불균형을 반영하고 있어 높은 경제비용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경우 실업률의 지속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에 들어 실업기간이 장기화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실업 장기화 현상은 노동공급 측면에서 비교적 경제활동이 낮았던 저학력 및 청년, 그리고 여성 근로자층의 구직활동이 적극화된 점과, 노동수요 측면에서는 수요의 고학력화에 따른 장년층 및 저학력 실업자의 구직난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현 경제위기에서 많은 장기실업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어 실직자 지원의 효율적 확대와 직업훈련 효율성 제고의 필요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효과의 변동추이

  • Lee, Gi-Sang;Lee, Mu-Yeong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6
    • /
    • pp.57-81
    • /
    • 2003
  • 우리나라 항공기 산업은 아직도 발전의 초기단계로 크게 심한 해외의존성으로 인해 항공기산업 내부에서 공급되는 주요정밀 부품은 주로 외국으로부터 도입하는 등 여전히 취약한 산업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생산유발효과나 부가가치유발효과 등 산업연관효과를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낮은 연관효과로 인해 부가가치율의 크기는 크지 않지만, 영업잉여는 높은 불균형적 부가가치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항공기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투자가 여전히 미약한 수준이어서 기술적, 산업적 측면에서 취약성을 노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안정적 생산물량의 확보, 기술자립도의 증가, 지속적인 인력 및 투자수준의 제고 등을 위한 효율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전략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발전의 추진방향은 기술자립도의 제고를 통한 대외의존성의 약화, 고부가가치화, 수요창출을 기반으로 하는 생산계획 수립, 제도완화 및 부서의 통합기능을 강조하는 정부개입 등의 방법에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OEM/ODM Salesperson's Core compet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pharmaceutical CMO business (OEM/ODM 영업사원의 핵심역량과 고객만족: 제약 위·수탁사업을 중심으로)

  • Yoo, Jun Sub;Lee, Mi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517-518
    • /
    • 2018
  • 국내 제약 산업은 상위 30대 기업이 전체 생산 매출의 55.1%를 차지하는 불균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소업체들은 공급자 과잉의 힘든 상황 속에 처해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소제약업체를 중심으로 기존 설비를 활용하여 외국 제약회사의 Original 의약품을 복제한 Generic 의약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는 OEM/ODM 방식의 위탁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 위 수탁 사업에 있어서 영업사원의 핵심역량인 정보제공, 전문성, 판매기술, 태도 및 관계형성, 업무유연성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CMO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부분육 - 한국계육협회 정육 시장 확대를 통한 육계산업 발전 방향(I)

  • 박의권
    • Monthly Korean Chicken
    • /
    • v.41 no.35 s.101
    • /
    • pp.63-66
    • /
    • 2003
  • 최근 장기간의 육계산업 불황으로 계열화 업체, 부회장, 종계업자, 사육농가 등 관련 종사자들 모두가 힘들어하고 있다. 이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계육협회, 양계협회 등이 중심이 되어 여러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였으나, 그 효과는 크지 못하여 불황이 계속되는 바, 금년 4/4분기와 2004년의 육계 경기에 대해서도 낙관할 수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현재 불황의 원인은 종계농가, 사육농가, 도계장, 부화장 등 생산시설의 확충과 현대화 및 사육기술의 전문성 확보 등으로 육계 생산량은 크게 늘었으나, 반면 2003년부터 닭고기 소비량은 경기 위축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주요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국내의 닭고기 소비량을 꾸준히 늘려서 수요량을 증대시키는 방안과 둘째, 일본 ${\cdot}$ 중국 ${\cdot}$ 러시아 ${\cdot}$ 미국 ${\cdot}$ 유럽 등에 우리의 닭고기를 수출하여 시장 확대를 통한 수요창출 등의 방안이 근본대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국내 닭고기 소비 증진 대책의 하나로 부분육 ${\cdot}$ 정육 시장의 확대 방안과 미국 등의 선진국의 닭고기 소비시장 형성과정과 현재 시장형태를 살펴보고, 우리의 부분육 시장을 어떻게 키워나갈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 PDF

2006 Long-term T&S facility plan in KEPCO (2006년 한전의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 Hwang, Jong-Young;Moon, Bong-Su;Ahn, Kwang-Weon;Choi, Jae-M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9-10
    • /
    • 2007
  • 우리나라의 전력계통은 지리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전력수요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발전소는 중 남부 지역에 편재되어 있어 지역간 전력수급 불균형 해소와 장거리 송전망 확충을 위하여 공급신뢰도 및 경제성을 조화한 효율적인 송변전설비계획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력사업은 투자에 비해 자본회수 기간이 길고 설비건설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전력수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합리적인 설비계획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번 제3차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반영하여 건강한 전력수송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국 전력에서 수립한 2006년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수립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 PDF

Runoff Analysis of Climate Change Scenario in Gangjung Basin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정천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Lee, Jun Ho;Kee, Yang Sung;Yang, Won Seok;Lee, Gw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39-543
    • /
    • 2016
  •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이다. 향후 예상되는 극치사상의 증가와 수자원의 시공간적 불균형은 더욱 취약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보이며, 안정적인 수자원의 공급 및 확보를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계획이 요구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변동성이 커지게 된다면 수자원확보에 대한 불확실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100년까지 미래 유출량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현재의 유출량 보정에 적용되었던 매개변수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미래의 직접유출율은 28%, 현재의 평균 직접유출율(23%)에 비해 약 2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유출의 증가에 가장 큰 영향으로 미래로 갈수록 극치값이 현재보다 자주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The Development Status of Power Conversion Technology for Power Grid (전력계통용 전력변환기술 개발 현황)

  • Lee, Eun-Jae;Baek, Seung-Taek;Choi, Ho-Seok;Kim, Young-Woo;Shim, Jae-Hyeok;Song,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551-554
    • /
    • 2019
  • 국내 전력 계통은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지속적인 증설과 발전이 이루어졌다. 전력설비의 밀도 측면에서 비추어보면 미국이나 일본 대비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에 이르는 최고 수준의 설비 밀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전체 전력 생산량의 40%이상이 수도권에서 소비되고 있지만 발전설비는 최대 전력 수요지인 수도권과 먼 해안에 인접한 지역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수요와 공급지의 불균형, 장거리 선로를 통한 전력 전송에서 야기되는 전력계통 운영 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원전 축소, 노후 화력 발전소 정지, 송전선로 경과지에서의 건설 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전력계통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여야 하는 대전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AC 기반의 계통 설비에 전력변환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DC 계통 및 FACTS 설비의 확대 적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가올 MV급 이상의 전력변환설비의 개념 및 개발 현황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the Injected Zero-Sequence Voltage for Improving Dynamics of Energy Balancing Control with Wye-Connected CHB Converter (Y 결선 CHB 컨버터 에너지 균형 제어 동특성 향상을 위한 주입 영상분 분석)

  • Kim, Jae-Myeong;Kim, Ye-Rin;Kim, Heung-Geun;Jung, Jae-J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6-337
    • /
    • 2020
  •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STATCOM)은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외란을 완화하는 등 전력 품질을 향상시켜 전력 계통을 안정화하는 시스템이다. Cascaded H-bridge(CHB) 컨버터는 멀티레벨 구조를 가지므로 STATCOM 시스템 적용에 많은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멀티레벨 CHB 컨버터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균형 제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Y 결선 CHB 컨버터의 레그 에너지 균형 제어에 사용되는 주입 영상분 전압에 대하여 분석하고 균형 제어의 동특성 향상을 위한 전향 보상 계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부하 불평형뿐만 아니라 계통 사고로 인한 계통 및 부하 동시 불균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방법에 대한 수학적 타당성을 제시하고, 50MVA의 실제 스케일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였다.

  • PDF

Searching for the SCM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Power Attribute and Partnership (파워 유형과 파트너십 연계를 통한 공급사슬관리 개선방안 모색)

  • Jung, Dae-Hyun;Park, Kwang-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5 no.3
    • /
    • pp.57-79
    • /
    • 2016
  • It is required to derive various conclusions by identifying the type of pow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Ms and presenting practical implications. Thus, we can identif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type of power on SCM performance. We can contribute to develop the practical implications at more sophisticated multi-dimension by comparing results of this study with various SCM theorie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source of power is largely divided into binding power and non-binding power. Binding power is classified into behavior coercion, binding reward and relationship legitimacy. Non-binding power is classified into work expertise, information superiority and value compliance. Enterprises should fully understand and recognize partners within supply chains including understanding of the source of power, imbalance and results. Thus, we look into types of power and effects on trust and commitment, and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leading to collaboration and SCM performanc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nding power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trust. However, the binding power gave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to the commitment. Second, non-binding powe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rust and commitmen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otal effects, it was shown that non-binding power gave indirect effects to collaboration and SCM performance. Third, it was shown that both trust and commitment significantly affected collabor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exchange theory and trading cost theory among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theory, it may lead to SCM performance of trust, commitment and collabora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association of each attribute of power led to the significant result. Fourth, it was shown that trust and collabo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CM performance. However, commitment did not directly affect SCM performance, but it indirectly significantly affected SCM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on. Proper use of this power can firmly build partnerships between members of the supply chain and induce the improvemen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members.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won City Bus Route using GWR Model (GWR모델 이용한 수원시 일반버스노선 최적화에 관한 연구)

  • Park, Cheol Gyu;Cho, Seong K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1
    • /
    • pp.41-46
    • /
    • 2014
  • Bus service is easily adjusted to accommodate the changed demand. Despite the flexibility of that, its relocation should overcom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Bus line rearrangement should consider the balance between the demand and the supply to enhance the transit equity among the users scattered around the area that supply against demand imbalances. Second, the existing demand analysed is to crude since the demand was analysed based on TAZ. mainly based on the Dong unit. Utilization of the GWR and GIS-T data can resolve the problem. In this paper,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transit demand analysis model is overcome by deploying the GWR model which identifies the transit demand based on the geographic relation between the service location and those of the users. GWR model considers the spatial effect of the bus demand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to the each bus stops using SCD(Smart Card Data) and BIS(Bus Information System). This demand map was then superimposes with the existing bus route which identified the areas where the 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is severly skewed. since the analysis was computed with SCD and BIS at every bus stops. the shortage and surplus of bus service of entire study area could computed. Further. based on this computational result and considering the entire bus service capacity data. Bus routes optimization from the oversupplied areas to the undersupplied area was illustrated thus this study clearly compared the benefits the G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