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관리 모델

Search Result 37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소비자 도메인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

  • Park, Wan-Gi;Lee, Il-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2
    • /
    • pp.51-58
    • /
    • 2013
  • 글로벌 기후변화 및 에너지 고갈 문제가 전(全) 지구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그린 에너지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존 주력 기술분야와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탄생한 기술 분야이며, 녹색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 사례로 분류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개념이 국내에 도입된 이후 기술 개발 성과 실증과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자 시작되었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 사업도 금년 5월을 기점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을 통해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다양한 에너지관리 솔루션 구축 방법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되었으나 표준화 기반의 상호운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컨소시엄 간의 시스템 연동이 어려운 문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그리드는 보다 강건하고 신뢰성 있는 전력시스템의 현대화 및 지능화를 위하여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력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양방향 전력 및 정보의 실시간 교환 특성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1년 9/15 순환정전 사태는 전력공급 정책과 더불어 전력 소비자에 대한 관리 기능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가지는 소비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그리드 ICT 기술에 대하여 일부 주요 사항을 발췌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그리드의 전체적인 현황, 소비자 도메인에서의 스마트그리드 요소기술 및 ICT 기술의 핵심이 되는 소비자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소비자 도메인 ICT 기술에 대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Index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로 위험도 예측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Ye Ji Choi;Han Na Jung;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2-402
    • /
    • 2023
  • 상수관망은 충분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물이다. 상수관로의 노후화, 누수 등은 수도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지능형 상수도관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수도 수질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사전에 취약지점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와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상수관로 위험도와 관련된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인자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상수도 위험도 평가 항목에 대한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를 정립하여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지표의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 검증을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문헌 자료의 평가항목들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인자를 31개의 직접 인자와 5개의 간접 인자로 구분하였고, 인자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직접 인자는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 항목,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부식성 항목,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계측 항목, 직접적인 수질 결과를 제공하는 정수장 수질 항목, 상수관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자산관리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추후, 위험도 평가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상수도 사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AI-based composite sensor pre-verification system for energy management and composite sensor verification in water purification plant (정수장에서의 에너지 관리 및 복합센서 검증을 위한 AI 기반 복합센서 사전검증시스템 구축)

  • Kim, Kuk-Il;Sung, Min-Seok;An, Sang-Byung;Hong, Su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43-46
    • /
    • 2022
  •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can be carried out only when the required flow rate is supplied in a timely manner using the minimum electrical energy by accurately predicting the pattern and amount of tap water used in the consumer.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ap water production and supply, a system that can be pre-verified before applying AI-based composite sensors to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was established to derive complementary matters through the pre-verification model for each composite sensor and improve the quality and operation stability of the composite sensor data.

  • PDF

A Model of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Rental Housing Utiliz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정보단말기(PDA)를 활용한 공공임대주택 유지관리시스템 모델)

  • Lee, Seok-Won;Won, Jo-Youn;Kim, Chang-Duk;Yu,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781-786
    • /
    • 2007
  • According to increase in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in connection with support plan of housing welfare from government, necessity of maintenance management is coming to be important.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grasped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a web bas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s well as a critical point for improvement of problem and elevation of efficiency about maintenance management process. As we present not only useful possibility of ubiquitous equipments utilizing IT like PDA but effectiveness by using, based on this result, we represent course of improvement to systematic development for user that complement the existing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which is currently developed.

  • PDF

Distributed Power Facility Data Base Construction in Web-Based Nationwide Network (전국을 네트워크화한 웹기반의 분산형 전원설비 DB 구축)

  • Cho, Sung-Chul;Han, Hoo Sek;Kim, Ki-B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70-1071
    • /
    • 2015
  •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분산형 전원설비의 구성요소와 발전소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 개인 사업자 및 공급자가 해당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웹기반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표적인 분산형 전원설비인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 발전소의 구성요소 사양들과 전국 발전소의 설치 및 발전용량들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는 웹기반의 통합관리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검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발전소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는 통계기법을 통하여 수익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향후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하여 통합관리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Blockchain-based Renewable Energy Trading (블록체인 기반 신재생에너지 거래 연구)

  • Kim, Jae-Hyeong;Min, YounA;Baek, Y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97-199
    • /
    • 2020
  • 환경문제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전과의 상계거래 체결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태양광 에너지 관리는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대표적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태양광패널의 잉여 전력량을 이웃과 거래하는 P2P(Peer to Peer)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을 통하여 각 가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에너지에 대한 수요-공급량을 도출하고 균형거래가격을 결정하여 참여자 간 합리적 에너리 관리가 가능하다.

  • PDF

An IT Convergent Service Engineering Model based on the Dynamic Innovation Theory (동태적 혁신이론 기반의 IT 융합 서비스공학 모델)

  • Kim, Jong-H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49-355
    • /
    • 2007
  • 최근, 맞춤의료서비스, 헬스와 웰빙의 복합서비스, RFID 기반의 공급망 관리 서비스와 같이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등이 융합된 혁신적인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접근방법으로는 새로이 출현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분석의 단위를 조직이나 정보 시스템 수준에서 서비스 수준으로 하향하는 것과 요소기술이 서비스로 변환되어 소비자에게 수용되는 전체과정을 동태적, 공학적으로 설계하는 접근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 기술의 출현, 성숙, 시장으로의 유입과 소비자에 수용되는 서비스 생명주기 전 과정을 통태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틀을 제시하고 의료서비스에 특화 하여 서비스 공학적 관점에서 IT, BT, NT가 융합된 서비스를 설계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서비스의 특성과 서비스 시스템 설계의 목표를 제시하고 동태적 혁신이론에 기반하여 서비스의 탄생부터 시장에서의 수용에 이르는 생명주기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한다. 이 모델의 시간 축을 분기하여 단계(Stage)들을 도출하고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활동들을 설계한다. 아울러 모델의 실제적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의료분야의 관련사례를 제시하고 조직의 서비스전략과 다변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논리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동태적 공학모델은 IT 생태계 (IT Ecosystem) 하에서 조직 및 IT 요소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형성하고 진화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Web Service based ASP e-Business Model for QR(Quick Response) System in Textiles and Clothing Industry (섬유$\cdot$의류산업에서의 QR(Quick Response) 시스템 구현을 위한 웹서비스 기반 ASP e-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 Shin, Sang-M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1 no.1
    • /
    • pp.127-144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Web service based ASP (WS-ASP) model for QR(Quick Response) system,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in the textiles and clothing industry. The Korean textiles and clothing industry is mostly composed of medium and small-sized companies, which are not capable of recruiting If specialists and making a large scale investment in IT. ASP model not only let them obtain QR system at relatively low usage cost, but also take higher vendor risk due to high dependency. This paper argue that WS-ASP model is appropriate for QR systems by complimenting ASP model with lower vender risk, which results from re-integrating software-on-demand services distributed to several QR specialized WS-ASP vendors.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AI Model DNN-RNN (태양광 발전량 예측 인공지능 DNN-RNN 모델 비교분석)

  • Hong, Jeong-Jo;Oh, Yong-Su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3
    • /
    • pp.55-61
    • /
    • 2022
  •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es, the main culprit of global warming, the United Nations signed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in 1992. Korea is also pursuing a policy to expand the supply of renewable energ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ing solar power led to the expansion of wind pow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is creating difficulties in managing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power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e power brokerage market was introduced. Therefore, in order to participate in the power brokerage market,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n this paper, the prediction system was used to analyze the Yonchuk solar power plant. As a result of applying solar insolation from on-site (Model 1) and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odel 2), it was confirmed that accuracy of Model 2 was 3% higher.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NN and RNN model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DNN model improved by 1.72%.

Development of a pipe burst detection model using large consumer's smart water meter and pressure data (대수용가 스마트미터와 수압 데이터를 이용한 소블록 내 관 파손사고 감지모델 개발)

  • Kyoung Pil Kim;Wan Sik Yu;Shin Uk Kang;Doo Yong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21-521
    • /
    • 2023
  • 지방상수도의 관 파손사고 감지 및 누수관리 방법에는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블록별 야간최소유량 감시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야간최소유량은 새벽 2시와 4시 사이의 인구 활동 비율이 가장 낮은 새벽 시간대에 소블록에 공급된 유량을 의미하며, 대부분 유량 성분은 누수량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아파트 중심의 주거 형태를 보이는 도심지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도 다량의 물수요가 비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망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관리기준으로서 야간최소유량을 이용하기에는 높은 일간 변동성에 따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야간최소유량은 관 파손사고 발생의 감시보다는 관로 연결 또는 급수전 분기 부위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누수가 수개월에 걸쳐 누적되는 장기추세를 분석하여 누수탐사반의 투입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아직까지 관 파손사고의 발생은 자체적인 감지보다는 민원에 의해 인지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스마트관망 구축사업(SWM) 등을 통해 관 파손 및 누수 감지를 위한 청음식 누수감지센서가 소블록 내 도입되고 있으나, 초기 시설투자에 큰 비용이 수반되며 주변 소음과 배터리 전원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새벽 시간대에만 분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도 상시적인 관 파손사고의 감시기술이라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소블록 유입점에서의 유량·압력과 소블록 내에 설치된 대수용가 스마트미터, 그리고 사고감지를 위한 수압계 사이의 평상시 수리적 균형을 학습한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관 파손사고를 실시간 감지하는 모델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델은 관 파손사고 감지를 위한 수압계의 최적 위치와 대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과 관 파손사고 감지모듈로 구성되며, 1개 소블록 Test-Bed를 구축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PDD 관망해석 모델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사고에 대한 감지 여부로서 개발 모델의 감지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