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군

Search Result 37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확률효과회귀모형을 이용한 공군 전투기 모듈의 동적 예방정비 주기 예측

  • Son, So-Yeong;Yun, Gyeo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27-932
    • /
    • 2005
  • 전투기를 적절히 정비하는 활동은 공군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일반적인 정비정책은 정해진 일정으로 주요 모듈의 정비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비활동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모듈의 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변동되는 평균 고장간 시간 (MTBF) 과 평균 수리 시간 (MTTR)을 산출할 수 있는 확률효과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모듈의 특성을 반영한 동적 예방정비 주기를 예측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 준비 태세 향상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호주 공군의 새로운 사업계획

  • Park, Seong-J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135
    • /
    • pp.56-63
    • /
    • 1990
  • 호주 공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여러가지 사업들은 첨단 전자장비의 성능개량 특히 그중에서도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향상에 모아지고 있다. F/A-18의 경우 호주업체와 정부연구기관의 설계, 개발, 시험기술에 의해 호주 공군이 요청하는 대로 이 전투기의 잠재능력을 도출한후 필요한 성능개량작업을 대부분 수행할 것이다. 이에 따라 F/A-18은 보다 긴 항속능력, 장거리 항법시스템, 신형 레이다, 하픈(Harpoon)과 같은 신형 대함미사일을 장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미 공군 시험평가 조직 및 기능분석

  • Lee, Hui-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57
    • /
    • pp.42-47
    • /
    • 1992
  • 시험평가는 완성된 무기체계에 대한 시험평가에 그치지 않고 개발초기부터 개입하여, 작전배치후 상당기간 운영단계까지 지속되므로 무기체계 연구개발의 각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필자는 시험평가기술을 갖추고자 하는 국내요구의 일환으로 최근 미 공군의 운용시험평가사령부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실제 시험평가를 수행하는 예하부대를 방문하여 각종 무기체계 시험평가팀과 면담을한 바도 있어 이를 바탕으로 미 공군의 시험평가 조직 및 세부기능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연구여적 - 행방불명된 국산 1호 비행기

  • Lee,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9 s.364
    • /
    • pp.82-83
    • /
    • 1999
  • 국산 1호 비행기 "부활호"는 46년 전 휴전협정에 막바지로 접어들 때 당시 필자가 출강하던 서울공대 항공공학과 학생들의 참여로 탄생했다. 그러나 이 "부활호"는 필자가 11개월의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보니 행방불명이 되었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미 공군 군사고문단에서 시험평가를 하기 위해 미국 본토로 가져갔다는 것이다. 우리 손으로 만든 국산1호 비행기가 그 실체는 없어졌지만 다행히 최근에 공군에서 실물대로 복원, 공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Pilot's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공군 조종사의 소명의식과 이직의도의 관계 : 역할갈등의 매개효과)

  • Ham, Seongsoo;Sohn, You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7 no.1
    • /
    • pp.1-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of Republic of Korea Air force pilo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Survey data from 211 Pilots in R.O.K. Air force bases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Role conflic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ird, Role conflict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lling may play a critical role in Turnover intention and Role conflict of R.O.K. Air force pilot.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limit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 study of the cockpit optimization (한국형 조종실 설계)

  • C.M. Lee;S.K. Park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2.10a
    • /
    • pp.22-25
    • /
    • 1992
  • 항공산업은 그 특성상 고도의 신뢰성, 안정성이 요구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는 복잡하고 정밀한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다른 산업제품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그부가가치를 가지고, 타 산업에의 기술 파급 효과가 역시 지대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부존자원이 빈약하나 인적 자원이 우수하고 풍부한 나라에서는 자원절약형 산업인 항공산업의 타당성을 검토, 장기적인 육성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공군의 초, 중등훈련기 개발을 추진 중에 있음은 KFP(Korea Fighter Program)사업과 함께 매우 중요한 의미을 갖는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한국인의 인체특성에 보다 적합한 항공기의 개발은 가장 시급한 과제이며,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연구로 조종실 내부설계에 필요한 기준점 및 치수, MIL-SPEC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치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항공기(F-5, F-4, F-16)칫수를 측정하여 이를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로 제시하고, 항공기 제어계통인 조종간, 동력제어기, 러더페달 및 조종석의 실제 측정치와 공군 조종사의 인체측정치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전투기들의 정면 계기판과 좌, 우측의 제어판의 표시장치 및 조작기들을 기능별로 구분하여 각 요소별 제한조건 및 설계지침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F-22 Raptor 개발 현황

  • Im, Jong-Ch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22
    • /
    • pp.68-77
    • /
    • 1997
  • 미 공군은 신형 전투기의 개발에서 초음속 순항능력, 긴 항속거리, 낮은 피탐지율, 신속한 기동성, 높은 신뢰도를 주요 설계 착안점으로 생각하고 90년대 후반에 작전 배치하여 21세기가 시작되는 시기에 미 공군의 일차적인 전투기로 활용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 PDF

군 우주기상 지원을 위한 기반 연구

  • Choe, Ho-Seong;Jo, Gyeong-Seok;Kim, Yeon-Han;Lee, Jae-Jin;Gwak, Yeong-Sil;Hwang, Jeong-A;Choe, Seong-Hwan;Jo, Il-Hyeon;Park, Yeong-Deuk;O, Su-Yeon;Jo, Jeong-Won;Lee, Bong-U;Kim, Bom-Si-Nae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25.5-26
    • /
    • 2009
  • 인류의 활동 무대가 우주공간으로 확대됨으로써 우주기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치가 요구됨에 따라 우주기상에 대한 감시 및 예 경보 업무가 필요해 졌다. 미국은 이미 우주기상 감시와 예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해양대기청(NOAA), 미 공군(USAF), 항공우주국(NASA), 내무부(DOI), 에너지부(DOE), 과학재단(NSF)이 연합하여 1996년 국가우주기상 프로그램(National Space Weather Program)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부연구 기관인 NOAA 산하 우주기상예보센터(Space Weather Prediction Center; SWPC)와 미 공군 기상국(AFWA)은 우주기상 자료 생산, 수집, 자료 센터 운용, 연구 지원 및 예 경보 업무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자료 및 정보의 교환 등 매우 밀접하게 상호협력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과학기술 7대 중점투자 분야별 중점육성후보기술로서 우주감시체계개발기술을 포함한 국가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을 수립 발표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군은 향후 우주군 창설을 목표로 우주전력 기반체계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국방부는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비한 독자적인 작전지휘능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며, 미래의 한국군 독자적 네트웍 중심 전장(NCW: Network Central Warfare)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미 공군의 "우주기상작전센터"와 같은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군의 독자적 우주작전능력 확보를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사전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내용으로 우주기상에 대한 개요 및 우주기상의 변화에 따른 국내외 영향을 조사하고 국내외 우주기상 예 경보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미공군의 우주기상 활용 상태를 점검하여 한국 공군을 위한 우주기상 예 경보 체계 구축 및 인력과 기술 확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eroperability of ROK Air Force Virtual and Constructive Simulation (공군 전투기 시뮬레이터와 워게임 모델의 V-C 연동에 대한 연구)

  • Kim, Yong Hwan;Song, Yong Seung;Kim, Chang O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8 no.2
    • /
    • pp.169-177
    • /
    • 2019
  • LVC(Live-Virtual-Constructive) training system is drawing attention due to changes in battlefield situ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ROKAF(Republic of Korea Air Force) plans to construct LVC training system capable of scientific training. This paper analyzes the results of V-C interoperability test with three fighter simulators as virtual systems and a theater-level wargame model as a constructive system. The F-15K, KF-16, and FA-50 fighter simulators, which have different interoperable methods, were converted into a standard for simulation interoperability. Using the integrated field environment simulator, the fighter simulators established a mutually interoperabl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hanggong mode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raining model of the Air Force, was converted to the standard for simulation interoperability, and the integrated model was implemented with optimized interoperability performance. Throughput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fighter simulators and the war game model of the ROKAF could be interoperable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good reference for the future study of the ROKAF LVC training system.

1990년대 근접 항공지원(CAS)(2)

  • Lee, Hui-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150
    • /
    • pp.76-79
    • /
    • 1991
  • 오늘날 지상군을 지원하기 위한 근접 항공지원(CAS)은 무장투하의 정확성과 타이밍에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하였다. 특히 미국은 서방세계 국가들에 널리 통용되는 근접 항공지원의 유형을 창출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미국 공군이 앞으로 지향하려는 방향에 대해서는 그 적용기술의 타당성 여부가 증명되지 않아 많은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어디에 와 있고, 앞으로 어디로 갈 것인가를 점검해 보는 것은 아시아 국가들의 공군으로서는 의미있는 일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