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구 변형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inite Element Analysis of Tool Deformation in End-Mill Process (엔드밀 가공시 공구 변형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 Jung Sung-Chan;Kim Kug W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90-9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절삭 가공시 공구가 받는 절삭력과 칩-공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절삭 열에 의한 공구의 변형을 예측하였다. 3D CAD를 이용하여 공구를 모델링 하였으며 절삭력과 절삭 열을 하중조건으로 부여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조건으로 사용한 절삭력과 절삭 열은 절삭이론을 이용한 절삭력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어떠한 사전 실험도 없이 절삭조건과 재료 물성치 그리고 공구 형상만을 알면 이에 따른 절삭력성분 및 절삭열 등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시 공구의 변형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Finite Element Analysis of Tool Deformation in End Milling (엔드밀 가공에서의 공구 변형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Kim Kug Weon;Jung Sung C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6 no.1
    • /
    • pp.83-86
    • /
    • 2005
  • This study is predicted tool deformation by cutting forces and chip-tool interface temperature in machining process. Modeling of tool is made using 3D CAD software, finite element method is performed by cutting forces and temperature. Cutting forces and temperature used load conditions are predicted using the cutting force model based on machining theory. Experimental mill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cutting force model. Finally, this study is predicted cutting force components and temperature using cutting conditions, material property, tool geometry without experiment and tool deformation is predicted by cutting forces and temperature in machining process.

  • PDF

절삭가공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법의 적용

  • 김국원;안태길;이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10a
    • /
    • pp.81-81
    • /
    • 2003
  • 최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절삭가공을 해석하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다. 이 때 가장 문제되는 점이 피삭재에서 칩으로 분리하는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칩 분리 조건이라 일컬어지는 이 조건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칩 분리 판별 조건은 두 가지 유형 - 기하학적, 물리적으로 나눌 수 있다. 기하학적 칩 분리 조건은 공구 끝단과 바로 앞 요소의 거리를 기준으로 정해진 특정한 값에 도달하면 요소가 분리되는 혹은 없어지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며(Fig. 1 참조), 물리적 칩 분리 조건은 요소 내의 소성변형률 혹은 변형률 에너지 밀도함수 등의 값을 기준으로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element birth/kill 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판별조건에 도달하면 공구 끝단 앞의 요소가 사라지는 방법을 취하였다. Fig. 2는 절삭가공을 위한 유한요소 모델링을 나타낸다. 칩-공구 접촉 부위에 접촉요소를 사용하였으며, 피삭재의 왼쪽과 아래쪽 부위는 각각 변위구속을 하였다. 공구의 이동은 변위경계조건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구현하였다. 절삭력을 비교함으로써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피삭재 내의 응력, 변형률 분포 등을 살펴보았다.

  • PDF

Prediction of Cutting Force and Machinig Error in the Ball-end Milling Process (공구변형을 고려한 볼엔드밀의 절삭력과 가공오차 예측)

  • 조필주;김규만;주종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04a
    • /
    • pp.1003-1008
    • /
    • 1997
  • In this paper, the prediction of cutting force and tool deflection in the ball-end milling process are studied. Identifying various cutting region using Z-map, cutting force in the ball-end milling process can be predicted. Cutting force deflects the tool and the tool deflection changes the cutting force. Tool deflection is included in the cutting force prediction. Tool deflecition also causes machining error of the machined surfac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imulated cutting force and machining error.

  • PDF

Study on the Burr Formation and Fracture at the Exit Stage in Orthogonal Cutting (2차원절삭에서 공구이탈시 발생하는 버(Burr)와 파단에 관한 연구)

  • 고성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7 no.5
    • /
    • pp.1172-1182
    • /
    • 1993
  • In orthogonal machining a quantitative model for burr formation process and fracture when tool exits workpiece is proposed. When no fracture during burr formation burr formation process is divided by three parts; Initiation, Development and Final burr 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workpiece fracture will happen or not after initiation of burr form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fracture depends on the ductility of workpiece, the fracture strain obtained from ductile fracture criterion is used for prediction. It is verified that the fracture strain from tension test can be used as fracture criterion in burr formation without large error. For detailed observation of burr formation an experimental stage for micro orthogonal cutting inside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s built.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model prediction and experimental result from orthogonal machining in milling machine the model is verified.

Thermally-Expandable Molding Process for Thermoset an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열팽창 고무치공구를 이용한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성형공정 연구)

  • 금성우;이준호;안영선;남재도;임인철;이창희;김이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6-11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열팽창 고무 치공구의 팽창 특성을 이용하여 열경화성 복합재료를 경화하고 압축하는 과정을 실험과 모델링을 통하여 해석하였으며,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함침공정을 연구하였다. 열팽창 고무치공구가 사용되는 닫힌계와 열린계에서 예상되는 압력을 이론적으로 유도하였고, 경화가 수반되는 과정에 있어서는 실험을 통하여 열팽창치공구와 프리프레그가 나타내는 압력을 측정하였다. 온도가 상승하고 경화가 수반되는 경우에 등속도 압축실험에 의하여 얻어지는 응력-변형율 곡선은 비선형점탄성 특성을 보여주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Maxwell모델을 KWW(Kohlrausch-Williame-Watts)식으로 변형시킨 모델식을 이용하여 이를 매우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고무치공구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복합재료 성형공정을 실험하였고, 중성자 레디오그래피 촬영을 통하여 기공의 분포를 관찰하였다.

  • PDF

Thermally-Expandable Molding Process for Thermoset Composite Materials (열팽창 치공구를 이용한 열경화성 복합재료의 성형연구)

  • 이준호;금성우;장원영;남재도
    • Polymer(Korea)
    • /
    • v.24 no.5
    • /
    • pp.690-700
    • /
    • 2000
  • In this study, an elastomer-assistered compression mold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y experiments as well as modeling for the long-fiber reinforced thermoset composites. The consolidation pressure generated by fixed-volume and variable-volume conditions was thermodynamically derived for both elastomer and curing prepregs, and was compared with the pressure measured during curing of epoxy matrix. Exhibiting non-linear viscoelastic characteristics in the compressive stress-strain tests, the measured stress was well compared with a modifed KWW (Kohlrausch-Williame-Watts) equation, which is based on the Maxwell viscoelastic model. Using the developed model equations, the consolidation pressure generated by the elastomer was successfully predicted for the compression molding process of thermoset composite materials in tile closed mold system.

  • PDF

마찰특성이 미소절삭기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준;남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166-171
    • /
    • 1993
  • 절삭공구에의한 절삭가공은 오늘날 가장 보편화된 가공기술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각종 첨단산업의발전과 함께 초정밀 부품제작이 필수선결 조건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대한 해결방안중의 하나로 초정밀가공 기 술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구조해석분야의 해석방법론의 개발 및 보완에 힘입어 Klemecki(1973)에 의해유한요소법을 이용한 Chip생성기구 해석에 관한 연구가수행되었으며, Stevenson(1983) 등에의해단열조 건하에서 변형률과 온도 상태에서의 Chip형상, 잔류응결-변형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미소절삭기구를 모델링하고, 절삭인자규명을 중심으로 응력-변형률 해석을 실시함으로써, 미소절삭시의 Chip 생성기구 및 전단면 생성 원리, 공구와 Chip간의 마찰기구의 고찰을 통해기본 Mechanism 이해와 적절한 절삭유한요소모델 제시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특히 본 보고서에서는 미소 절삭기구의 적정한 Constitutive Deformation Law 마찰계수 등 주요절삭인자변경에 따른 미소절삭기구 해석에 주안점을 두어 연구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A Development of a Simulation System for Compensating Tool Deflections of a Ball-end Milling (볼 앤드밀 가공에서의 공구 처짐 보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박홍석;유재학;이재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0a
    • /
    • pp.206-210
    • /
    • 2000
  • 금형 및 자동차 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앤드밀 가공에서 종종 소비자가 요구하는 가공 정밀도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것은 열 변형, 공구 마모, 공작 기계 자체의 오차, 공구 처짐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구 처짐으로 발생되는 가공 오차를 줄임으로써 가공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차원 볼 앤드밀의 절삭력 모델을 개발하고 시뮬레이션한다. 또한, 상용 CAD 시스템의 형상 및 가공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모델링에서부터 가공 경로 생성, 그리고 경로 보정이라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공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공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 따라서, 실제 가공에서 보다 높은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