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 건물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2초

공공건물의 방화유지관리 S/W 개발 (A Development of S/W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Fire Protection in Public buildings)

  • 이수경;고찬;강계명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4
    • /
    • 1999
  • 국내에 건축되어 있는 대부분의 공공건물들은 화재발생 시 이를 신속히 발견하고,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소방시설을 갖추도록 법에서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 시 이러한 소방설비들이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으로 인해 조기진압에 실패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커다란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소방설비의 설계 및 시공의 문제점보다는 관리의 미숙함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방화유지관리자의 업무를 보조하고, 건물에 설치된 소방설비를 효율적으로 점검 관리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다. (중략)

  • PDF

LCC분석 기법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최적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f renewable energy optimal design using the LCC analysis)

  • 송호열;김정욱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45-50
    • /
    • 2015
  •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6위인 우리나라는 건물의 운영과 유지 및 관리에 소비되는 에너지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통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하는 공공의무화 제도(RPS)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되었던 기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에너지원별로 적정 조합 및 적용 비율을 도출하였고, 동적 에너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초기투자비, 에너지비, 보수교체비, 유지관리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열 100% 조합이 총 비용 2,105,974,344원으로 총 생애주기 비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그린을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기술 동향 (A Technology Trend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for Smart Green)

  • 허재두;이일우;박광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6호
    • /
    • pp.21-36
    • /
    • 2011
  •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형 주거 밀집공간, 대규모 상업건물, 정부 및 대기업의 사무용 공공건물에서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건물 위주의 수동적 제어방법에서 한 단계 앞선 최신의 ICT 기술을 접목하여 능동적으로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움직임 및 사용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즉, 조명, 냉난방/공조, 전기기기의 에너지 사용량을 30%까지 절감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고에서는 사용자의 만족도는 향상시키면서 건물 에너지는 절약할 수 있는 기술동향에 대해 언급한다.

  • PDF

불응축성 기체 환경에서의 연무/확산 경계층 응축열전달 모델 평가 (Evaluation of the Mist Diffusion Layer Condensation Heat Transfer Model with a Non-condensable Gas Present)

  • 변층섭;이재용;이창섭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1-376
    • /
    • 2003
  • 원자력 발전소에서 격납건물 계통의 건전성 유지는 냉각재상실사고(Loss of Coolant Accident: LOCA) 및 주증기관 파단(Main Steam Line Break : MSLB) 사고와 같은 설계기준사고 시 격납건물의 최대 온도/압력을 평가하는 격납건물 성능 평가는 격납용기 내에 방사능 물질을 효율적으로 가두어 방사능 피해로부터 공공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느냐 하는 관건이다.(중략)

  • PDF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k of Building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as Spatial Information)

  • 김창환;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3-103
    • /
    • 2014
  •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하여 선행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지적도와 건축물대장과의 연계나 토지와 2D기반 건물도면의 통합에 관한 연구가 제시된 바 있다. 지적정보는 지적재조사, 지적확정측량 등의 사업으로 인하여 그 정보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건물에 관한 정보는 설계분야에서 2D에서 단순한 외형적 3D 데이터가 아닌 BIM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맞아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맞는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국제 BIM표준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면 IFC4에서 개선된 기능 중에 하나는 GIS와의 상호운용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를 위해 각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정보는 데이터의 품질제고가 필요한데 다원화된 좌표계를 통일화, 개별지적도를 연속지적도화하도록 우선적으로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건물정보는 국내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BIM의 표준화가 시급한데 국제표준인 IFC4로의 빠른 도입과 앞으로 개발될 예정이 IFC5까지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BIM화 되어있지 않은 기존의 건축물에 대하여 BIM 역설계가 공공의 활용면에서 필요할 것이다.

공공도서관 공간운영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Constituents Analysi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pac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공간운영을 계획할 때 참조할 수 있는 기준과 권장사항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도서관이 새로운 공간계획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FLA의 도서관 공간산출법, 호주의 NSW 도서관의회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공간운영기준 그리고 프랑스의 대학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 권장사항을 조사 분석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간운영권 장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권장기준(안)은 공공도서관의 영역을 장서공간, 이용자공간, 사무공간, 문화공간, 지원공간 그리고 선택적 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각 개별 공간이 전체 도서관건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장서공간을 기준으로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준을 적용함에 있어 개별 도서관의 건물사정과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서관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 분석 - 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the Preference of Roof Spaces Depending on Building Types - A Focus on the Case of Seoul, Korea -)

  • 김은진;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0-20
    • /
    • 2014
  • 오늘날 옥상공간은 대부분 휴식과 같은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옥상공간의 이용이 적거나,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면, 옥상공간이 방치되거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어,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국내의 경우, 옥상공간은 비교적 획일적이고 단순하게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건물용도에 따라 이용자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도 다를 것이며, 옥상공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건물용도(공공건물, 교육연구건물, 의료건물, 판매건물)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지의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를 건물용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때,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에서 이용목적, 이용동기, 이용빈도, 평균체류시간이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목적의 경우, 모든 건물에서는 휴식을 위해서 옥상공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공건물에서는 대화와 흡연을, 교육연구건물에서는 흡연, 산책 및 스트레칭, 외부경관감상을, 의료건물에서는 산책 및 스트레칭과 대화를, 판매건물에서는 아이 돌보기와 대화를 목적으로 옥상공간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상공간의 선호도에서도 식물유형, 포장재, 시설물 선호도가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유형의 경우, 공공건물 이용자들은 초본류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의료건물 이용자들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판매건물 이용자들은 모든 유형의 식물을 다른 용도의 건물 이용자들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 차이를 고려하여 옥상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계층적 매칭 기법을 이용한 수치지도 건물 폴리곤 데이터의 자동 정합에 관한 연구 (Automatic Matching of Building Polygon Dataset from Digital Maps Using Hierarchical Matching Algorithm)

  • 염준호;김용일;이재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2
    • /
    • 2015
  • 공간정보 제작의 다원화로 인하여 다양한 수치지도들이 여러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제작됨에 따라 데이터의 상호 운용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매칭 기법을 활용한 이종 수치지도의 건물 데이터 자동 정합기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수치지도를 가구계 기반으로 분할한 후 ICP 알고리즘을 활용한 건물 기하보정을 1차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응 가능한 건물쌍의 중첩면적 유사도를 평가하여 대응 건물을 결정하고 Otsu 이진 임계화를 수행하여 매칭 비매칭에 대한 임계값을 자동으로 설정하였다. 1차 매칭이 완료된 후 임계값과 비슷한 유사도를 가지는 건물들을 오매칭 후보군으로 추출하여 개별 건물에 대한 ICP 알고리즘 기반의 기하보정을 다시 수행하고 형태학적 인자인 회전각 함수분석을 추가 적용하여 정합여부를 재판단하였다. 실험평가를 위해 제안된 알고리즘을 대표적인 공공분야 수치지도인 도로명주소지도와 수치지형도 2.0의 건물 데이터에 적용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결과 매칭 건물 및 비매칭 건물에 대한 F 측정치가 각각 2%와 17%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이종 수치지도 건물 정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