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의 태도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A Development for 'Attitude toward Work Scale' on Welfare Recipients)

  • 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207-225
    • /
    • 2004
  • 본 연구는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다양한 기존 척도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전문가조사와 실증조사를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연구절차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11개 문항 5점 척도이며, 독립과 자립, 일 자체, 근면과 성공이라는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에 대해 3개의 하위요인에 의해 설명되는 누적설명력은 54.9%였으며 내적 신뢰도는 ${\alpha}=.79$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에 의해 측정된 공공부조 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는 55점 만점에 43.9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 비해 이론적 검토 및 실증적 검증 절차를 거쳐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개발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공공부조수급자의 일에 대한 태도에 대한 과학적 측정도구의 적용으로 향후 학문적 연구주제가 다양화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 공공부조 정책의 개선과 보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공공 서비스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인간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는 디자인 요인의 효과 연구 (Public Service-Oriented Mobile Applications in Facilitating Changes in Human Behavior: The Effects of Design Factors)

  • 이연님;김선희;권오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93-115
    • /
    • 2015
  • 스마트폰의 획기적인 사용량 증가에 따라 모바일 앱은 에너지 절감과 같은 공공 영역에서의 인간행동변화를 가져오는 유력한 방법이 되었다. 이를 위해 앱과 행동 변화 간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은 공공 기관으로 하여금 보다 더 효과적인 공공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활동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과학 접근법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화, 접근성, 표현의 풍부성과 같은 공공 서비스 중심의 모바일 앱의 디자인적 요인들이 사용자의 인지적, 감성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디자인적 요인들이 사용자의 인지적 감성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인지적 태도는 사용자의 행동 변화와 감성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한편 감성적 태도는 공공 모바일 앱의 평균 사용시간과 에너지 절감이라고 하는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광고와 공공광고의 효과 측정: 정부·공공광고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Effect Measurement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Acceptance Proces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 김병희;손영곤;조창환;이희준
    • 광고학연구
    • /
    • 제28권6호
    • /
    • pp.7-34
    • /
    • 2017
  • 광고효과를 둘러싼 논의는 광고 연구의 가장 큰 갈래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하지만 정부 공공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과 관련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정부광고를 평가할 수 있는 지수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7대 도시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정부 공공광고의 창의성 평가 요인(독창성, 명료성, 적합성)과 정책 내용성 평가 요인(흥미성, 회피성, 상관성)을 토대로 수용자들의 인지, 태도, 행동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성과 회피성을 제외한 독창성, 명료성, 흥미성, 상관성은 정책 이해, 수용자 태도, 정책 구전의향 등 정부광고 효과를 창출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정책 이해도와 수용자 태도는 정책 구전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매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효과적인 정부 공공광고를 제작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Ajzen의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 (A Study for Identifying Affecting Factors on the Intention of Public Library Use: Based on Ajzen's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연지은;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01-4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Ajzen의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바탕으로 시민들의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ETPB의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추가하여 도서관 지식, 그리고 개인적 특성과 같은 요인들을 기반으로 설문지를 개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서관 지식인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도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 역시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며, 개인적 특성 중 연령대, 최종학력, 가계소득, 공공도서관 이용 경험이 공공도서관 이용 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범위 확대를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하였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이라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전력공기업의 지방이전 대상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oth Organizational Change Awareness of Public Agency Reloc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Attitude : Focused on the Employees of Electric Power Public Enterprise to be Relocated)

  • 이준태;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5호
    • /
    • pp.205-219
    • /
    • 2014
  •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정부정책에 따라 지방이전을 해야 하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은 가족의 생활터전이 바뀌거나 단신 부임으로 가족과 떨어져 별거생활을 해야 하는 등 새로운 근무환경과 생활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조직변화에 대한 이전기관 종사자들의 인식을 개인-조직 적합성(P-O fit)이론에 적용하여 파악하고, 긍정적 인식 또는 부정적 인식에 따라 직무태도인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공직자들 고유의 내재적 동기인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직무태도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전력공기업의 지방이전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은 조직몰입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나, 이직의도와 공공봉사동기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공공봉사 동기는 조직몰입과는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또한, 공공봉사 동기는 조직변화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점과, 조직몰입 또한 공공봉사동기와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 PDF

우리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공공도서관 사서직에 적합한가? (LIS curriculum in korea, Is it proper for public librarianship)

  • 이기명;이제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33
    • /
    • 2005
  • 이 연구는 '우리 문헌정보학은 현장의 요구와 필요에 충실히 부응하고 있는가?'에 대한 기본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공공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기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고 있는 지식(knowledge), 기술(skill)과 태도(attitude)는 무엇인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현장의 관점을 중시하며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이 보완${\cdot}$강화해 나가야 할 부분을 짚어보았다.

  • PDF

기업의 공공성이 사회적 책임 인식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Publicity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Brand Attitude)

  • 강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79-391
    • /
    • 2020
  • 한국사회를 주도해온 성장주의 패러다임이 이제 임계점에 도달하였다. 기업에게 개별적인 경쟁을 통한 성과 창출에 열중하기 보다는 공공성의 가치를 둔 상생과 연대적인 성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업 공공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들의 호감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인과관계를 검증을 통해서 공공성이 기업운영에 실체적인 경쟁력이자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핵심 경영 활동으로 인식될 가능성의 탐색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 공공성은 진정성, 능동성, 공익성, 화합성, 공동체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평가 전반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브랜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의 공공성 강화와 그에 따른 실천적 행위를 강조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an's Core Competency Value)

  • 박희진;김진묵;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5-360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수준을 진단하는 자가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 실증적 연구방법을 통해 역량가치 평가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사서의 역량강화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지표를 공공도서관 관점에서 수정, 보완하여 직급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질인 공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자가진단 도구가 제시되었다. 공공도서관 사서 역량에 대한 자기 진단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전문직 사서가 갖추어야할 공통역량의 습득 정도를 보통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의 전체 역량 중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사서 재교육 체계 구축 및 강화가 필요하며 전문직으로서의 사서 직무에 대한 대외 홍보, 사서 전문역량 계발을 위한 체계적 제도와 전문성 계발을 위한 인사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지역공동체의식이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ense of Community on Public Delivery Applications Attitudes and Intentions to Use)

  • 정지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27-133
    • /
    • 2022
  •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배달 앱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로운 배달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민간배달 앱의 플랫폼 독점과 중개 수수료 인상 등의 사회적 문제가 등장하자 이를 해결하고자 2020년부터 많은 지자체에서는 공공배달 앱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민간배달 앱 사용에 익숙한 소비자는 거주하는 지역의 공공 배달 앱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용율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의식과 서비스 품질(정보품질, 배달품질)이 공공배달 앱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공동체의식과 정보품질은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배달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배달 앱 이용태도는 공공배달 앱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동시에 지역공동체의식, 정보품질과 공공배달 앱 이용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배달 앱 활성화를 위해서는 홍보와 마케팅뿐만 아니라 지역공동체의식 강화 노력과 함께 정보품질 향상을 위한 상품 검색, 사용자 리뷰 조회 등 사용자 편의성 개선을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