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문화시설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Heritage Valu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 Focusing in Suwon Hwaseong Fortress - (역사적 도시환경의 보존형태 분석을 통한 유산적 가치 고찰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

  • Gil, Ji-Hye;Hwang, Kee-Won;Son,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2
    • /
    • pp.67-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historic valuable resources to conserve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preservation status of historic urban environment in Suwon Hwaseong Fortress. As for the conservation of urban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protect the resources showing historical continuity and to manage the resources remain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analysis of the preservation status i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preservation of physical form and land use. This paper makes progress through three phase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urban environment in Hwaseong Fortress overall, it compares land registration original map in 1911 to current map in 2014 by the four items of topography, water environment, streets and sites. Next, changes of four items in urban environment have been reviewed further by the research of maps, relative literatures, field survey and interview, an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preservation-partially preservation-disappearance. After analysing preservation status, valuable urban historic cultural resources are drawn separately by being preserved continually and by being preserved partially but remaining characteristics of place. As a result, natural factors of topography and waterway and urban factor of streets are remained considerably preserved. And even if these factors are changed, the ground environment features support to understand historic urban context. Second, as preservation of topography, water environment, streets and sit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tegrated conservation frameworks are needed to enhance urban historic landscape. Third, modern historic resources in Hwaseong are remained unchanged and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urban historic environment by the layers of various times besides Joseon Dynasty period. Fourth, historic sites and streets which had been preserved through urban development process are destroyed by recent historic cultural restoration policies, therefore urban historic resources worthy of conservation should be treated prudently.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Time Series Analysis of Urban Park Behavior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 Woo, Kyung-Sook;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1
    • /
    • pp.35-45
    • /
    • 2020
  •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k as a space to support the behavior of urban citizens in modern society. Modern city parks are not spaces that play a specific role but are used by many people, so their function and meaning may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In addition, current online data may determine the selection of parks to visit or the usage of park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behavior in Yeouido Park, Yeouido Hangang Park, and Yangjae Citizen's Forest from 2000 to 2018 by utilizing a time series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Big Data techniques such as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usage behavior of Yeouido Park has changed over time to "Ride"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period (I), "Take"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Behavior) for the second period (II), "See" (Communicative Behavior) for the third period (III), and "Eat" (Energy Source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In the case of Yangjae Citizens' Forest, the usage behavior has changed over time to "Walk"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s (I), (II), (III) and "Play" (Dynamic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Yeouido Park was had various factors related to sports, leisure, culture, art, and spare time compared to Yangjae Citizens' Forest. The differences in Yangjae Citizens' Forest that affected its main usage behavior were various elements of natural resources. Second, the behavior of the target areas was found to be focused on certain main behaviors over time and played a role in selecting or limiting future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s had not been utilized evenly, as various behaviors have not occurred, however, a certain main behavior has appeared in the target area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usage of urban parks using Big Data techniques, and determined that urban parks are transformed into play spaces where consumption progressed beyond the role of rest and walking. The behavior occurring in modern urban parks is changing in quantity and content. Therefore, through various types of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ehavior collected through Big Data,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citizens are using city parks. This study found that the behavior associated with static behavior in both parks had a great impact on other behaviors.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through IUHPE - Possibilities of collaboration in East Asia - (IUHPE를 통한 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발달-동아시아권의 공동연구의 가능성-)

  • Moriyama, Masa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16
    • /
    • 2004
  • This paper considers the possibilities of health promotion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1) IUHPE, (2) socio-cultural similarities, (3) action research, and (4) learning from our past. 1. The IUHPE values decentralized activities through regions, and countries such as Japan, Korea, Hong Kong, Taiwan and China belong to NPWP region. Since IUHPE World Conference was held in Japan in 1995, Japan used to occupy more than 60% of NPWP membership. After 2001, membership is increasing rapidly in Chinese speaking sub-region. The transnational collaboration is still in its beginning phase. 2. Confucianism is one of key points. Confucian tradition should not be seen only as obstacles but as advantages to seek a form of health promotion more acceptable in East Asia. 3. Within the new public health framework, people are expected to create and live their health. However, especially in Japan, the tendency of 'lacking of face-to-face explicit interactions' is still common at health-promotion settings as well as academic settings. Therefore, the author tried participatory approaches such as asking WlFY (interactive questions designed for subjects to review their daily life and environment) and as introducing round table interactions. So far, majority of participants welcome new trials. 4. The following social phenomena are comparatively discussed after Japanese invasion and occupation of Korea ended in 1945; ·status of oriental medicine, ·separation of dispensary services, and ·health promotion specialist as a national license. In contrast to Japanese' tendency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postponing of substantial social change, trend toward rapid and dynamic social changes are more commonly observed in Korea. Although all of above possibilities are still in their beginning stages, they are going to offer interesting directions waiting for further challenges and accompanying researches.

  • PDF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mart Garden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 Woo, Kyung-Sook;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9 no.2
    • /
    • pp.51-60
    • /
    • 2021
  •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nformed and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which humans, objects, and networks relate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a garden system has emerged that makes it easy to supply the ideal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moisture conditions to grow pla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oncept, perception, and trends of smart gardens, a recent concep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text mining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mart gardens are new gardens in which IoT technology and gardening techniques are fused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hanges in people's lifestyles.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smart gardens are becoming a reality due to the need for living spaces where humans and nature can co-exist. With the advent of smart garden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gardens' vitalization to deal with changes in garden-related industries and people's lifestyles. Second, in current research related to smart gardens and users' experiences, the technical aspects of smart gardens are the most interesting. People value smart garden functions and technical aspects that enable a safe, comfortable, and convenient life, and subjective uses are emerging depending on individual tastes and the comfort with digital devices. Third, looking at the usage behavior of smart gardens, they are mainly used in indoor spaces, with edible plants are being grown.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a possible food crisis, the tendency is to prefer the cultivation of plants related to food, but the expansion of garden functions can satisfying users' needs with various technologies that allow for the growing of flowers. In addition, as users feel the shapes of smart gardens are new and sophisticated, it can be seen that design is an essential factor that helps to satisfy users. Currently, smart gardens are developing in terms of technology. Howe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smart garden are the combination of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rather than focusing on growing plants conveniently by simply connecting potted plants and smart devices. It strengthens connectivity with various city services and smart homes. Smart gardens interact with the landscape of the architect's ideas rather than reproducing nature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sign that considers the functions of the garden and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citizens indoor and urban parks and public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and gardening among generations targeting those who do not enjoy 'smart' services due to age and bridge the digital device and information gap. Smart gardens have potential as a new landscaping space.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 Seol, Moon-Wo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6
    • /
    • pp.103-149
    • /
    • 2010
  • Documentation strategy has been experimented in various subject areas and local regions since late 1980's when it was proposed as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s by archiva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Though it was criticized to be too ideal, it need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ities of the strategy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digit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lementation issues of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of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The documentation strategy which was developed more than twenty years ago in mostly western countries gives us some implica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even in current digital environments. They are as follows; Firstly, documentation strategy can enhance the value of archivists as well as archives in local regions because archivist should be active shaper of history rather than passive receiver of archives according to the strategy. It can also be a solution for overcoming poor conditions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Secondly, the strategy can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collecting institutions including museums, libraries, archives, cultural centers, history institutions, etc. in each local region. In the networked environment the coopera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an in traditional environment where the heavy workload of cooperative institutions is needed. Thirdly, the strategy can facilitate solidarity of various groups in local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projects,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ir knowledge, passion, and enthusiasm of related group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trategy. It can also provide a methodology for minor groups of society to document their memori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archival infrastructure of Korean as follows; Firstly, very selective and intensive documentation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comprehensive one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Though it is a very political problem to decide what subject has priority for documentation, interests of local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professional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eriously. Secondly, it is effective to pl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local history in the distributed custody of local archives.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archival gateway for integrated search and representation of local archive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archiv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try digital documentation using Web 2.0 technologies. Documentation strategy as the methodology of selecting and acquiring archives can not avoid subjectivity and prejudices of appraiser completely. To mitigate the problems, open documenta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reflecting different interests of different groups. Fourth, it is desirable to apply a conspectus model used in cooperative collection management of libraries to document local regions digitally. Conspectus can show existing documentation strength and future documentation intensity for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Using this, documentation level of each subject area can be set up cooperatively and effectively in the local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