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 건립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 연구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1-7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보존서고 건립환경인 공공도서관 수장공간 부족률, 시도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우선순위, 수행해야 할 주요 기능과 업무, 바람직한 입지조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기본원칙, 건축규모, 공공도서관의 이관자료 기준과 소유권 문제, 바람직한 관리운영 주체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정부와 모든 광역시도는 조속히 공동보존서고를 설립 운영해야 한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29-448
    • /
    • 2008
  •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PDF

서울시 기초자치단체별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Among Local Governments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1-330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시인 서울을 선정하여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와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와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것과는 다르게 대체로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단체가 오히려 더 많은 공공도서관을 건립 운영하고 있으며, 도서관 예산도 더 많이 배정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서울시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낮은 자치구가 공공도서관 건립 운영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주민인식 연구 (Citizens' Perception on Establishing a New Public Library in Jung-gu, Daegu)

  • 조용완;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5-143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중구에 새로운 구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에 관해 지역주민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 중구 관내에서 중구 주민 174명과 향후 중구립 공공도서관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타 구군 주민 126명 등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민들은 공공도서관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높이 인식하였고, 공공도서관이 없을 경우,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자신과 가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주민들은 중구의 공공도서관 수는 부족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건립이 필요하며, 건립시 이용 의향이 높다고 응답하였다. 이외에도 이번 조사에는 중구립 공공도서관의 입지와 건축 방향과 장서, 서비스, 이용자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도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구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을 위한 인식적 타당성은 상당히 확보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 결과를 반영하여 보다 구체적인 중구립 공공도서관 건립계획과 운영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easibility Study on Construction a Public Library)

  • 이상복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91-516
    • /
    • 200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조사보고서에 있어서 경제적 타당성 접근방법과 정책적, 기술적 타당성 접근방법을 비교$\cdot$분석하고 문제점을 구명하였다.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서 사용된 비용편익분석은 편익추정과 할인율 적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적, 기술적 타당성 분석은 건립이 확정된 사업을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잘못 활용될 수 있는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 건립을 계획중인 관련기관에서 타당성조사를 준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um-ter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Cheongju City)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65-283
    • /
    • 2012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공공도서관 건립과 운영에 많은 관심을 갖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하지만, 각 지자체마다 양적으로 도서관의 관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었지, 내실을 다지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외 문헌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현안 사항과 문제점 및 최근 정부차원의 발전계획 등을 고려하여 청주시 공공도서관 중 장기 발전계획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고, 둘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에 대한 SWOT 분석과 중 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셋째, 청주 청원 통합시 공공도서관의 권역별 건립 및 운영 추이를 고찰하였고, 넷째, 청주시 공공도서관의 조직 체계 확립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2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공공도서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신영;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101-127
    • /
    • 2022
  • 2021년 12월 7일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법률 제18547호) 제31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시·도교육감은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면 미리 공공도서관 설립·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설립타당성에 관한 사전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사전평가는 공공도서관 건립규모의 적정성 제고 및 분포 조정을 통한 시·도별 및 시·군·구별 불균형 및 격차를 해소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공공도서관 건립단계에서 핵심인프라(사서, 자료, 시설, 시스템 등)의 충실한 확보를 유도하여 서비스 만족도와 운영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기본방향, 평가체계 및 평가모형(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한 평가모형(안)은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은 공공도서관 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 제시를 통한 사전평가 준비의 혼란 방지와 편의성 제공하여 부실한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따른 세금 낭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