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역할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6초

시민의 공공도서관 역할 인식 형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itizen's Perception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 이보은;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년도 제2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8
    • /
    • 2016
  • 본 연구는 일반 시민이 공공도서관에 가지는 역할 이미지의 유형과, 그러한 역할 이미지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형성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양한 공공도서관 이용정도를 보이는 서울특별시 시민 6명을 대상으로 한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경험 중 직접 도서관을 이용해 본 경험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가장 큰 경로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들의 사서에 대한 이미지와 도서관에 느끼는 이미지가 매우 유사하였다. 간접적인 경험 중에서는 주변인의 공공도서관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홍보물, 언론, 웹사이트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문화자본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Closing Disparities of Cultur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1-101
    • /
    • 2022
  • 일반적으로 문화자본은 개인의 문화 활동을 촉진하는 문화적 환경을 통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공공도서관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현재의 진화하는 문화 환경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여전히 문화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자본 형성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활용, 다양한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자본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문화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와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대응 및 재난발생시 기대되는 역할 연구 (Public Libraries' Response to COVID-19 Pandemic and Expected Roles in Upcoming Disaster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 이한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05-228
    • /
    • 2023
  •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COVID-19)은 전 세계를 강타하였다. 국가를 망라하여 인류의 생명을 위협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등 다방면으로 타격을 입혔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공공도서관이 어떻게 대응했는지, 나아가 직면한 어려움은 무엇이었는지 이해하고, 앞으로 다가올 또 다른 재난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은 어떠한 역할을 기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317명의 국내 공공도서관 사서들에게 온라인 설문응답을 확보하였고, spss를 통해 응답을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설문지에 주관식 질문을 추가하여 사서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청취하였다. 그 결과, 팬데믹 상황에서 사서들은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고, 비대면및 온라인서비스 제공의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또한, 15.5%의 응답자만이 도서관 직원을 위한 워크샵을 경험하였으며, 53.3%의 사서들은 소독 등 방역업무 추가로 인한 업무과중을 보고하였다. 차후에 감염병으로 인한 재난상황이 닥쳤을 때에는 공공도서관의 다수의 역할들 가운데 다양한 정보자원을 제공함으로써 대중을 안내하는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타 국가 도서관들의 대응과 재난상황시 기대되는 역할을 비교 및 대조하며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y Related to Disaster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5-240
    • /
    • 2022
  •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들의 인지도는 과반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재난 발생 시 관련 역할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며, 역할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재난 관련 도서관의 세부 역할 중 이재민을 위한 심리 정서적 지원, 재난 지원 기관과의 협력, 재난 대피소 및 보호소 역할, 재난 관련 정보서비스, 주민의 재난 경험 아카이빙, 아웃리치서비스, 지역사회 지원 등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재난으로 스트레스 및 상처를 받은 지역주민을 위해 심리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서관역할의 필요성과 유익성 측면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서직급과 소속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 개발 및 이행을 위한 주요 방안을 제언하였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을 위한 제언 (A Suggestion for Future Public Librarie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65-78
    • /
    • 2004
  •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사회의 변화와 발맞추어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변화 방향에 대한 제언이다. 인터넷의 발달은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방향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고, 사회의 변화는 도서관이 문화공간 역할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의 공공도서관은 첫째, 정보접근점이 되어 주민에게 인터넷 정보탐색이 가능하도록 기기와 장소를 제공해야 하며, 인터넷 정보탐색 방법에 대한 교육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문화를 창출하고 영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 안락하고, 편안하며, 고품격의 실내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지역주민에게 사회의 고품격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지역주민의 생활 문화중심 공간으로 그 기능을 다 하여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격차해소 기여도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Study for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Contribution for Resolving the Gap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 이은철;심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09-32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로 제시된 지식정보격차해소의 개념 및 현황 등을 파악하고, 공공도서관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찰해 보았으며, 기존의 통계 데이터를 활용해 공공도서관과 지방자치단체 재정자립도의 관계, 지식정보취약계층과 공공도서관 활용도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격차해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논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흐름 속에서의 공공도서관과 점자도서관 - 일본의 역사적 배경과 도서관의 변천을 중심으로 - (Libraries in the Current of History - The Japanese Historical Context for the Changes in Braille and Public Libraries -)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3-13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점자도서관을 깊게 이해하는 데 있다. 즉 기존의 점자도서관 연구처럼 점자도서 관만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배경의 흐름과 그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변화라고 하는 객관적인 시점, 점자도서관을 벗어난 외부의 시점에서 점자도서관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초기 점자 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성립과 그 목적이 같고 역할도 같았으나, 전쟁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지나면서 도서관과는 전혀 다른 복지적인 방향으로 역할이 이루어졌고, 시각장애인이용자의 독서권운동이 일어난 1970년을 기점으로하여 점자도서관의 도서관적 역할을 재고하며, 도서관적 모습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었다.

  • PDF

실행공동체 사례연구를 통한 공공도서관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Role of Public Libraries by the Case Studies of Community of Practice)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9-358
    • /
    • 2016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함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국도서관협회의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도서관(LTC)' 사례를 분석하였다. LTC 프로그램에 참여한 공공도서관들은 사서들이 매개자가 되어 실행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실천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 사례들을 통해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4단계로 모델링하였고,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조직 내 구성원의 역량 강화, 둘째,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사서들의 실행공동체, 셋째, 지역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사서와 지역주민 실행공동체, 넷째, 실행공동체로서의 지역사회이다.

다문화인의 적응과정에서 공공도서관의 역할 -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Accommodating Process of Multi-cultural population in Korea : Social Capital Approach)

  • 김하진;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6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인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에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사회자본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특히 사회자본의 요소인 네트워크의 특성과 신뢰감을 핵심개념으로 설정하고, 4인의 다문화인과의 심층면담 수행 후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은 다문화인들에게 얕은 관계와 일반화된 신뢰감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내의 교량형 사회자본의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정보사회와 공공도서관(1):사회적 측면

  • 오동근
    • 도서관문화
    • /
    • 제32권1호통권266호
    • /
    • pp.19-32
    • /
    • 1991
  • 본고는 Bob Usherwood의 The Public Library as Public Knowledge (London, LA Publishing, 1989)의 ‘Prologue'와 ’Part one The social context'를 번역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에 관련된 문제들을 사회적 측면, 정치적 측면, 경제적 측면, 커뮤니케이션적 측면, 직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회적 감시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접근법과는 전혀 다른 견해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