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표현 방식

Search Result 40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velopment of a dispersion coefficient method using a drone-based spatio-temporal hyperspectral image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기법 개발)

  • Gwon, Yeonghwa;Han, Eunjin;Kim, Dongsu;You, Hojun;Kim, Youngdo;Kwon, Siyoo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2-113
    • /
    • 2021
  •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유수의 흐름에 따라 이송되며 혼합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의 해석을 위해서는 확산 또는 분산계수 산정이 필요하다. 오염물질의 거동과 관련된 실험적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와 형광성 물질을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추적자 실험은 많은 비용 및 인력을 요하며, 고정식으로 설치한 계측장비로부터 수집한 시계열 농도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때문에 공간적 분포에 대한 자료 취득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하천의 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이동하는 입자의 관점에서 물리량을 표현하는 Lagrangian 방식보다 특정 위치에서 물리량 변화를 표현하는 Eulerian 방식이 적합하다. 그러나 드론을 활용한 하천원격탐사 연구의 대부분은 이동식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특정 시간에 공간적 분광특성의 분포 파악이 한정적이며, 동일 지점에서 분광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면단위를 측정하는 이동식 플랫폼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천 모니터링에 적합한 Eulerian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촬영 플랫폼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하천에서 형광성물질인 Rhodamine WT를 이용하여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접촉식 센서를 활용한 농도측정과 동시에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활용하여 CCTV 형태의 고정식 초분광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결과 도출된 전통적인 방식의 분산계수 산정과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분산계수 산정을 비교하여 오염물질 거동 분석에 초분광영상 활용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드론기반 시공간 초분광영상 기법을 교량이나 기타 하천구조물에 초분광 센서를 설치하여 CCTV형식으로 활용할 경우, 공단이나 하·폐수 처리장 등의 점오염원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직접 설치하여 화학사고의 감지 및 오염물질의 유출 확인 및 조류, 부유사 등의 다양한 수질항목의 농도 변화 감지가 가능하고, 수심변화 감지로 장기적으로 활용할 경우 특정 지점에서의 하상변동 조사가 가능하다. 또한, 오염물질의 유출 사고 발생 등의 사람이 직접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 드론을 활용하여 초분광센서를 이용한 오염물질 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Image Editing Tool based on Combining of Bitmap and Vector Image (비트맵과 벡터방식을 혼합한 이미지 편집도구 구현에 관한 연구)

  • 김진호;이규남;나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165-168
    • /
    • 2001
  • It is possible to classify image data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ne is bitmap, the other is vector. A bitmap image is represented by the two dimensional pixels whereas a vector image is represented by mathematical functions to draw vector objects such as line, rectangle and circle on the two or three dimensional space. So it is necessary for users to use a individual application program for each different image.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image editing tool based on combining of bitmap and vector image.

  • PDF

Design of Three Dimensional Spatial Topological Relational Operators (3차원 공간 위상 관계 연산자의 설계)

  • Kim, Sang-Ho;Kang, Gu;Ryu, Geun-H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2
    • /
    • pp.211-220
    • /
    • 2003
  • A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present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information, The Systems provide accurate and delicate services for users. In order to execute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operations, a dimensional transformation and heterogeneous spatial models should be used. However, the existing systems that use the dimensional transformation and the heterogeneous models, is not only difficult to operate the spatial operators, but also happened to support non-interoper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e proposed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 models that supported two dimensional object models and implemented them to show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s. When designing the three dimensional topological operators, we used 3DE-9IM which extended DE-9IM to support three dimensional concepts, and implemented operators on the component environment with object oriented concepts. The proposed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 models and topological operators can support interoperability between systems, and execute spatial queries efficiently on three dimensional spatial objects.

Multi-perspective of Korean Folk Paintings (민화의 다시점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연구)

  • Kim, Do-Ye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9
    • /
    • pp.112-126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ulti-perspective' can be utilized in animation. For this goal, 1 used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Korean folk paintings called 'Minhwa.' Most 'Minhwa' works, employ 'multi-perspectives', instead of linear perspective of the Western tradition that has been only taught to students under the formal education system. In Minhwa parts of reality are not only stylized but also fragmented and combined within the same frame. Other common techniques of 'Minhwa' include frontal view, bird's eye view, and inverse-perspective, which are of ien combined in one singl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orking principle and practically apply it to , an animation piece based on the Korean folktale of the same title. In doing so, I have proposed a way to reconstruct and revitalize the traditional art form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and have concluded that 'Multi-perspective' in 'Minhwa' can be utilized in other contents such as animation.'Multi-perspective' in 'Minhwa' is a rich source that has numerous cultural applications.

  • PDF

Implementation of the Voice Conversion in the Text-to-speech System (Text-to-speech 시스템에서의 화자 변환 기능 구현)

  • Hwang Cholgyu;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3-3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text-to-speech(TTS) 합성방식이 미리 정해진 화자에 의한 단조로운 합성음을 가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의의 화자의 음색을 표현할 수 있는 화자 변환(Voice Conversion)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방식은 화자의 음향공간을 Gaussian Mixture Model(GMM)로 모델링하여 연속 확률 분포에 따른 화자 변환을 가능케 했다. 원시화자(source)와 목적화자(target)간의 특징 벡터의 joint density function을 이용하여 목적화자의 음향공간 특징벡터와 변환된 벡터간의 제곱오류를 최소화하는 변환 함수를 구하였으며, 구해진 변환 함수로 벡터 mapping에 의한 스펙트럼 포락선을 변환했다. 운율 변환은 음성 신호를 정현파 모델에 의해서 모델링하고, 분석된 운율 정보(피치, 지속 시간)는 평균값을 고려해서 변환했다. 성능 평가를 위해서 VQ mapping 방법을 함께 구현하여 각각의 정규화된 켑스트럼 거리를 구해서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합성시에는 ABS-OLA 기반의 정현파 모델링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었다.

  • PDF

The Design of Content using IR-Tracking System in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공간 가상현실 메타버스내에서 IR-트래킹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설계)

  • Tae-Won Kim;Sang-Yoon Lee;Hyun-Woong Kim;Dae-Sol Lee;Dae-Sik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6 no.5
    • /
    • pp.247-255
    • /
    • 2023
  • In order to create a virtual reality space in the metaverse, accurate tracking sensors and implementation are required. Most government agencies and corporations performs tracking to use their own tracking sensors and a base stations, such as VIVE. The VIVE method may have tracking problems due to spatial constraints and obstacles or nearby structures, and it is also that the number of people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space is also limited.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metaverse using an IR sensor tracking system to freely track the spatial virtual reality metaverse, and we experimented contents in metaverse by placing IR sensors additionally on the floor and ceiling if needed in order to flexibly configure the metaverse spac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racking stability of the IR-tracking system was approximately 12% higher than the VIVE method. Additionally, adding more tracking sensors on the floor increases tracking stability and allows for a stable representation of virtual spac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Hate Speech Corpus: Based on the Attributes of Online Toxic Comments (한국어 혐오 표현 코퍼스 구축 방법론 연구: 온라인 악성 댓글에 나타나는 특성을 중심으로)

  • Cho, Won Ik;Moon, Jihy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98-303
    • /
    • 2020
  • 온라인 공간에서 특정인, 혹은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혐오 표현은 당사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미칠 뿐 아니라 이를 보는 이에게도 간접적인 불쾌함을 유발한다. 이에 관한 문제의식은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된 바 있지만, 아직 한국어에서는 많은 연구들이 혐오 표현 자체의 논의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는 실제로 관찰되는 혐오 표현들의 자동 탐지 및 예방에는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우리는 실제 온라인 댓글들을 탐구하여 혐오, 모욕 및 사회적 편견을 탐지할 수 있는 모델 학습에 필요한 코퍼스 구축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를 동반한 가이드라인과 크라우드소싱을 바탕으로 약 9천 3백 문장 가량의 코퍼스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데이터에 관한 개요와 함께 우리의 접근 방식이 어떤 점에서 기존의 담론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 PDF

Spatial Database Modeling based on Constraint (제약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 Woo, Sung-Koo;Ryu,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1
    • /
    • pp.81-95
    • /
    • 2009
  • The CDB(Constraint Database) model is a new paradigm for massive spatial data processing such a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will identify the limitation of the schema structure and query processing through prior spatial database research and suggest more efficient processing mechanism of constraint data model. We presented constraint model concept, presentation method, and the examples of query processing. Especially, we represented TIN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as a constraint data model which displays the height on a plane data and compared it with prior spatial data model. Finally, we identified that we were able to formalize spatial data in a simple and refined way through constraint data modeling.

  • PDF

세미나 3-2 정보화시대 인쇄문화산업 경영전략1

  • Gu, Gwang-Mo
    • 프린팅코리아
    • /
    • s.16
    • /
    • pp.152-157
    • /
    • 2003
  •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RGB나 CMYK는 장비의 컬러 공간이다. 즉 이 값은 RGB 각 채널당 무채색에서 순색까지를 256단계로 나누어 놓은 값으로 장비의 특성에 따라 그 값이 표현하는 컬러는 다르다. 컬러에 대한 인식이 개인마다 다르듯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각 장치(입력, 디스플레이, 출력)의 컬러 처리 방식도 매우 다양하다. 특정한 장치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스캔할 수 있는 컬러 범위는 기계적 특성에 따라 다르며 이러한 컬러 범위를 color gamut이라 한다.

  • PDF

A Study on the Creation Virtual Space using 2D Images based on Unreal Engine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기반의 2D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공간 제작 연구)

  • Minjeong Oh;Yongdeuk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75-176
    • /
    • 2022
  • 최근의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사회적 요구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상공간은 가상의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한 것처럼 믿게 만드는 시각적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언리얼 엔진의 'HDRI backdrop'과 'Paper 2D' 기능을 활용하여 2D 이미지들로 가상공간을 제작한 작품을 서술한 글이다. 작품에서 배경은 HDRI backdrop을 이용하여 4K HDR 사진 이미지를 3D 공간에 설정하여 제작하고 캐릭터는 Paper 2D를 활용하여 책 표지에 등장하는 캐릭터 이미지를 포토샵 편집 후 스프라이트로 변환하여 배치하였다. 2D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을 제작한 작품을 계기로 2D 콘텐츠와 3D 가상공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방향의 활용가능성을 발견하고 다양한 표현방식과 아이디어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