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Query Processing Algorithms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질의 처리 알고리즘의 설계)

  • 김용기;장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25-27
    • /
    • 2004
  • 최근 이동 객체를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주로 제한조건이 없는 이상적인 공간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기 때문에, 도로나 철도와 같은 이미 정해진 공간 네트워크 상에 적용하는데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효율적인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 PDF

Instance Identification between a Network and tis Simplification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

  • 권용식;차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6-188
    • /
    • 1999
  • 지리 정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서로 다른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이질성으로 인하여 통합 작업은 단순화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간의 인스턴스 동일성 확인에 대한 연구를 기술한다.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위치 정보와 위상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도로, 수도, 배전 등 많은 응용분야를 갖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통합에서 기본이 되는 인스턴스의 동일성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구현 및 성능 평가)

  • Um, Jung-Ho;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121-123
    • /
    • 2005
  • 최근 LBS(Location Based Service) 밑 텔레매틱스 응용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도로, 철도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 중에 있다. 한편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 POI 데이터, 이동 객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및 색인하는 구조가 설계되었다[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된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색인 구조를 구현하고 이를 공간 네트워크 자체의 데이터 검색, POI 데이터 검색, 이동 객체 궤적 검색 관점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다. 아울러 기존에 연구되었던 접근 기법과 검색 성능을 비교한다.

  • PDF

In-Route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Space-constraint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제약을 고려한 경로 내 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 Kim, Yong-Ki;Kim, Ah-Reum;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3
    • /
    • pp.19-30
    • /
    • 2008
  • Recently, the query processing algorithm in the field of spatial network database(SNDB) has been attracted by many Interest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route-based queries. Since the moving objects move only in spatial networks, the efficient route-based query processing algorithms, like in-route nearest neighbor(IRNN), are essential for Location-based Service(LBS) and Telematics application. However, the existing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has a problem that it does not consider traffic jams in the road network.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which considers space restriction. Finally, we show that space-constrained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is efficie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IRNN algorithm.

  • PDF

Parallel Distributed Spatial Join Method using R+ -tree In Distributed Spatial Database Systems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R+-tree를 이용한 병렬 분산 공간 죠인 기법)

  • 김종현;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67-69
    • /
    • 2002
  • 여러 사이트에서 구축된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공유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상에서의 분산 공간 죠인 질의는 공간 데이터의 대용량성과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공간 연산의 지펴져 부하와 네트워크상의 전송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미죠인 기반의 공간 죠인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공간 죠인 연산을 특정 서버에서만 수행하여 병목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결국 질의 처리시간이 증가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산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수행 비용이 많이 드는 원격 사이트간의 공간 죠인 연산에 대해 R+-tree 공간 색인을 사용하여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R+-tree 공간 색인을 이용하여 공간 죠인 연산의 대상이 되는 릴레이션들을 중첩이 없는 두개의 릴레이션들로 분할한 후 질의 수행에 참여하는 두 서버에 죠인 연산을 분배하고 병렬적으로 처리하여 결과들을 병합한 다음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만다. 본 기법은 릴레이션을 분할하여 각 서버에서 공간 죠인 연산을 병렬적으로 처리하므로 처리 비용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며. R+-tree의 영역에 해당하는 객체들만 죠인 연산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 비용을 감소시킨다

  • PDF

Design of In-Route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Time and Space-constraint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 및 공간제약을 고려한 In-Route Nearest Neighbor 질의처리 알고리즘 설계)

  • Kim, Sang-Mi;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56-61
    • /
    • 2006
  • 최근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질의처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좌표-기반 질의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중인 반면, 경로-기반 질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동객체가 공간 네트워크상에서만 이동하기 때문에 경로-기반 질의의 유용성이 매우 증대되므로, 경로-기반 질의에 대한 효율적인 질의처리 알고리즘 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로-기반 질의의 대표적인 방법인 In-Route Nearest Neighbor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시간 및 공간제약을 고려한 경로-기반 질의처리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 PDF

Desig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설계)

  • 강홍민;장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33-135
    • /
    • 2004
  • 이동 객체를 위한 기존 연구는, 제한조건이 없는 이상적인 공간을 가정하고 설계되었으나, 이는 실제 응용에 직접 적용하는데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BS (location-based service) 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이상적인 공간대신, 실제 도로나 철도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network)를 고려하며, 아울러, 이러한 공간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저장 및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 PDF

Design &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설계 및 성능평가)

  • Um Jung-Ho;Chang Jae-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3 s.106
    • /
    • pp.325-336
    • /
    • 2006
  • For supporting LBS service, recent studies on spatial network databases (SNDB) have been done actively. In order to gain good performance on query processing in SNDB, we, in this paper. design efficient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 point of interests (POIs), and moving objects on spatial networks. First, we design a spatial network file organization for maintaining the spatial network data itself consisting of both node and edges. Secondly, we design a POI storage and index structure which is used for gaining fast accesses to POIs, like restaurant, hotel, and gas station. Thirdly, we design a signature-based storage and index structure for efficiently maintaining past, current, and expected future trajectory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Finally, we show that the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designed in this paper outperform the existing storage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trajectory index structures for moving objects.

Implementation of WebGIS for Integration of GIS Spatial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GIS 공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을 위한 WebGIS 구현)

  • Choi, Hyo-Seok;Yo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2
    • /
    • pp.95-107
    • /
    • 2014
  • In general, topographical phenomena are represented graphically by data in the spatial domain, while attributes of the non-spatial domain are expressed by alpha-numeric texts. GIS functions for analysis of attributes in the non-spatial domain remain quite simple, such as search methods and simple statistical analysis. Recently, graph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f social phenomena are commonly used for understanding various social events and phenomena.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network analysis functions to the non-spatial domain data of GIS to enhance the overall spatial analysis. For this purpose, a novel design was presented to integrate the spatial database and the graph database, and this design was then implemented into a WebGIS system for better decision makings. The developed WebGIS with underlying synchronized databases, was tested in a simulated application about the selection of water supply households during an epidemic of the foot-and-mouse disease. The results of this test indicate that the developed WebGIS can contribute to improved decision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proximity factors as well as geospatial factors.

Efficient Spatial Query Language for Sensor Database: An Explorative Study (센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 공간지정 질의처리 기법)

  • Park, Min-Jee;Kim, Tae-Hun;Lim, Chong-Sok;Hyun, Soon-J.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39-41
    • /
    • 2012
  • 센서 네트워크는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된 센서 노드들로부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 데이터는 실생활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베이스는 전형적인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시간적/공간적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센서 데이터베이스 연구에서는 특정 공간을 지정하기 위한 질의 언어 및 그 처리에 있어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공간지정 질의 및 처리 기법을 제시한다.